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OECD 국가 가운데 미국에 이어 기후위기대응 최하위권 국가로 나타났다. 25차 기후위기협약 당사국총회가 진행되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10일(유럽시각) 독립 평가기관인 저먼워치, 뉴클라이밋연구소, 기후행동네트워크가 ‘기후위기대응지수(CCPI) 2020’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한국의 기후위기대응지수는 61위 국가 중 58위로 지난해 57위보다 한 계단 하락한 최하위를 나타냈다. OECD 34개 국가 중에서는 한국이 미국에 이어 최하위인 33위를 기록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10일 이 같은 순위가 담긴 보고서를 전하며 “한국의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 소비량이 높은 데다 2030년 중장기 목표도 파리기후협정에서 정한 2℃ 목표 달성에 부족하다고 평가됐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환경운동연합은 “각각 59위와 61위로 꼴찌를 나타낸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과 에너지 소비 저감 노력에 대해 이번 보고서는 ‘매우 미흡(very low)’하다고 혹평했다”고 밝힌 뒤 “한국에서 재생에너지가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지만 비중은 여전히 너무 낮다”고 덧붙였다. 

▲
▲기후위기대응지수(CCPI) 2020 결과를 시각화한 이미지. 색깔이 진할 수록 대응이 나쁜 국가다. 

해당 보고서(climate-change-performance-index.org)는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90%를 차지하는 57개 다 배출 국가를 평가한 결과 31개국에서 온실가스 감소세가 확인됐다고 밝혔으며 석탄 소비량 감소와 재생에너지 확대를 주요인으로 꼽았다. 이번 보고서에서 CCPI 1~3위 국가는 없다. 대응 수준이 ‘매우 좋음’으로 꼽힌 나라가 없어서다. 4위는 스웨덴, 중국은 30위로 한국보다 높았다. 파리협정 탈퇴를 선언하며 기후 정책을 후퇴시킨 미국은 최하위라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한국은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심각한 ‘문제적 국가’다. 한국은 지구에 순환면적 3.5배를 요구할 만큼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이자 플라스틱으로 무장한 ‘과잉사회’이지만 무서울 만큼 기후변화에 둔감하다. 이번 기후위기대응지수 평가에 참여한 환경운동연합 이지언 에너지기후국장은 “한국도 석탄발전과 내연기관차 퇴출 로드맵을 조속히 마련하고 에너지 요금과 세제 개편을 통해 비효율적인 에너지 다소비 구조를 과감히 개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초대 국립기상과학원장인 조천호 경희사이버대 기후변화 특임교수는 “온실가스는 재해성 날씨를 포함해 물 부족·식량부족·해수면 상승 등 전 지구적인 문제로 이어진다. 미세먼지와 등급상 전혀 다른 세계의 문제”라고 강조하며 “우리나라는 과다 인구로 식량이 절대 부족하다. 기후위기에 국가 안보적 관점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앞으로는 지금처럼 안정적인 식량 공급이 어려울 수 있다. 미국과 호주가 전망한 아시아 대기근에서 식량자급률이 25%도 안 되는 우리나라는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우려하고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