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자협회(박종률 회장)가 선정하는 제298회 ‘이달의 기자상’(6월)에 인터넷 매체 더팩트가 전문보도(사진) 부문에서 수상한 것을 두고 엇갈린 평가가 나오고 있다. 

기자의 끈질긴 취재력으로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사망설’과 관련한 루머를 종식했다는 평가와 함께 공인의 사생활 등 지극히 사적인 영역까지도 지나친 취재 경쟁을 부추겼다는 지적이다. 

더팩트는 지난달 2일 <이건희 회장 병상 투혼 포착-자발 호흡 최초 확인, 사망설은 헛소문> 보도를 통해 5월 22일 서울 일원동 삼성서울병원에서 촬영한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병상 모습 사진을 여러 장 공개했다.

더팩트는 “이건희 회장 건강을 둘러싼 세간의 억측이나 악성루머 등이 삼성은 물론 나라 경제 차원에서 전혀 바람직하지 않은 비정상적 현상이라고 판단해 이 회장의 근황을 보도한다”며 “이 회장이 ‘자발 호흡’을 하면서 건재한 신체 상태로 재활 치료에 전념하고 있는 모습이 투병 생활 1년여 만에 처음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효균 더팩트 사진팀 기자는 이달의 기자상 공적설명서에서 “이번 보도의 경우 사생활 침해에 대한 논란은 있었지만 대상이 ‘공인’이라고 분류할 수 있는 글로벌 그룹 삼성의 회장이었고, 본인의 동의는 받지 못했지만 루머설을 근절시키자는 가족들의 동의를 받고 보도했다”며 “보도당사자의 반론신청이나 언론중재위원회의 피신청 사항도 없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 기자는 “사진 취재 후 삼성 측과 미팅을 통해 이건희 회장이 맞는지에 대한 사실 여부를 확인했고 어떤 식으로 병상 생활을 하는지 후속 취재를 할 수 있었다”며 “이 회장과 관련한 보도는 권력과 금력 등 언론의 자유를 위협하는 내·외부의 개인 또는 집단의 어떤 부당한 간섭이나 압력이 없었고 진실과 정확한 정보, 엄정한 객관성을 유지했다”고 강조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건강 악화와 관련해 이재용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 문제가 재계 최대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인터넷 매체 더팩트가 지난달 ‘이건희 사망설’을 반박하는 병상 투병 모습을 망원렌즈로 촬영·보도해 논란이 일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하지만 언론중재위는 지난달 더팩트와 이 사진보도를 인용한 언론사에 “언론은 개인의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초상, 성명, 음성, 그 밖의 인격권을 침해해서는 안 된다”는 시정권고 공문을 보낸 바 있다.

중재위는 시정권고 이유에 대해 “해당 기사는 병실에 누워있는 특정 기업인의 모습을 무단으로 촬영해 공표했다. 비록 그가 공인이라 할지라도 외부접근이 차단된 병실에서 투병하는 모습의 사진을 공개하는 것은 인격권 침해의 여지가 크다”면서 “이는 모든 국민은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침해받지 않는다는 헌법 및 언론중재 및 피해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기자협회 한국기자상 심사위원회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기자상 심사 과정에서도 더팩트 보도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이 관계자는 “일부 심사위원 중에서는 파파라치 취재 행태와 공인의 인격권과 명예를 침해할 수 있다는 비판적인 의견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단점보다 장점이 크다는 의견이 많았다”며 “우리 사회의 가장 중요한 경제 문제의 핵심인 이건희 회장 관련, 여러 사회적 루머와 논란을 종식했다는 점과 사회적 이슈를 파고드는 기자의 끈질긴 취재력이 호평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건희 회장의 건강 상태가 설령 공적 사안이라 하더라도 병실을 몰래 취재한 행위는 명백히 취재윤리에 어긋남에도 기자협회가 앞장서 공인의 사생활을 파헤치는 파파라치 취재 방식에 정당성을 부여했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윤여진 언론인권센터 사무처장은 “공인의 공적인 업무 영역은 충분히 보도 가치가 있고 국민의 알권리가 있다고 판단되지만 그렇지 않은 사적인 영역은 표현의 자유만큼 헌법에서 보호하는 개인의 인격권”이라며 “현재 파파라치 보도가 너무 횡행하고 공인과 유명인에 대한 사생활 침해가 만연한 상황에서 언론은 인격권 침해에 대해 더욱 조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윤 처장은 “언론의 표현의 자유와 사생활 침해가 충돌할 때 어느 쪽이 우위를 점할 수 있는가는 각 언론사와 기자들에게 맡겨진 상태”라며 “당사자가 문제제기할 때만 문제로 인식된다는 것을 언론이 악용하고 있는데, 이를 두고 볼 게 아니라 기자협회가 나서서 토론도 하고 문제점을 짚어볼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