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매일경제가 네이버 모바일 뉴스공급으로 네이버 공동전선이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 입장을 밝혔다. 

이들 4개 신문사는 2월 14일자 신문협회보를 통해 “4개사는 독자들이 PC외에도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자주 사용하는 상황에서 모바일에만 기사를 공급하지 않는 것이 현실적이지 않다는 판단을 했다”고 밝혔다. 이들 신문사는 “이번 뉴스공급과 관련해서는 수익 증대의 의미는 거의 없으며 새로운 모바일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위한 시도”라고 밝혔다. 

지난해 9월까지 조선‧중앙‧동아일보와 매일경제는 네이버 모바일에 뉴스를 공급하지 않았다. 모바일 뉴스이용의 증가추세에도 자사 콘텐츠를 모바일에 공급할 경우 포털의 영향력만 더욱 키워줄 것이란 우려와 모바일 시장에 대한 고려 때문이었다. 

하지만 2014년 10월 1일 조선일보가 네이버 모바일 뉴스공급을 결정하면서 신문사간의 ‘연대’는 깨졌다. ‘포털 모바일에 뉴스를 팔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이 바뀐 것이다. 이후 매일경제가 12월 1일, 동아일보가 2015년 1월 1일 네이버 모바일 뉴스 공급에 합류했다. 한국신문협회 회장(송필호)이 있는 중앙일보는 가장 마지막으로 뉴스 공급을 결정했다. 신문사들의 ‘反네이버’ 전선의 한 영역이 무너진 셈이다. 이제 남은 건 신문협회 차원의 네이버 콘텐츠 ‘제값 받기’ 공동협상 대오뿐이다. <관련기사=신문협회 “뉴스 제값받자” 네이버 ‘정조준’>

신문협회는 이 같은 상황을 의식한 듯 협회보를 통해 “4개사의 네이버 모바일 뉴스서비스를 두고 일각에서는 신문협회가 현재 추진 중인 포털 공동협상이 동력을 상실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전한 뒤 “4사 관계자들은 ‘콘텐츠 제공료를 주 의제로 하는 포털 공동대응과는 전혀 별개의 문제다. 이번 결정과 무관하게 공동 협상에 적극 참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조중동, 결국 네이버 모바일 플랫폼에 ‘항복’>

신문협회는 “이들의 모바일 뉴스 서비스 공급 방침이 처음 결정된 것은 신문협회 포털 공동협상 논의가 시작되기 전의 일이고, 공동 협상이 원만히 진행될 경우 적용시점이 빨라도 2016년 1월이기 때문에, 모바일 콘텐츠 제공과 무관하게 공동협상이 진행되는 구도”라고 덧붙였다. 앞서 신문협회는 2014년 9월 조선일보의 모바일 콘텐츠 제공 움직임을 두고 “모바일에 뉴스를 제공하는 것에 반대하지 않는다. 다만 공동협상의 발목을 잡을 수 있는 내용이 없는지 살펴 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한편 2월 11일 현재 신문협회 47개사 중 37개사가 포털과의 공동협상에 대한 동의서를 보내왔다. 1월 31일까지 30개사가 동의서를 제출한 이후 7개사가 추가로 동의서를 낸 결과다. 신문협회는 설 연휴 전에 동의서 접수를 최종 마감하고 회원사별 동의여부를 2월 하순 운영위원회 및 이사회에 보고할 예정이다. 신문협회는 “대부분 회원사가 막바지 검토나 품의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공동협상에 필요한 동의를 충분히 확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네이버에 뉴스 제값받기, 왜 자꾸 꼬일까>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