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월5일, 오늘의 주요 이슈는 선거법 개정이다. 이미 국제적으로 선거연령이 만 18세로 낮아지는 추세인데 한국은 여전히 만 19세를 선거연령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동안 몇 차례 이 문제가 거론됐는데 한나라당이 반대해왔다.

하지만 개혁보수신당이 찬성 입장을 내비치면서 빠르면 올해 만 18세 고등학생도 대선에 투표할 수 있게 됐다. 그런데 몇몇 언론이 이를 두고 ‘학교 현장의 정치화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정치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민주주의 사회 시민으로서의 필수 교양이기도 하고 극단적 대립이 우려된다면 이는 교육으로 풀어나갈 문제다. 언론의 ‘오지랖’이 과해 보인다.


하지만 정작 오늘 가장 관심가는 뉴스는 동아일보의 정윤회 인터뷰다. 정윤회는 최순실의 국정농단이 “이 정도 까지 일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또한 “내가 계속 최씨와 가깝게 지냈다면 막았을지 모른다”고 덧붙였다. ‘서열2위’라는 의혹을 받는 당사자치곤 무책임해 보인다.

더구나 정윤회씨는 국회 국정감사 청문회 증인 채택에도 출석하지 않았다. 그는 집안에 있지 않았다고 주장하지만 그의 인터뷰를 보면 그동안 뉴스는 꼬박꼬박 챙겨본 것으로 보인다. 일부로 나오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더 황당한 것은 5일 예정된 헌법재판소 변론에 증인으로 채택됐던 안봉근·이재만 전 청와대 비서관들이 사라졌다는 중앙일보의 보도다. 국정농단 의혹 당사자들이 대체로 국회나 헌법재판소 등 헌법기관 출석 요구를 무시하고 언론을 이용해 자신의 필요한 말만 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비선진료 의혹을 받는 김영재 원장의 가족 회사를 꼼꼼히 챙겨줬다는 보도도 나왔다. 특검 수사 과정 중 정호성 전 비서관이 이와 같은 증언을 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김영재 원장 부인의 사업을 ‘창조경제’와 연관시켰다고 한다. 특검은 이 배경에 최순실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겨레는 최순실의 실체가 조금씩 드러나던 지난해 10월, 우병우 민정수석이 이끈 민정수석실이 미르·K스포츠 재단과 관련해 박근혜·최순실에게 법적 문제가 없다는 취지의 문건을 만들었다고 보도했다. 실제로 이 문건에는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발언할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메시지가 제시돼있고 박 대통령은 이를 그대로 읽었다.

이 문건의 문제점은 첫 번째, 대통령이 이런 문건을 보고 사태파악을 제대로 못하게 했다는 점이며 두 번째 실제 검찰에 이것이 수사 지침으로 내려갔을 수 있다는 점이다. 사건 초기, 검찰은 최순실 게이트에 대한 조사를 소극적으로 진행했다. 대통령의 눈과 귀를 가리고 사태를 덮으려는 것, 역사 속 간신들의 행위와 다를 바 없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