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내 여성 근무자들이 자발적으로 조직한 ‘국회페미’가 결성 1주년인 16일부터 한 달간 국회 유리천장 타파를 위해 ‘여자는 보좌관 하면 안 되나요?’ 캠페인을 펼친다고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국회페미가 연속으로 진행하고 있는 ‘일터로서 성 평등한 국회 만들기 캠페인’ 일환으로 지난 6월 ‘커피는 여자가 타야 제맛입니까?’에 이은 두 번째 기획이다.
 
8월1일 기준 국회 전체 보좌진 중 여성 비율은 38.2%이다. 직급별 비율은 △4급 보좌관 8.6% △5급 비서관 19.9% △6급 비서 26.7% △7급 비서 37.4% △8급 비서 60.5% △9급 비서 63.3% △인턴 비서 52.3%이다. 의원실은 4급 2명, 5급 2명, 6~9급 및 인턴 각 1명 총 9명의 보좌직 공무원을 고용하고 있다. 
 
4급부터 7급까지는 남성이 절대다수이고, 8급·9급에서는 여성이 다수인 셈이다. 국회페미는 “각 의원실의 최종결정에 영향을 행사하는 보좌관과 비서관의 합계 여성 비율은 14.3%로, 이는 20대 국회의원의 여성 비율인 17%보다 낮은 수치”라고 지적하며 “국회의원의 의정활동 전반이 남성 중심적 사고에 치우쳐 이뤄질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우려했다.

▲국회페미가 국회 내에 부착한 포스터.
▲국회페미가 국회 내에 부착한 포스터.

국회페미는 “전체 여성 보좌진 869명 중 58.3%가 하급직에 머무르며 방문객 대접, 전화 응대, 집기 관리 등의 잡무를 도맡고 있다. 이중 상당수의 인원이 사무실 회계와 행정 전반을 책임지는 행정비서 직무로 일하고 있다”며 “관례적으로 정책 업무 보좌진에 비해 행정 직무 담당자는 승진에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국회페미 활동가는 “인턴 성비는 매년 평균 남녀 반수 수준이나 비슷한 역량과 경험을 가지고도 여성 인턴은 상대적으로 승급 기회가 많지 않고 행정 직무가 강요되기도 한다. 정당하게 자기 능력을 펼칠 기회를 찾아 국회를 떠나는 여성이 많다. 그래서 여성 보좌진 수가 적을 수밖에 없는 것”이라 밝혔다. 
 
또 다른 활동가는 “모든 의사결정 구조가 군대식의 절대 하향식이다. 이는 국회 전체의 폐쇄성, 과도한 권위주의와 밀접하게 닿아있다”고 지적하며 “국회의원의 의정활동 전반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보좌진 조직의 심각한 성불평등 문제는 국민의 절반인 여성을 대표해야 하는 국회의 책임과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해소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회페미는 국회 내 공개된 장소에 포스터를 부착하고 여성 보좌진의 실제 피해 사례를 온라인에 게시하는 등의 방식으로 캠페인을 확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회페미는 국회 내 여성 보좌진 기반 페미니스트 그룹으로 1년 전 ‘안희정 성폭력 사건’ 1심 판결 이후 시작됐으며 일터로서 성평등한 국회를 만드는 것은 국민의 절반인 여성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와 서민의 권익을 위하는 국회를 만드는 것과 맞닿아 있다는 기치 아래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