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한 연합뉴스 신임 편집총국장(53)이 강조하는 연합뉴스 과제는 편집권 독립과 정확성이다. 데스크 회의에서 끝나는 사상누각이 되지 않게 임기 1년 반 동안 에디터부터 현장기자 한 명 한 명에까지 뿌리내리는 것이 목표다. 지난 25일 미디어오늘과 만난 이 총국장은 올해 ‘연합뉴스 정부 지원금 폐지’ 청원 등으로 나타난 시민 불신에 “더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성한 연합뉴스 편집총국장. 사진=연합뉴스
▲이성한 연합뉴스 편집총국장. 사진=연합뉴스

- 총국장으로 부임하며 사내에 약속한 비전이 있다면?

“‘연합뉴스가 과연 공정보도, 편집권 독립을 정착시킬 수 있느냐’가 회사 안팎의 가장 큰 관심이다. 조직 전체가 편집권 독립 원칙을 소중히 여기고 노력하는 환경을 만드는 게 우선 목표다. 저와 에디터, 부장 등 간부들은 기자 능력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역할을, 기자들은 현장에서 이를 실현하려는 노력을 다해야 한다.

속보와 정확성은 통신사 숙명이다. 연합뉴스도 번역 오류 등 문제가 불거지며 정확성이 도마에 오르기도 했다. 신속 보도는 당연한 것이고, 무게중심을 정확성으로 좀 더 옮겨 만전을 기하려 한다. 기자들이 사안을 미리 면밀히 파악하면 시급히 기사를 처리해야 할 순간에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 편집권 독립을 위해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기자들이 출입처 논리에 동화하지 않는 게 중요하다. 출입처와 늘 긴장관계를 유지해야 하는데 지금으로선 부족한 면이 있다. 취재 정보를 얻기 위해 출입처에 아쉬운 소리를 하는 게 아니라 출입처를 비판하는 시각을 갖도록 하는, 뼈 깎는 노력이 필요하다.”

- 언론 불신이 깊은 시대다. KBS·YTN은 출입처 폐지 등 대대적 개혁을 예고했다. 통신사로서 고민하는 바가 있다면?

“마찬가지로 출입처 논리에 빠지지 않는 것이다. 실시간 뉴스를 중시하는 통신사는 출입처에 기반을 두고 콘텐츠를 생산한다. 출입처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과거 관행에서 벗어나 출입처를 중심으로 파생되는 분야까지 콘텐츠 생산 영역을 얼마나 넓힐지 앞으로 과제다.

출입처 탈피로 소홀해질 수밖에 없는 분야는 테마 별로 담당 기자를 정해 콘텐츠를 생산하는 방향을 고민하고 있다. 기획보도, 탐사보도, 팩트체크 등 영역을 강화하겠다. 장기적으로 출입처와 무관하게 별도 활약할 수 있는 인력 충원이 필요하다.”

- 연합뉴스 정부지원금 폐지 청원까지 올라왔다. 현 상황을 어떻게 진단하는지?

“과거 정부 때 ‘연합뉴스가 편향됐다’는 불만이 누적됐다. 그 불신이 여전한 것 같다. 공적 성격을 지닌 연합뉴스에 대한 독자들 요구가 그만큼 커졌다고 본다. 문장 하나하나에 우리 기사가 지니는 의미를 무겁게 받아들이고, 스스로 되돌아보는 계기로 삼고 있다.”

- ‘주52시간제 준수’는 잘되고 있는지?

“연합뉴스는 24시간 깨어있어야 하는 통신 속성상, 다른 언론사보다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는 구조다. 언론계에서 처음으로 주52시간 노동제를 도입했는데 어려움이 많다. 기사가 폭주하는 청와대팀, 정당팀, 법조팀, 한반도부, 경제부 재경팀 등 주52시간을 넘게 일하고도 보상받지 못하는 기자들이 많다. 주52시간을 적용받지 않는 간부들 노고도 눈물겹다. 주52시간을 초과하는 노동에 대한 보상을 노사가 논의 중이다. 장기적 해답은 인력충원이다. 지난해부터 50여명 신입·경력기자 인력을 충원했다.”

-여성 인력 유리천장과 관련해 편집국 내 어떤 고민이 있는지?

“과거 기자 채용이 절대적 남성 위주여서 6~13기에 여성 기자가 한 명도 없다. 제가 10기인데, 이런 상황에서 여성 간부 비율을 따지긴 어렵다. 현재 임원 4명 가운데 1명, 에디터 7명 가운데 1명이 여성이다. 부팀장 60여명 중에는 7명이다. 오히려 최근 채용한 신입기자는 45명 가운데 30명이 여성이다. 차장급과 기자직에 여성 비율이 높아 앞으로 여성 간부는 자연히 늘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만의 강점으로 가장 관심을 갖는 부분은?

“지금은 통신사도 여럿이고, 신문들도 속보를 쏟아내며 서로 경쟁하는 시대다. 연합뉴스는 ‘신속과 정확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쫓고 있다. ’연합은 믿을 만하다’는 신뢰, 연합뉴스 기사가 뜨면 국내외 언론들이 믿고 따라올 수 있는 풍토가 자리 잡도록 노력하겠다.

해외·외국어·지역뉴스 강화도 중요하다. 이 부문은 ‘이익이 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언론사들이 따라오기 힘든 부문이다. 연합뉴스가 공적 지원을 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당장 재정 문제로 특파원을 늘리진 못하지만 해외·지역 뉴스 콘텐츠를 강화하고, 6개 외국어 뉴스를 통해 국내 정보를 전 세계에 알리는 역할에 주력하겠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