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정윤경 연구원
“저작권을 보장하는 것은 생산자의 창작의욕을 높이기 위한 목적도 포함되어 있다고 본다. 같은 의미에서 드라마에 관한 권리 또한 제작자에게 주어지는 것이 당연하다.”

외주제작사 문제에 관심을 가져온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정윤경 책임연구원(언론학 박사)은 조금의 망설임도 없이 드라마 저작권은 외주제작사에게 주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기획·제작·감독과 배우의 섭외 등 드라마의 제반사항을 대부분 외주제작사들이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인데 방송사가 제작비의 일부를 지원한다는 이유만으로 2차 저작권과 해외저작권 이익의 상당부분을 가져가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정 연구원은 이러한 문제의 원인을 방송사와 외주제작사 간에 힘의 불균형이 심각하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방송사들이 제작과 송출 등 기형적으로 수직 결합된 시스템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기본적인 생각이 변화하는 방송환경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데다, 자신들의 입장을 얘기할 수 있는 김종학 프로덕션 등  덩치가 큰 몇 개의 외주제작사를 빼면 대부분은 방송사가 외주를 주는 것만으로도 황송해 하는 것이 현실”이라는 것이다.

정 연구원은 “한국 드라마가 최근 국내는 물론 해외시장에서 비싼 값에 팔리고 있지만 외주제작사의 수입원이 간접광고(PPL)밖에 없고 그나마도 쉽지  않아 정작 드라마를 만든 외주제작사 사람들은 매우 열악한 환경에서 일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연구원은 최근 거대 외주제작사를 중심으로 외부(해외)투자를  받아 드라마를 사전 제작한 후 방송사에는 방영권만 주겠다는 시도는  당장 이뤄지기는 어려워도 앞으로 추세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 연구원은 “미국의 사례를 보더라도 외주제작사가 저작권을 갖고 있으며 방영권을  방송사에 파는 형태로 이뤄지고  있다”며 “방송사가 보유한도(방송횟수)를 늘릴  수는 있어도 저작권까지 갖겠다는 것은 무리”라고 외주제작사의 손을 들어주었다. 외주제작사에 정당한 부가가치 수익이 돌아간다면 드라마의 질을  높여 영상콘텐츠의 하부구조를 튼튼하게  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정 연구원은 “해외투기자본을 받아 드라마를 제작하면 그만큼 수익이 해외로  빠져나간다는 것”이라며 “자칫하면 해외투자자들의 배만 불리고 외주제작사는 계속해서  배가 고플 수도 있는 만큼 신중한 검토가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