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TV 대표와 전현직 간부를 상대로 한 직장 내 괴롭힘 진정이 접수됐다. 진정인은 서울경제TV 기자 A씨다. A씨는 서울경제TV 간부가 개인 유튜브 채널을 회사로 양도할 것을 요구하고, 자신을 타깃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고 주장했다. 서울경제TV 측은 설문조사는 가이드라인을 만들기 위한 절차이며 A씨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서울경제TV는 2020년부터 구성원들에게 개인 유튜브 채널 운영을 장려했다. 회사 이미지 제고, 구성원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다. 다만 서울경제TV 전현직 관계자 발언을 종합하면 회사의 별도 지원은 없었다고 한다. 개인 유튜브 채널에 대한 가이드라인·규정은 마련되지 않았다.

▲서울경제TV CI
▲서울경제TV CI

당시 일부 구성원이 유튜브 채널을 개설했고, 이 중 유의미한 성공을 거둔 이는 A씨가 유일했다. 경제 분석을 전문으로 하는 A씨 채널 구독자 수는 10만 명을 넘어섰다. 서울경제TV 공식 유튜브 채널보다 구독자가 많다. A씨는 회사 지원 없이 개인 장비를 활용해 방송 촬영에 나섰으며, 유튜브 영상 제작은 출근 전 이뤄졌다. 서울경제TV 대주주인 서울경제가 A씨를 주목하기도 했다. 서울경제는 올해 8월 A씨의 성과를 조명하는 기사에서 “3만 원짜리 캠코더와 1만7000원짜리 마이크, 조명은 집에 있던 스탠드로 대체해 4만7000원으로 시작한 채널이지만 이러한 성실함과 꾸준함이 채널을 키웠다”고 평가했다.

A씨는 유튜브 채널이 성공을 거둔 후 상급자와의 갈등이 시작됐다고 보고 있다. 지난해 초 간부들이 유튜브 채널을 회사로 귀속시켜야 한다고 요구했다는 것이다. 또 A씨는 지난해 워크숍에서 B국장이 자신에게 폭언을 했다고 주장했다. A씨가 직장 내 괴롭힘 진정에 나선 이유다.

A씨는 최근 내부 구성원에게 입장문을 공유해 진정 이유를 밝혔다. 미디어오늘이 입수한 입장문에 따르면 A씨는 “공개된 자리에서 수십 분간의 폭언을 듣는 것을 비롯해 개인 유튜브 채널을 회사에 귀속시킨다는 등의 도무지 알 수 없는 이유로 지속적인 괴롭힘을 당했다”고 했다.

A씨와 회사의 갈등이 심화된 건 최근 서울경제TV가 구성원을 상대로 ‘개인 유튜브 설문조사’를 실시하면서다. 서울경제TV는 올해 8월 설문조사를 실시하면서 이 결과를 개인 유튜브 관련 사내 가이드라인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이라고 했다. 설문조사 질문은 △재직 중 개인 유튜브 채널 운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회사와 관련된 내용의 노출범위는 어디까지라고 보는가 △개인 유튜브 채널운영이 업무와 개인 생활의 구분을 흐리게 만든다고 생각하는가 △재직 중 개인이 운영 중인 유튜브 채널을 사내 채널로 귀속하였을 때, 회사와 임직원 상호 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가 등이다.

A씨는 이 설문조사가 자신을 타깃으로 하고 있다고 봤다. 서울경제TV 구성원 중 개인 유튜브 채널을 운영 중인 사람이 자신뿐이기 때문이다. A씨는 입장문에서 “설문조사를 빙자한 직장 내 괴롭힘”이라면서 “조직 내 유튜브를 운영하는 사람이 단 1명이다. 만나는 사람마다 설문조사에 대해 이야기하며 괜찮냐고 안부를 물을 정도”라고 했다. 서울경제TV의 설문조사도 직장 내 괴롭힘 진정에 포함됐다.

이번 진정과 관련해 서울경제TV 측 고위관계자는 미디어오늘에 “노무사가 내부 조사 중”이라면서 “그동안 직장 내 괴롭힘이나 성희롱에 대해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해왔다. 이번 사건도 다르지 않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A씨가 유튜브 방송 중간에) 회사명을 노출했고, 윤리적으로 문제가 된 사람을 출연시켰다. 회사 차원에서 관심을 안 가질 수 없었다”며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시점이었다. (그래서 설문조사를 시작한 건데) 운영권을 뺏으려 한다고 생각을 한 것 같다. 뺏는다는 건 말이 안 된다”고 주장했다.

또 이 관계자는 A씨가 유튜브 활동으로 인해 본래 근무에 소홀했다고 주장하면서 “근무에 충실하고 개인 시간에 유튜브하는 것을 누가 말리겠는가”라고 했다. 하지만 서울경제 구성원 C씨는 미디어오늘에 “A씨는 항상 근무 시간보다 초과해 일을 했다”며 유튜브 때문에 근무에 소홀한 적은 없었다고 전하기도 했다. 미디어오늘은 A씨가 폭언 가해자로 지목한 B국장에게 전화·메시지를 보내 입장을 들으려 했으나 연결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A씨는 미디어오늘에 “당사자로 사건에 대해 자세히 말하긴 어렵지만 수차례 괴롭힘과 사내 진정에도 여전히 사과 한번 없이 피해자를 탓하는 사측에 굉장한 유감을 표한다”며 “해당(개인 유튜브) 활동은 회사 업무시간이 아닌 여가 시간을 통해 이뤄졌으며 회사에 득을 주면 주었지 해를 입힌 일이 없다”고 했다. 이어 “매일 초과근무를 하며 최선을 다해 조직을 위해 근무했다. 동료들이 알고 근무 기록이 증명해주고 있다. 개인 문제로 탓을 돌리기는 어렵다”고 반박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