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어디 송유근 뿐이겠나. 과학자를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은 어쩌면 딱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노벨상을 비롯한 각종 대회 수상실적과 송유근 같은 천재성이다.

애석하게도 과학계엔 송유근과 같은 천재들이 차고 넘친다. 허나 이는 과학계뿐만이 아니다. 예술계, 인문·사회계도 천재는 차고 넘친다.

그런데 우린 ‘천재성’을 숭배(경배?)하는 그 어떤 마음 탓인지, 표절이나 허위·조작 의혹에 유독 관대하다. 아니, 그가 그럴 리 없다고 믿고 싶은 모양이다. 황우석 때도 그랬고, 송유근도 마찬가지다. 건건이 의심으로 똘똘 뭉친 사람들이 이런 천재들의 거짓과 위선엔 일단 믿고 본다.

앞서 과학계에 송유근 같은 천재가 차고넘친다고 언급한 건 송유근을 깎아내리려는 게 아니다. 과학계 현장을 있는 그대로 들여다봐야 한다는 말이다. 천재가 그럴 리 없다는 건 지나친 맹신이다.

뒤집어보면, 천재니까 욕심에 사로잡혀 ‘그렇게 할 수’ 있다. 천재니까 사람들 기대에 부응해야 한다. 천재니까 남들보다 더 높은 곳에 가고 싶고, 천재니까 누구보다 더 빨리 올라갈 수 있다. 그런데 이 천재들은 세상에 자신과 같은 천재가 '아주 많다'는 것을 애써 모른 척 하려 하는 듯하다.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천문우주과학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송유근 군이 지난 5월19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갖고 있다. ⓒ 연합뉴스
 

카이스트, 포스텍,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그간 나는 취재하면서 캠퍼스에서만 수없이 많은 천재들을 만났다. 전화상이었지만, 송유근씨의 소속학교인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 출신도 물론 만났다. (그분은 교과서를 바꿔놓을 업적을 달성했다)

천재가 희소성 때문에 높이 평가받고 무한긍정적 신뢰를 얻는다면 한국과학계가 이 정도(?)에 머물지 않았을 것이다. 한국과학계는 이미 세계 최고 천재들이 득실거리고 있었으니까.

그럼 과학천재를 어떤 시선으로 봐야할까. 박사학위 논문 표절을 한 당사자에게 공개적으로 화이팅하라, 힘내라고 하는 게 맞을까? 다음에 또 하면 된다는 응원이 옳은 소리일까? 그건 당사자가 깊게 뉘우친 후 지인이나 가족이 격려차원에서나 할 얘기가 아닐까? 앞으로 과학분야 논문표절이 발각되면 '격려상'을 주자고나 하지 않을까 걱정될 지경이다.

제도적으론 구분을 둬선 안되겠지만, 보다 더 신중하고 엄격한 기준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그래야 이들 신동들이 더 올바른 연구에 몰입할 수 있을 테니까.

끝으로, 동종의 전문가들이 잘못됐다고 지적하면 일단 좀 믿어라. ‘선수들’은 척 보면 척이다. 왜? 느낌 아니까. 왜 비전문가들이 논문 검증도 전에 과학신동을 발목잡네, 땅에 묻으려 하네 같은 얘기로 본질을 흐트러뜨리나. 신동을 향한 짝사랑(환상)을 거두어야 진실이 보인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