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2월28일 오늘의 아침신문 1면이 주목한 이슈는 국정역사교과서다. 교육부는 애초 2017년부터 역사교과서에 한해 국정교과서만 사용하기로 했는데, 27일 이 방침을 철회하고 2018년부터 국·검정을 혼용해 일선 학교해서 알아서 채택·사용하기로 했다.

국정교과서에 대한 비판 여론을 교육부가 수용하는 모양새인데, 여기에 꼼수가 있다. 교육부는 2017년 시범사업으로 국정교과서를 채택하는 학교를 연구학교로 지정해 지원금을 주겠다고 했다. 2018년부터 국검정을 혼합해도 수능이 국정에서 나오게 유도하면 일선학교는 어쩔 수 없이 국정교과서를 채택할 수밖에 없다.

결국 교육부가 국정교과서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 일선학교의 혼란을 부추기고 있는 셈이다. 대부분의 아침신문이 그런 교육부를 비판했지만 몇몇 언론은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 대표적으로 조선일보는 국정교과서가 ‘무산’됐다는 표현을 썼다. 조선일보는 28일 1면 기사에서 “좌편향 교육 개선 취지의 역사 교과서 도입이 무산됐다”고 주장했다.


동아일보는 28일 1면 톱기사를 통해 논란의 문화계 블랙리스트를 다뤘다. 이 블랙리스트 작성에도 최순실이 개입했다는 것이다. 최순실이 자기 사업을 하는데 걸림돌이 될 만한 사람들을 배제할 수 있도록 리스트를 만들었고 여기에 정부에 비판적인 문화계 인사들을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추가했다는 것이다.

게다가 이 리스트 작성을 위해 국가정보원이 동원됐다는 단서를 특검이 잡았다. 국정원이 아직도 민간인 사찰을 하고 있다는 의미다.

세계일보 보도도 주목된다. 세계일보가 김영한 전 민정수석의 비망록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14년 말 세계일보의 정윤회 특종 당시 청와대는 33회나 대응방안을 논의했다는 것이다. 물론 청와대의 회의는 정윤회 국정개입에 대한 진상규명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이 사건의 은폐를 위해 이뤄졌다는 것이 세계일보의 주장이다.

대체로 김기춘 비서실장이 주재해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다뤄졌는데, 여기서는 검찰 수사 방향 및 속도 조율은 물론 국회대응, 여론관리 등 비선실세 의혹과 파장을 축소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됐다고 세계일보는 보도했다. 아울러 익히 알려진 바 대로 세계일보에 대한 공격방안도 논의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14년 12월6일 회의에서는 정윤회 문건을 허위로 몰기 위해 정씨로부터 자료를 받아 신속히 전파할 계획이 논의되기도 했다.

28일 조간이 주목한 또 다른 이슈, 새누리당 분당이다. 새누리당 의원 29명이 탈당해 신당을 만들었고 여기에 이미 탈당한 김용태 의원이 합류해 신당 의원의 수는 30명이 됐다. 이들은 개혁보수를 가치로 내걸었는데 애초 예고된 인원보다는 적은 수다.

주목되는 것은 이를 보도한 언론이다. 초유의 집권보수여당 분당에 대해 ‘4당 체제’라는 제목을 쓴 언론이 있고, 그냥 ‘탈당’이라는 제목을 쓴 언론이 있다. 새누리당 분당으로 이뤄질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이른바 개혁보수신당에 과하게 의미를 부여하진 않은 것이다.

그런데 조선일보는 ‘1여 3야’란 제목을 쓰고, 중앙일보는 새누리당과의 차별성을 강조하는 기사를 썼다. 특히 중앙일보는 개혁보수신당 선언문에 새누리당엔 없는 서민·포용·도덕이란 말이 있다며 ‘차별화’에 의미를 부여했다. 박근혜 정부 탄생에 똑같은 공신임에도 새누리당과 개혁보수신당을 구분 지으려는 시도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