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무현 정부 첫 문화부장관 이창동. 사진=SBS 보도 갈무리
▲ 노무현 정부 첫 문화부장관 이창동. 사진=SBS 보도 갈무리

2003년 3월14일, 노무현 정부에서 처음 문화관광부를 맡은 이창동 장관이 기자실을 폐지하고 출입기자 등록을 한 모든 매체에 취재를 개방하는 브리핑 제도를 실시하기로 발표했다.

이는 출입기자들을 중심으로 한 폐쇄적 기자실 문화를 개선하려는 목적이었지만 언론 통제라는 비판을 받았다. 기존 기자실은 출입기자단에 가입해야만 기자실을 이용할 수 있고 새 매체의 출입기자단 가입은 기자단에서 결정했다.

이 장관은 이날 취임 후 첫 기자회견에서 ‘출입기자 등록제’와 ‘기자실 폐쇄’를 내용으로 하는 홍보운영방안을 발표했는데 기본방향은 개방·공평·정보공개가 원칙이라고 밝혔다. 문화부는 폐쇄적으로 운영하던 기자실 대신 브리핑룸을 만들어 매주 수요일마다 정책을 설명하겠다고 했다.

기자들의 사무실 개별 취재를 막고 담당 공무원은 공보관 협조를 구해 취재 지원실에서 만날 수 있도록 했는데 이 장관은 “업무 공간을 보호한다는 취지에서 사무실 방문을 제한한다”고 설명했다. 대신 문화부가 생산한 보고서나 결재문서를 최대한 공개하기로 하고 오보나 왜곡보도에 언론중재나 소송으로 적극 대응하겠다고 했다.

공익고발(내부고발) 등 취재원 보호가 필요한 경우는 예외지만 가능하면 ‘문화부 관계자에 따르면’과 같은 익명보도를 지양하도록 했고 직원이 언론사 취재에 응한 경우 취재기자와 취재내용을 공보관이 정한 양식에 따라 즉시 공보관에 통보하도록 했다. 전화나 이메일 취재는 허용했다.

▲ 이창동 문화부 장관은 2003년 3월14일 기자실 폐지를 발표했다. 사진=SBS 보도 갈무리
▲ 이창동 문화부 장관은 2003년 3월14일 기자실 폐지를 발표했다. 사진=SBS 보도 갈무리

다음달인 4월16일 문화부는 처음으로 브리핑룸과 취재지원실을 만들고 첫 공개 브리핑을 진행했다. 기존 기자실을 개조해 모두 27평 규모에 3인용 탁자와 의자 각각 10개, 보조접의자 10개, 브리핑대, 오디오 단자, 녹음시설, 기사송고실 등을 갖췄다. 당시 문화부 출입기자는 47개 매체에 105명이 등록돼 있었다.

문화부를 시작으로 청와대, 정보통신부, 기상청, 기획예산처, 국세청, 해양수산부, 외교통상부 등 이듬해 초까지 타 부처들도 기자실을 개방했다. 보수진영에서 언론탄압이라는 비판을 받던 노무현 정부의 언론정책은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정부부처 기자실을 복원했다.

1963년 3월14일, ‘표본실의 청개구리’ ‘만세전’ 등을 쓴 소설가 염상섭이 사망했다.

염상섭은 1919년 도쿄에서 2·8 독립선언으로 검거됐다가 풀려나 귀국한 뒤 동아일보 1기로 입사해 정치부 기자로 일했다. 조선일보 학예부장, 매일신보 정치부장, 만선일보 편집국장 등을 지냈고 해방 이후 1946년 경향신문 초대 편집국장(초대 주필 정지용)을 지내는 등 언론인으로서도 활동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