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국민후원 언론’을 기치로 내걸고 지난 2021년 5월 전사적으로 후원제를 도입한 한겨레가 후원 회원을 분석한 결과, 50대가 38.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여전히 민주화운동을 주도한 86세대가 한겨레의 버팀목이 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에 이어 한겨레가 5일 공개한 ‘한겨레 신뢰보고서 2023’을 보면, 후원제를 도입한 2021년 5월부터 2023년 7월까지 후원에 동참한 독자 가운데 50대가 38.9%, 40대가 23.1%, 60대가 17.6%였다.

▲ 한겨레가 지난 5일 공개한 한겨레 신뢰보고서 2023.
▲ 한겨레가 지난 5일 공개한 한겨레 신뢰보고서 2023.

젊은 독자층인 20대는 5.6%, 30대는 11.7%에 그쳤다. 한겨레 주독자층과 마찬가지로 후원 회원 역시 40~50대 중심이다. 성별로 보면 여성(47.8%)과 남성(52.2%) 편차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구체적 후원자 수치는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후원제 도입 1년 동안 정기후원 2000여명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겨레가 당초 목표로 했던 후원자 수는 10만 명. 한겨레는 “10만 명에 도달하기에는 갈 길이 멀다”며 “창간 당시 민주화에 대한 열망으로 모였던 3만 명, 그 이후 증자 등으로 늘어나 현재 7만 명에 이른 주주 규모에도 크게 미치지 못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솔직히 이는 한겨레가 더 많은 시민들이 후원해야 할 명확한 이유를 제시하지 못했고, 후원받을 가치가 있을 만한 ‘좋은 저널리즘’, 후원 회원들에게만 제공되는 특화된 콘텐츠 등을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내부적으로 판단하고 있다. 한겨레의 존재 의의는 결국 ‘좋은 보도’에 있기 때문”이라고 자성했다.

한겨레는 ‘독자 우선(오디언스 퍼스트) 전략’을 강조하며 “언론의 브랜드 가치는 결국 독자의, 시민의 신뢰로부터 시작된다”면서 “디지털 공간에서 독자들과의 접촉면을 늘리며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소통을 통해 신뢰도 역시 높일 것”이라고 했다.

▲ 한겨레 신뢰보고서 2023 자료 화면 갈무리.
▲ 한겨레 신뢰보고서 2023 자료 화면 갈무리.

한편, 한겨레는 이번 신뢰보고서에 ‘김만배와 기자 돈 거래’ 사건 이후 변화점을 기록했다. 올 1월 대장동 사건 핵심 인물인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와 한겨레 기자가 거액의 금전 거래를 한 사실이 드러나 파문이 일었다. 한겨레는 해당 기자를 해고하고 진상조사에 나섰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한겨레는 신뢰보고서에 “두 사람(김만배씨와 해고된 한겨레 기자)이 오랜 기간 법조기자로 생활했고 법조팀장으로 대법원 기자실에서 친분을 유지했다는 점에서 법조라는 출입처와 법조기자단에 대한 문제의식이 커졌다”며 “법조 취재·보도 관행을 변화시키는 실험을 하겠다고 다짐했다. 검찰 수사 단계의 보도를 줄이고 법원 재판 중심 보도를 강화하겠다는 게 핵심”이라고 했다. 

한겨레는 보고서에 △‘탈 출입처’ 시도 △‘법조 취재·보도 매뉴얼’ 제정 △법원 취재 강화 △재판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공개 사법’을 위한 기획취재 등을 보고·기약했다. 한겨레는 “다른 나라의 오픈 저스티스(공개 사법) 현황을 취재해 우리나라와의 차이점을 보여주고 개선점을 제안하는 기획 취재를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이번 보고서는 1부 ‘외부의 눈으로 본 한겨레’, 2부 ‘한겨레의 1년’, 3부 ‘한겨레에 대한 외부의 평가’로 구성돼 있다. 한겨레가 지난 1년 동안 취재와 보도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어떻게 노력했는지 살피며 그에 대한 안팎의 비판과 평가를 담았다.

▲ 서울 마포구 한겨레 사옥 사진. 사진=미디어오늘.
▲ 서울 마포구 한겨레 사옥 사진. 사진=미디어오늘.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