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또 말을 바꿨다. 김태영 국방장관은 지난달 30일 국회 국방위에서 "과거 폭뢰를 개조해 적의 상륙을 거부하기 위한 시설을 해놨는데 모두 수거했다"며 천안함 침몰과는 상관이 없다고 선을 그었으나 원태재 국방부 대변인은 12일 "아직까지 전량이 제거된 것은 아니다"라고 김 장관의 말을 뒤집었다.

원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70년대 당시 적의 상륙을 방어하기 위해서 백령도 근해에 기뢰를 설치했지만 이후 수차례에 걸쳐 제거 또는 불능화 조치를 취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원 대변인은 이어 "아직까지 전량이 제거된 것은 아니다"라며 "천안함과 관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조사 중에 있고 결과가 나오면 알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방부는 또, 문제의 기뢰가 폭발위험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원 대변인은 "김 장관이 지난 2008년 합참의장으로 있을 당시 10여 발을 제거했다"며 "문제의 기뢰는 전기에 의한 수동식 기폭장치여서 그냥 폭발할 위험은 없다"고 설명했다.

원 대변인은 "이 기뢰는 다른 형태의 것을 기뢰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조한 것으로 전기로 연결해 터뜨리는 것이고 30여 년이 지나 모두 부식돼 폭발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도 밝혔다.

폭발위험 없는데 2008년 기뢰제거 왜 했는지 의문

그러나 군 당국이 애초 백령도 인근에 설치한 우리 군의 기뢰는 모두 수거했다고 했다가 언론에서 유실 가능성을 보도한 뒤에 '100% 제거된 것은 아니다'라고 말을 바꾼 것은 군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린다는 지적이다.

또, 군 당국은 이 기뢰가 "30여 년이 지나 폭발 가능성이 없다"면서 불과 2년 전인 2008년까지도 기뢰 제거 작업을 벌였는지에 대해서는 별다른 해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에 앞서 한겨레21은 전직 해군 최고위급 인사의 말을 인용해 "백령도 연화리 앞바다에 200kg 무게의 원통형 기뢰 100여 개가 유실됐고, 이 유실된 기뢰들이 천안함 사고와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어망이나 그물에 스크류가 걸리면서 땅 속에 파묻혀 있던 기뢰가 끌려 올라와 전기적 반응이나 충격에 의해 폭발했을 개연성이 있다는 것이다.

조갑제 <월간조선> 전 대표도 7일 자신의 누리집에 "이명박 대통령의 '말 못할 고민'은 '회수 못한 연화리 해저기뢰'"란 글을 올려 "이 대통령이 천안함 사건에 대해 북한 도발 가능성을 언급하지 않는 것은 30여년전 사고 해역에 한국군이 설치한 해저기뢰 중 회수 못한 것이 상당수 있어 이 기뢰에 의한 침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보고를 받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한국국방연구원의 박창권 박사는 12일 "폭뢰나 기뢰, 어뢰 모두 천안함을 두 동강 낼 정도의 파괴력을 갖고 있다"며 "(아군 기뢰인지 북한 기뢰인지) 현재로서는 알 수 없고, 외부 폭발에 의한 가능성이 높다는 정도만 추론이 가능할 뿐 정확한 원인에 대해서는 천안함이 인양돼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