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외통신 문제는 언론노련 등 언론 3단체가 언론개혁 10대 과제에 선정할 정도로 언론계의 오랜 현안이었다. 안기부가 소유해오면서 사실상 북한 정보를 독점해 온데다 뉴스의 질 등을 둘러싸고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내외통신은 통상적인 취재 및 보도활동을 하기 보단 안기부에서 취사선택한 북한 1차 자료를 언론사에 배포하는 정부 기관 역할을 해 온 것이 사실이다.

내외통신은 명색이 북한 전문 통신사이지만 통일부 출입기자도 없었다. 지난 15대 대선 과정에서는 오익제씨 월북을 둘러싸고 김대중 후보에게 불리한 정보를 의도적으로 확대 왜곡해 보도했다가 물의를 빚는 등 정치적 논란을 야기한 바 있다.

특히 내외통신은 안기부법 제 2조 2항 ‘특수자료 취급지침’에 존립 근거를 두고 있다. 북한 정보와 자료를 이용하기 위해선 안전기획부장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는 이 조항은 언론계 안팎으로부터 폐지요구가 끊이지 않았다.

이런 점에서 내외통신의 연합통신 인수는 언론개혁 과제중의 하나가 올바른 ‘해법’을 찾았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그동안 연합과 내외통신간의 합병 구상은 간헐적으로 제기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현실적인 논의 차원으로 진행되진 못했다. 안기부의 북한 정보 독점 의지가 워낙 강했던데다 연합의 내외통신 합병 의지도 적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사 통합은 무엇보다 북한 정보에 대한 정부당국의 인식 변화를 읽게 해주고 있다. 민간의 북한 정보 접근권을 보장해주고 나아가 북한 정보 전체에 대한 개방 움직임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안기부내에서도 내외통신의 연합뉴스 이양을 둘러싸고 적지 않은 반발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북한 정보 공개 확대’라는 시대적 대세를 수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고 한다. 벌써부터 북한 방송 차단을 위한 방해 전파 송출 중단 등을 통해 북한 방송 뉴스를 개방할 방침이라는 소식도 흘러나오고 있다.

연합은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이번 통합을 통해 국내외적으로 통신사의 입지를 한층 더 강화한 것으로 해석된다. 외신의 소구력이 가장 높고 국내 언론사에서도 비중이 만만치 않은 대북 정보를 다른 언론사에 앞서 타전하게 된 것은 향후 연합뉴스 위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수 밖에 없다.

물론 내외통신이 사실상 ‘수익성 제로’의 국책 기업의 성격이 강했던만큼 경영 비용 증대에 따른 ‘해법’ 마련도 과제로 대두된 상태. 연합은 내심 정부당국의 지원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일정 기간은 정부당국의 보조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 중구 주자동에 위치한 6층 크기의 구 내외통신 건물만해도 감정 가액 수십억원을 상회하고 41명에 달하는 신규 인력 흡수에 따라 인건비 증대 등 경영 부담 요인이 상당하다.

김종철 사장은 18일 기자회견에서 “남북 뉴스교류의 민간 창구를대표한다는 공익적 자세로 내외통신의 노하우를 십분 활용하고 기사 질 제고, 전문 인력 양성 등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