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12일자 동아일보 종합면 기사다. 제목은 ‘포털 등 인터넷매체 언론중재 신청 5271건’이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학용 새누리당 의원이 문화체육관광부 국정감사를 앞두고 낸 보도자료를 인용한 기사다. 동아일보는 “3년간 전체 2만5544건의 언론중재위 조정 건수 중 포털과 인터넷 매체의 뉴스서비스에 의한 피해 관련 조정 청구 건수는 5271건으로 전체의 20.6%로 나타났다. 이는 신문 2198건(8.6%), 방송 1022건(4.0%)보다 최대 5배 이상으로 높은 수치다”라고 보도했다. 

이 기사는 보도자료가 만든 함정에 빠진 기사다. 제목에서 ‘포털 등 인터넷매체’라고 썼는데, 보도자료에는 포털로 명시돼 있다. 언론중재위원회는 포털 대신 인터넷뉴스서비스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이게 가장 정확한 표현이다. 중재위에 따르면 인터넷뉴스서비스는 네이버와 다음, 구글 등 포털과 Imbc, SBSi, KBSi 등 방송사닷컴의 뉴스서비스를 의미한다. 김학용 의원 국감 보도자료 표1에 따르면 ‘포털’로 축약된 인터넷뉴스서비스 조정신청 현황은 3년 간 5217건이다.

그런데 같은 보도자료의 표2에선 네이버와 다음, 네이트의 3년 간 조정신청 현황이 331건으로 나온다. 무슨 의미일까. 5217건 중 331건을 제외한 4886건은 방송사닷컴의 뉴스서비스와 관련된 조정신청 건수라는 의미다. 김학용 의원은 3년간 2만5544건의 조정 건수 중 331건에 해당하는 포털 조정 건수를 근거로 “포털에 청구하는 언론중재위 조정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사실상의 유사 언론행위를 하고 있는 포털의 책임도 크다”고 주장했다. 주장을 위해, 통계를 왜곡에 가깝게 포장한 대목이다.

   
▲ 김학용 새누리당 국회의원실의 보도자료.
 

포털의 조정건수는 왜 이리 적을까. 포털은 기사를 쓰지 않는다. 다만 노출할 뿐이다. 예컨대 미디어오늘은 미디어오늘 사이트에서 기사를 노출하고 네이버와 다음 등 포털에 같은 기사를 전송한다. 포털에 조정신청을 한다는 건 미디어오늘 기사를 송고한 네이버·다음에도 책임을 묻는 것과 같은 행위다. 보통 미디어오늘과 조정이 성립되면 포털 기사는 자연스럽게 수정돼 재전송된다. 때문에 포털에 조정신청을 하는 행위는 별다른 효력이 없다. 

김학용 의원의 국감 자료에는 “포털의 언론중재 조정신청은 2013년 369건에서 2014년 세월호 참사로 4177건으로 급증했다가 2015년 8월 현재 725건에 이르고 있다”고 적었는데 이는 엄밀히 말해 왜곡된 표현이라 봐야 한다. 포털이란 표현을 받아들이는 당사자의 대부분이 네이버와 다음을 떠올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2014년 네이버의 포털 조정건수는 46건, 다음은 42건, 네이트는 23건이다. 2015년의 경우 네이버 6건, 다음 8건, 네이트 5건 수준에 불과하다. 

동아일보 또한 기사 말미에 “포털사별 조정 청구는 지난 3년 간 네이버가 13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111건, 네이트 90건순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정리하면 최근 3년간 포털3사의 조정건수에 비해 신문은 7배, 방송은 6배 높은 수치를 기록한 셈이다. 그러나 해당 기사와 보도자료의 방점은 ‘포털’에 찍혀있다. 김학용 의원은 보도자료에서 “주요 포털사가 포털 뉴스 서비스의 편향 논란에서 벗어나기 위해 방안을 찾아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새누리당이 주도하는 ‘포털 편향’ 프레임에 발맞추기 위해 의원실에서 언론중재위원회 조정건수를 교묘하게 이용했다고 밖에 볼 수 없다. 문제는 언론이 이 같은 ‘편향된’ 의도를 그대로 받아썼다는 사실이다. ‘귀찮아서’ 그냥 썼다면 큰 문제다. 의도를 ‘알고도’ 받아썼다면 더 큰 문제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