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미 시인은 시집으로는 드물게 50만 부가 넘게 팔린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 <서른, 잔치는 끝났다>에서 젊음이 사위는 것을, 그래서 새로운 발걸음을 내딛기를 주저하게 되는 나이를 서른으로 보았더랬다. 1994년에는 그랬다. 겨우 서른의 나이에 세상을 향해 나서기보다 ‘잔치는 끝났다’고 탄식하며 ‘그러나 대체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라고 주춤하는 지식인 여성의 자의식이 너무 이르다고 본 것일까?

우연인 듯, 필연인 듯 시인과 성은 다르되 같은 이름을 한 이영미 감독은 전주영화제 한국장편경쟁에서 선보인 <사물의 비밀>에서 시인의 회한을 받아 새로 답한다. 영화를 통해서. 자신이 과거를 끊지도 못하고, 새로운 시도를 하지 못하고, 쌓아올린 것을 허물지 못하는 까닭을 나이 탓으로 돌리는 여주인공 혜정(장서희)은 마흔이다. 혜정은 울먹이면서 말한다. “왜 마흔이야, 서른만 됐어도...”라고.
 
혜정이 울먹이는 까닭은 남들 앞에서만 애정 깊은 체하는 쇼윈도우 부부 생활의 삭막함 때문이 아니라 젊고, 아름답고, 상냥하고, 반듯하기 그지없는 스물한 살 청년에 대한 욕망 때문이다. 하필 그 청년 우상(정석원)은 제자고, 혼외정사를 경험한 여성들에 대한 혜정의 논문을 돕는 연구보조원이다. 그래서 ‘오르지 못할 나무’인데 자꾸 마음이 가고, 손길이 가고, 몸까지 따라가려 하니 기가 막힐 노릇이다.
 

   
영화 <사물의 비밀>.
 
혜정이 논문자료 수집을 하면서 만나는 여성들 가운데는 한참 나이어린 횟집 청년과 사랑에 빠져 안정적이던 횟집 사장과의 결혼 생활을 끊어버리고 격렬한 욕정의 한가운데로 나아간 횟집 안주인도 있다. 두렵지 않았느냐고 묻는 혜정에게 교수님은 가진 게 많아서 두려울 지 모르지만 자신은 가진 게 몸뚱이 밖에 없으니 두려울 것도 없노라며 어차피 죽으면 썩어질 몸, 차라리 불태우겠다고 답하는 예전 횟집 안주인(윤다경)의 당당함 앞에서 혜정은 우상에 대한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기보다 내비쳐 보일 용기를 얻기도 한다.

그러나 혜정과 우상 서로에게는 비밀이 있고, 그 비밀을 알고 있는 것은 각자의 ‘사물’들 만이다. 마치 최영미가 <마지막 섹스의 추억>에서 ‘살아서 팔딱이던 말들/살아서 고프던 몸짓/모두 잃고 나는 씹었네/입안 가득 고여오는 마지막 섹스의 추억’이라고 읊조렸듯이 혜정은 속에서 들끓는 욕구불만을 인터넷 성인 사이트에 글을 쓰는 것으로 풀고 있다. 그런 혜정의 비밀을 아는 것은 오직 연구실에서 항상 그녀의 모든 것을 지켜보는 복사기뿐이다.

혜정이 결혼 생활이나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양면적인 모습과 이름으로 살아가는 비밀이 있듯 우상에게도 비밀이 있다. 다복한 가정에서 사랑 듬뿍 받으며 자라 몸도 마음도 완벽하기 이를 데 없어 보이는 우상은 사실 가정도 불우하고, 학생으로서의 낮과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일하는 밤이 다르며, 혜정이 생각하는 것처럼 마냥 순수하기만한 청년이 아니다. 그런 우상의 비밀을 낱낱이 담았다가 감쪽같이 지워주는 것은 늘 우상이 지니고 다니는 디지털 카메라뿐이다.

이영미 감독이 인격을 부여한 이런 사물들은 최영미 시인의 와도 같다. ‘이 기록을 삭제해도 될까요?/친절하게도 그는 유감스런 과거를 지워준다/깨끗이 없었던 듯, 없애준다/우리의 시간과 정열을, 그대에게/어쨌든 그는 매우 인간적이다/필요할 때 곁에서 깜박거리는/친구보다 낫다/애인보다도 낫다/말은 없어도 알아서 챙겨주는/그 앞에서 한없이 착해지고픈/이게 사랑이라면/아아 컴-퓨-터와 씹할 수 있다면!’

   
영화 <사물의 비밀>.
 
복사기나 컴퓨터의 렌즈를 통해 포착되는 것은 각자의 비밀들만이 아니라 진심이다. 멀쩡한 사람의 눈으로는 읽어내지 못하는 그런 진심. 사물들은 그들의 진심을 판단하지도 단죄하지도 않는다. 그저 지켜보고, 속에 담을 뿐. 그러나 사물의 관대함은 거기까지. 사람은 사람으로부터 이해받고, 위로받고, 서로 안기기를 바란다. 그런데 비밀이 드러났을 때, 그것도 제대로가 아니라 이런저런 오해로 뒤틀려 까발려질 때, 사람들은 서로에게 상처를 입힌다. 혜정도 우상도 그렇다. 이 지점에서 이영미 감독은 사물들의 입을 빌어 잔치가 끝났다고 주저앉는 대신, 자기 상처에 흐르는 피에만 아파하는 대신, 상대를 돌아보라고 한다. 아픈 것은 자신만이 아니며, 피 흘리는 것도 자신만이 아니라고. 그러니까 나이나 비밀 따위로 잔치는 끝나지 않는다고.

최영미 시인이 ‘너의 젊은 이마에도/언젠가/노을이 꽃잎처럼 스러지겠지/그러면 그때 그대와 나/골목골목 굽이굽이/상처를 섞고 흔적을 비벼/너의 심장 가장 깊숙한 곳으로/헤엄치고프다, 사랑하고프다’라고 <아도니스를 위한 연가>에서 청춘에 대한 마음을 지레 포기하고 아쉬워만 한 것과 달리 이명미 감독은 끝까지 밀어붙인다. 그 밀어붙이는 과정을 감독 자신의 사물, 카메라를 통해 관객에게 내보인다. 때론 우스꽝스럽고, 때론 민망하기도 하고, 때론 안타깝기도 한 비밀을 한번 들여다보라고 한다.

청춘은 아름답지만 사랑은 그보다 더 아름답다. 비밀은 아슬아슬하지만 사랑은 그보다 더 아슬아슬하다. <사물의 비밀>은 이 아름답고 아슬아슬한 스승과 제자, 연상의 여인과 나어린 청년의 관계를 통해 사람들에게 격려를 보낸다. 세상에 오르지 못할 나무는 없으며, 접어야 하는 마음도 없고, 해서는 안되는 사랑도 없다고. 그러니 사물과 비밀을 나누는 대신 사람끼리 서로 마음을 열라고.

전주=이안 영화평론가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