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사 홈페이지에 4·15 총선 광고가 난립하면서 독자들이 눈살을 찌푸린다. 한 화면에만 40개에 달하는 배너광고가 나열되면서 홈페이지 이용에 방해될 뿐 아니라 애초 홍보 효과도 잃어버렸단 지적이다.

경기일보 홈페이지를 보면 기사가 배치되는 부분 양 옆으로 직사각형 배너광고가 24개씩 총 48개가 일렬로 정렬돼있다. 기사 부분 하단에도 배너광고 12개가 4칸3열로 추가로 배치돼 있다. 부천, 시흥, 안양, 파주 등 경기도 각지의 후보들 60여명이 광고를 의뢰했다.

▲위로부터 경기일보, 중부일보, 경기신문 홈페이지 갈무리.
▲위로부터 경기일보, 중부일보, 경기신문 홈페이지 갈무리.

 

같은 지역 중부일보, 경인일보, 경기신문 등도 유사하다. 중부일보와 경기신문은 배너광고가 각 37개, 34개로 경기일보보다 개수는 적지만 스크롤을 내려야 마지막 광고가 끝날 정도로 길게 나열됐다. 경인일보는 기사 부분 하단에 7칸3열로 27개 광고가 배치된 표가 있다.

다른 지역 언론사 상황은 이보단 덜하다. 강원일보는 한 화면에 배너광고 4개를 배치했고 강원도민일보는 7개 칸이다. 경남지역 주요 지역신문은 스크롤 길이를 넘길 정도로 광고가 나열된 경우는 없다. 충청 지역 언론사들의 광고량은 많은 편이지만 경기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덜하다. 중도일보는 광고 16개를 보통 1면 기사가 배치되는 화면 윗 부분에 배치했다. 충청투데이 경우 20개 광고가 기사가 배치되는 부분 중앙 부분에 배치됐다.

▲강원일보(위)와 중도일보 홈페이지 갈무리.
▲강원일보(위)와 중도일보 홈페이지 갈무리.

 

독자들 반응은 부정적이다. “선거 광고를 보러왔는지, 기사를 검색하러 왔는지 헷갈린다”는 비판이다. 한 경기도 시민은 “선거 광고는 필요하지만 원칙없이 광고를 받으면서 애초 목적이 뭔지 모르는 홍보 전광판이 된 느낌”이라고 비판했다. 후보들이 적지 않은 광고비를 냄에도 광고효과는 부실하다는 지적도 있다.

광고 난립은 언론사들 광고 수익 수요와 지역 후보들의 홍보 수요가 맞아 떨어진 결과다. 선거 기간은 언론사들에게 ‘대목’이다. 짧은 기간 광고 수요가 집중되기 때문이다. 보통 배너 광고 1개 당 통상 200~300만원 가량이고 광고위치가 좋거나 PV(페이지뷰)가 높은 언론사일수록 광고단가는 높다. 배너광고 40개를 올렸다면 통상 8000만원 이상 이익이 추산된다.

주요 격전지가 아닌 지역의 후보들은 전국 단위 신문·방송으로 보도되기 힘든 탓에 지역 언론의 홍보 효과에 기댄다. 또 선거자금 중 광고·홍보 명목으로 써야 할 금액이 정해져 있어 가능하면 언론을 통해 홍보하려는 성향도 높다.

2018년 한 캠프 공보팀에서 일했던 A씨는 “후보 입장에선 경쟁 후보가 광고를 낸 매체에 광고를 내지 않으면 상대적으로 (보도에) 덜 성의를 보일 거라고 우려하는 측면도 있다”며 “그런데 언론사가 아무렇게나 광고를 받기 시작하면서 애초 홍보 취지에 맞지 않게 변질됐다. 매년 반복되는 장사 같다는 생각도 든다”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