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면이 독립지면으로 제작되기 시작한 것은 88년. 서울올림픽을 전후로 신도시 개발등의 영향으로 부동산 경기가 활황세를 유지하면서 경제지들이 앞다퉈 부동산면을 신설했다. 현재는 서울경제와 내외경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경제지가 별도 부서로 부동산부를 운영하고 있다.

종합지는 일주일에 1∼2면을, 경제지는 적게는 7개면에서 많게는 13개면까지 할애하고 있다. 경제지의 경우 대략 6∼9명의 기자들이 부동산면을 맡고 있다. 부동산 기자들은 출입처 개념이 별로 없다. 시중 부동산 중개업소가 2만개에 육박하는데다 국내 건설업체로 등록된 회사만도 수만개에 달한다.

복덕방 담당에서, 전문 건설업체 그리고 종합건설업체로 취재담당을 바꾸는 것이 부동산 기자들의 ‘교육 코스’이다. 복덕방 출입은 일선 경찰서 기자들에 못지 않게 ‘품’이 많이 든다. 특종도 힘들다. 기사 성격이 대부분 기획성인 관계로 아무리 좋은 정보를 물어와도 다른 신문들이 이를 받는 경우는 거의 없다.

부동산과 관련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각 건설업체의 분양정보나 수주정보. 전체 국민총생산량에서 건설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14%정도. 이에 걸맞게 대형건설업체의 공사 수주액은 웬만한 기업체 연간 매출액과 맞먹는다. 허위 분양 정보를 검증하는 것도 이들의 주요 업무다.

건설업체에서 돌린 분양 정보가 실제 확인해보면 틀린 경우가 적지 않다. 재테크 전략도 부동산 기자들의 관심거리중 하나. 집에 대한 집착이 강하고 70∼80년대 부동산 투기로 떼돈을 번 벼락부자들의 신화가 아직까지 굳건히 뿌리를 내리고 있는 상황에서 독자들에게 ‘투자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해야 하기 때문이다. 독자들의 문의전화도 심심치 않게 걸려온다.

기사에 대한 반응도 꽤 민감한 편이다. 아파트 시세표에서 자기가 사는 지역이 빠지거나 하락세로 표기될 경우 관련 독자들의 항의전화도 적지 않다. 그만큼 기사 한줄 한줄이 돈과 연관되어 있다. 이를 반영하듯 신도시 개발이 한창일때는 건설업체들이 순번제로 ‘부동산 기자’들을 모시는 촌극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은 사정이 판이하다. 미분양 아파트가 속출하면서 건설업체들이 심각한 자금난을 겪고 있는데다 지면이 넓어져 굳이 기자들을 챙기지 않아도 ‘비중’에 걸맞는 대우를 받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