언론사와 포털이 언론보도에 대한 댓글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언론보도 댓글 클린업 프로젝트’를 통해 댓글 모니터링을 진행한 언론인권센터는 언론사가 댓글 관리 정책에 대한 보다 섬세한 기준을 마련해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I를 활용한 포털의 악성 댓글 관리에도 여전히 많은 악성 댓글이 삭제되지 않은 채 남아있어 문제로 지적됐다.

언론인권센터는 지난달 22일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서이초 교사 사망 사건 보도 댓글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발표했다. 언론인권센터는 위 사건 이후 교육 현장에서 벌어진 또 다른 교사 사망 사건이나 장애 아동 학대 논란 등이 교차하면서 큰 반향을 일으켜 다양한 기사와 댓글이 예상되기 때문에 해당 보도를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8월1일부터 9월25일까지 빅카인즈 및 네이버 뉴스포털에서 ‘서이초 사건’으로 검색된 기사와, 네이버 뉴스 기준 ‘PICK’ 표시를 달고 있으며 댓글 수가 500개 이상인 기사를 모니터링했다. 

▲ 언론인권센터 '언론보도 댓글 클린업 프로젝트'. 사진=언론인권센터 홈페이지 갈무리.
▲ 언론인권센터 '언론보도 댓글 클린업 프로젝트'. 사진=언론인권센터 홈페이지 갈무리.

 

악성 댓글 노출, AI봇으로 악성 댓글 감지한다는 포털도 마찬가지

총 24개 언론사 홈페이지의 73건 기사 댓글을 모니터링한 결과, 총 10개의 언론사에서 댓글 정책을 사소한 형태로라도 바로 댓글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특히 조선일보, 매일경제, 한국경제, 경기일보의 경우 댓글 운영 정책을 별도의 웹페이지나 팝업창으로 제공해 비교적 상세하게 제공했다. 나머지 언론사는 댓글 관리 정책을 제대로 고지하기 않아 쉽게 확인하기 어려웠다. 

▲ 경기일보 홈페이지 댓글란 위 '댓글 운영규정'을 클릭했을 때 나오는 화면. 사진=경기일보 홈페이지 갈무리.
▲ 경기일보 홈페이지 댓글란 위 '댓글 운영규정'을 클릭했을 때 나오는 화면. 사진=경기일보 홈페이지 갈무리.

댓글 관리 정책을 언급한 경우에도 “부적절한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클린한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 기준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아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로그인 후 댓글을 쓸 수 있도록 한 언론사는 총 14개였다. 언론사 홈페이지에 가입해야 하는 경우와 SNS 등을 통해 로그인 하도록하는 경우 모두를 포함한 결과다. 9개 언론사에선 댓글 신고 기능을 제공했고, 7개 언론사 총 19개 기사에선 댓글이 관리자 또는 다른 독자의 신고에 의해 삭제됐다.

기사와 관계없는 댓글이 달린 기사는 40건, 혐오발언이나 차별적 내용을 담은 댓글이 확인된 기사는 27건이었다. 욕설·비속어·폭력적 표현이 담긴 댓글이 확인된 기사는 41건, 개인에 대한 인신공격성 댓글이 확인된 기사는 35건이었다. 댓글 관리 정책이 안내되고 있는 10개 언론사의 기사 댓글란이나, 댓글 관리나 신고로 삭제된 이력이 남아 있는 기사에도 여전히 모니터링 시점에서 문제적 댓글이 확인된 경우도 있었다. 

인신공격, 혐오 표현 등을 담은 악성 댓글 노출은 AI봇으로 악성 댓글을 감지한다는 포털 댓글란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총 24개 언론사의 네이버 기사 89건은 모두 포털 상 댓글을 열어두고 있었는데, 이 중 기사와 관계없는 내용을 담은 댓글이 확인된 기사는 총 36건, 혐오 또는 차별적 발언을 한 댓글이 확인된 기사는 25건이었다. 욕설·비속어·폭력적 표현이 담긴 댓글은 48건의 기사, 인신공격성 댓글은 53건의 기사에서 확인됐다.

네이버 뉴스 포털의 경우 ‘클린봇’이 AI를 활용하여 악성댓글을 감지해 삭제하고 있지만 아직 많은 악성 댓글이 삭제되지 않은 채 남아있었다. 악성 댓글이 삭제된 경우에도 댓글에 달린 또 다른 댓글, ‘답글’ 또는 ‘대댓글’은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도 많았다. 문제가 되는 댓글이 지워진 상태여도, 충분히 답글 또는 대댓글의 내용을 통해 삭제 전 댓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문제적·자극적 발언 인용한 ‘따옴표’ 기사일수록 악성 댓글 많아

언론인권센터는 “모니터링 결과 많은 언론사들이 댓글란을 운영하면서도 댓글 운영 정책 고지는 소홀하거나 정책에 걸맞는 관리를 제대로 진행하고 있는지 의문스러웠다”며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익명 댓글을 달 수 없게 하는 정책 등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악성 댓글을 반복해서 작성하는 작성자를 포털에서도 언론사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다수 시민들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을 사용하는 상황에서, 특히 SNS 로그인 등은 댓글을 쓰는 데 장벽으로 작동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며, 댓글을 보다 신중하게 작성하도록 만들 수 있는 또 다른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사진=Gettyimagesbank.
▲ 사진=Gettyimagesbank.

따옴표 저널리즘과 문제적 댓글의 상관관계 역시 지적됐다. <“가슴 큰 女선생, 자를 방법 없나요?”…하다하다 이런 민원도>(서울신문), <KAIST 교수, 서이초 교사 극단선택에 “학부모 때문 유언 없는데”>(연합뉴스)처럼 교사 사망 사건과 관련 악성 민원인이나 유명인 발언을 그대로 인용하는 보도의 비중이 높았고, 댓글 내용 흐름 역시 이를 따라가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모니터링 대상 기사 90건 중 네이버 뉴스 포털 상에서 댓글이 1000개 이상 달린 25개의 기사 절반 가량이 따옴표로 문제적 발언을 그대로 제목으로 활용한 경우였다.

언론인권센터는 “(모니터링 팀은) 언론사가 댓글 관리 정책에 대한 보다 섬세하고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활용해 보다 적극적으로 댓글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모았다”며 “댓글 내용 뿐만 아니라 댓글란이 기사와 함께 배치되는 방식이나 댓글을 어떻게 보다 쉽게, 또는 보다 어렵게-신중하게 작성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지 등에 대한 고민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일괄적인 댓글란 폐쇄보단 기사의 내용을 고려한 보다 섬세하고 유동적인 댓글 관리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한겨레에서 최근 성범죄 보도 기사에 댓글란을 모두 삭제한 것이나, 여성신문이 성범죄 기사의 내용 속에 피해자 지원 및 2차 피해와 관련된 안내를 고정적으로 삽입하기 시작한 것 역시 보도의 댓글란에서 야기될 수 있을 피해를 고려한 댓글 관리 일환”이라며 “네이버와 같은 포털 역시 세이프봇(카카오), 클린봇(네이버)와 같은 AI봇을 통한 ‘악성 댓글’의 삭제 외에도 끊임없이 댓글란 개선을 위한 시도를 해 나가야 한다. 혐오와 차별의 언어는 해당 사건의 상세에 따라 그 모습을 달리하고 시대에 따라 ‘유행’하는 양상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