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보도가 쏟아지면서 △정부가 중국 눈치를 본다 △예방조치에 대해 ‘경제 피해가 크다’ △‘방역이 뚫렸다’더니 ‘폐쇄 등 대응이 과도하다’고 비판하는 보도가 나온다.

검증 없는 보도나 자극적 보도는 계속 지적돼왔다. ‘의사도 시민도 픽픽 실신… 봉쇄된 우한 현장’(노컷뉴스 1월25일), ‘우한 폐렴 실제 감염자 9만명, 중국 현지 간호사로 추정되는 남성의 폭로’(인사이트)가 대표적이었다. 이들 보도는 우한의 의료진이라고 주장하는 여성의 영상을 근거로 감염자가 1월에 이미 9만명이 넘었다고 전했다. 채널A의 ‘뉴스A’(1월26일)에서도 해당 영상을 내보냈다. 2월11일 현재 중국 감염병 환자는 4만여 명으로 발표된 상황이다. 이런 보도는 사실과 다른 주장을 널리 퍼뜨려주는 역할을 했다.

격리된 이들이 공용 세탁기를 쓴다며 ‘전염될까 걱정인데 공용 세탁?’(채널A, 2월3일)같은 기사도 사실 확인이 부실하고 공포만 유발한다. 연합뉴스 ‘우한교민 잠 못드는 밤’(격리된 우한 교민을 찍은 뉴스, 1월31일)도 자극적이고 사생활 침해적 보도였다. 민주언론시민연합은 우한 교민들 숙소를 클로즈업한 보도에 “연합뉴스만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채널A 뉴스 화면 갈무리.
▲채널A 1월26일 뉴스 화면 갈무리.

‘정부가 중국 눈치를 본다’는 프레임도 있다. 초기에 언론이 ‘우한 폐렴’이라고 부르다가 세계보건기구(WHO)가 공식 명칭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정하자 정부 역시 이같은 발표를 했다. 이에 조선일보는 “靑 우한폐렴이란 병명 모두 바꿔, 네티즌 ‘中엔 왜 저자세로 나가나”(1월28일)라는 기사부터 시작해 우리 정부가 중국 눈치에 병명을 바꿨다고 보도하고 있다. 조선일보는 여전히 ’우한폐렴‘이라는 명칭을 쓰고 있다.

한발 더 나아가 조선일보는 11일 ‘北도 신종 코로나에 우한 지명 사용 못하게 해’라는 기사에서 마치 북한이 중국 눈치에 병명을 바꾸었고 한국 정부도 그랬다는 뉘앙스를 풍겼다.

중앙일보도 ‘신종 감염병 속 한중 관계 조망’(1월30일)에서 “우한 폐렴 대응에도 중국 눈치를 보고 있다는 의심은 병명 문제로 번진다. 자업자득”이라고 썼다. 서울경제 ‘중국 앞에만 서면 왜 작아지나’(2월6일)도 중국에 여행제한조치를 미루고 정부가 중국 정부를 지나치게 감싸준다며 “시진핑 주석의 방한 등 현안 해결에 차질을 우려한 정부가 서둘러 꼬리를 내렸다”고 해석했다.

▲11일 조선일보 사설.
▲11일 조선일보 사설.

이에 더해 조선일보 등은 정부가 ‘중국 눈치를 봐서 중국 입국 제한을 하지 않는다’고도 했다. 조선일보 7일 사설은 “정부는 중국인 입국 제한 주장이 나올 때마다 중국 혐오를 그만두라며 자국민 건강보다 중국 눈치를 더 살피는 모습”이라며 “총선 전에 김정은 답방이 안 되면 시진핑 방한이라도 성사시키고 싶은 미련”이라고 썼다. 한국경제도 6일 사설 ‘우한폐렴 국가란 무엇인가’에서 “정부는 후베이성 방문자에 대해서만 입국을 금지했다. 중국 눈치보기인가 아니면 방역 능력에 대해 생각조차 해보지 않은 것일까”라고 보도했다.

이들 매체는 중국인 입국 제한에는 열을 올리면서도, 감염자들이 거쳐간 장소 등을 폐쇄하는 등 감염 확대 예방조치를 하면 ‘경제적 손해’라며 반발한다. 이들은 백화점·상점 일시폐쇄에 ‘유령도시가 됐다’, ‘경제타격이 크다’고 부풀려 보도한다. 지금까지 중국 우한이나 베이징을 ‘유령도시’로 칭하는 보도는 일부 있었지만 서울을 ‘유령도시’로 칭한 건 조선일보와 조선비즈 기사가 있었고 확진자가 다녀간 송도에 대해 ‘유령도시를 방불케 한다’는 기사가 있었다. ‘유령도시’와 같은 단어은 불안감을 일으키는 표현이다. 

▲조선비즈 보도.
▲조선비즈 2월9일 보도.

조선일보는 7일 기사에서 “우한폐렴 공포가 확산되면서 서울을 비롯한 전국 곳곳이 유령도시처럼 변해가고 있다”며 한 자영업자의 말을 빌어 “사스나 메르스 때도 시민들 공포감이 이 정도는 아니었다”, “일상과 생활경제도 함께 쪼그라들고 있다”고 썼다.

같은 면에 “기침 옮으면 입사 시험장 쫓겨날 판, 취준생들 친구 기침에도 철렁”이라는 기사에도 “감기 증세만으로 입사시험 기회조차 얻지 못하는 얘기까지 나온다”고 썼다. 감염병 보도는 국민 건강과 직결돼 자극적 보도를 지양해야 하는데 조선일보는 공포를 극대화시킨 보도가 적지 않았다.

초기엔 ‘방역이 뚫렸다’고 비판하던 언론이, 이제는 어린이집이나 상점 폐쇄가 지나치다며 경제적 피해를 강조하고 있다. 조선일보 11일 사설은 “코로나 공포가 번지면서 상가와 식당에 발길이 끊겼고 행사와 모임도 속속 취소”된다며 “이렇게까지 불안에 떠는 나라는 중국 빼고는 한국밖에 없다”고 했다. 이어 “시흥시는 일가족 확진자가 나오자 어린이집 등 517개 돌봄 시설 운영을 중단시켰다. 지금의 분위기는 지나치다”며 “국내에선 중증으로 진행한 경우가 아직 하나도 없다. 확진자가 수백m 근방을 스쳐 지나갔다고 모조리 폐쇄부터 하고 상점들은 모두 문을 닫는 식이어선 피해가 너무 크다”고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