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 노동자 파업이 11일로 2000일을 맞은 가운데, 매일경제가 이들을 향해 ‘자살특공대’라며 경멸적 ‘망언’을 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매일경제는 지난 6월 30일자 기사 <자살자 속출했던 쌍용차 흑자전환 서광>를 통해 “5년 전인 2009년 여름 쌍용자동차 평택공장. 77일 동안 격렬한 노조 파업이 지속되며 노조 간부와 가족 등이 연이어 자살하는 등 사망자가 속출했다”고 밝혔다. 

매일경제는 이어 “그해 1월 쌍용차 대주주였던 중국 상하이자동차는 법정관리를 신청하며 경영권을 포기했고 인력 구조조정의 소용돌이 속에서 쌍용차 노조원들은 ‘자살특공대’를 만들어 격렬하게 투쟁을 지속했다”고 비판했다. 정리해고에 맞섰던 노동자들을 ‘자살특공대’라 매도한 것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특히 정리해고 이후 하염없이 복직을 기다리다 생활고 등을 이유로, 노동자들과 그 가족 25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사망했는데 이들의 고통을 전혀 고려치 않고 ‘자살특공대’라는 단어를 썼다는 데에 노동자들은 분노하고 있다.

   
▲ 매일경제 6월 30일자 지면.
 

이창근 금속노조 쌍용자동차지부 정책기획실장은 11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이런 기사가 있다는 사실을 법원 앞에서 2000배를 하던 중 알게 됐다”며 “정말 달려가서 찢어 죽이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고 분노했다. 쌍용차 해고자들은 이틀 후에 나올 해고무효 소송 선고를 앞두고 공정한 판결을 촉구하며 대법원 앞에서 매일 2000배를 올리고 있다. 서울고법은 지난 2월 2009년 쌍용차 정리해고는 ‘무효’라고 판결했다. 

이 실장은 “기사 수정 수준이 아니라 언론중재위에 제소를 걸어야 할 정도로 문제가 있는 기사”라며 “일방적으로 회사의 자료를 받아쓰면서 노조원을 제물로 만들었다”고 비판했다. 

“쌍용차는 작년 말 현재 655개인 유럽지역 딜러망을 내년 말까지 920개로 확대하고 현재 130개인 중국지역 딜러망도 2015년 말까지 200개로 확대하는 등 글로벌 판매 네트워크 확장전략을 공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중국지역은 노조 파업 직후였던 2010년 2230대 수출 실적이 지난해 6300대로 늘어났고 올해는 1만대 이상 판매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등 쌍용차 경영 실적만을 선전하면서 파업에 참여했던 노조원들은 자극적 단어로 난도질했다는 것이다. 

   
▲ 매일경제 6월 30일자 온라인 기사 <자살자 속출했던 쌍용차 흑자전환 서광>
 

해당 기사를 쓴 채수환 기자는 중견급 기자다. 그는 “‘자살특공대’는 2009년 김문수 지사도 직접 썼을 정도로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용어였다”며 “쌍용차 홍보실 쪽에 노조가 (얼마나) 치열했는지 당시 분위기를 물어 봤는데 더 심한 표현을 쓰더라. 적합한 표현인가 검색을 해봤는데 많은 매체에서 쓰던 보편적 용어였다”고 해명했다. 

2009년 김문수 당시 경기도지사는 “회사는 망해 배가 가라앉고 있는데 회사를 살릴 책임이 있는 사람들이 스스로 죽겠다고 자살특공대를 만들어서 시너를 끌어안고 옥쇄투쟁을 하고 있다”는 망언을 쏟아내 정치권과 시민단체로부터 뭇매를 맞은 바 있다.  

채 기자는 ‘해당 단어를 쓰기 전 노조 쪽에 문의해봤냐’는 질문에 “일단 대언론창구는 회사 홍보실”이라며 “해당 홍보실에서 스크린을 했을 때 문제 없이 넘어간 기사”라고 설명했다. 채 기자는 “이미 언론에서 재인용해서 쓰고 있는데 해고노동자 대표에게까지 확인하라는 것은 납득하기 어려운 주장”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창근 실장은 “회사가 이야기하는 건 무조건 진실이고 팩트인가”라며 “회사 ‘자료’는 백번 양보해 받아쓸 수 있다고 해도 그들 ‘주장’을 이렇게 갖다 쓰는 건 기자로서 자질이 없다는 걸 방증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실장은 “채 기자는 중견 기자라고 한다”며 “매경 편향성이 지나칠 정도 심각하다는 걸 보여주는 사례”라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