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움직였다. 지난해 11월 한화와의 ‘빅딜’에 이어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을 합병한다고 26일 발표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지배력이 삼성전자 등으로 확대되는 이재용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가 착착 진행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언론은 ‘이 부회장의 삼성그룹 지배 굳히기’라고 분석했다. 

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이 국정원 조직을 활용해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불법화 및 개별 노동조합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탈퇴를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 같은 내용이 언급된 ‘(원세훈 국정)원장님 지시·강조 말씀’ 문서를 입수, 이같이 보도했다. 

다음은 27일자 전국 단위 종합 일간지 1면 머리기사 제목이다. 
경향신문 <정부, 앞에선 “4대강 부실” 뒤에선 ‘5대강’ 추진>
국민일보 <수임료 16억 중 1억4천만원 기부>
동아일보 <사업재편-경영권 승계 삼성, 동시에 해결 포석> 
서울신문 <‘삼성그룹 지배’ 굳히기> 
세계일보 <성범죄 연루 1354명 공무원 사회 ‘性민낯’>
조선일보 <공무원연금案 내일 통과 잠정합의> 
중앙일보 <시민들 마음 훔친 ‘손’> 
한겨레 <“전교조 불법화·민주노총 탈퇴 유도” 2011년 원세훈 국정원장 지시했다> 
한국일보 <시중유통 백수오 식품 고작 5%만 진짜였다> 

이재용, 삼성 지배력 강화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이 26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양 사의 합병을 결정했다.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 비율은 1대 0.35로 제일모직이 삼성물산을 흡수하는 방식이다. 통합 후 명칭은 삼성물산으로 결정된다. 그룹 모태인 ‘삼성상회’의 상징성을 고려하는 동시에 삼성물산이 쌓은 글로벌 이미지를 승계한다는 현실적인 고려가 바탕이 됐다는 분석이다. 

언론은 양 사의 합병을 ‘삼성가의 경영권 승계 작업의 시작’으로 봤다. 동아일보는 재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이번 합병을 계기로 실질적 그룹 경영권 승계 작업이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평가했다. 

   
▲ 중앙일보 3면.
 

 

언론이 주목한 것은 삼성의 지배구조 단순화다. 삼성그룹 오너가는 ‘제일모직→삼성생명→삼성전자→삼성SDI→삼성물산→삼성전자’로 이어지는 순환출자 구조를 통해 그룹 전반에 대한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는 개별 기업의 10%에도 못 미치는 주식으로 사실상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어 문제로 지적돼 왔다. 

이번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은 이런 순환출자 구조를 단순화했다. 9월 1일 양사의 합병이 마무리 되면 삼성그룹은 ‘삼성물산→삼성생명→삼성전자’로 순환출자의 단계를 줄이게 된다. 

언론은 이재용 부회장이 삼성물산 주식 16.5%의 대주주가 되는 동시에 삼성생명과 삼성전자를 총괄할 수 있게 됐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이재용 부회장의 삼성전자 지분은 0.6%에 불과 하지만 순환출자를 통해 삼성전자에 대한 실질적인 지배력을 행사하는 구조는 여전하다. 

언론은 이런 순환출자의 허점이 여전하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았다. 중앙일보는 이에 대해 “이 부회장은 삼성전자 지분이 0.6%에 불과하지만 합병 법인을 통해 삼성전자에 대한 실질적 지배력을 확보하게 된 셈”이라고 언급하는 데 그쳤을 뿐 비판적인 목소리는 없었다. 

조선일보는 이재용 부회장이 삼성물산의 삼성전자 주식(4.1%)와 이건희·재용 부자의 삼성전자 주식(4.0%) 직접 보유분을 합해 이재용 부회장 측이 8% 넘는 지분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며 “그 결과 이재용 부회장은 삼성생명을 거치지 않고 삼성전자를 직접 지배하게 됐다”고 전했다. 

조선일보는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이 200조원을 넘는 상황에서 1%만 확보하려 해도 2조원이 드는 데,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은 이런 난제를 푸는 절묘한 해법”이라고 한 증권업계 관계자의 말을 인용했다. 

삼성 합병…일반 주주들의 손익은?
이번 합병은 이재용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 목적이 명확하다는 데 공감했지만 다른 주주에게 미칠 합병 의미를 짚는 데는 소홀했다.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이 마무리되기 위해서는 양사가 각각 7월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합병을 마무리 한다. 합병 완료 시점은 9월 1일이다. 

기준주가에 따라 제일모직이 합병비율 1대 0.35로 삼성물산을 흡수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제일모직이 신주를 발행해 삼성물산 주주에게 교부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삼성물산 주식이 저평가됐다는 지적을 하는 언론은 드물었다. 

   
▲ 세계일보 3면.
 

 

한겨레는 “보유자산이 많은 삼성물산이 상대적으로 저평가 받았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평가했다. 한겨레는 “삼성 계열사 보유 지분과 부동산 등 자산 가치가 29조5058억원에 이르는 삼성물산을 현 시점에서 제일모직과의 주가 비율로만 따져 8조6300여억원으로 저평가했다”며 “삼성물산이 보유한 주식 가치(상장사 기준)만 따져도 삼성전자 8조681억원, 삼성SDS 3조5022억원 등 12조원이 넘는다”고 지적했다. 

홍콩 기관투자자의 한 임원은 한겨레와 인터뷰에서 “이번 합병은 사실상 이재용 부회장을 위한 지분 정리인데 그룹 승계를 위한 발걸음을 왜 이런 식으로 떼는지 이해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국내 증권사의 한 수석연구위원도 “향후 삼성물산의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높은 데도 불구하고 현 시점에서 합병을 결정해 제일모직이 좋은 평가를 받고 이재용 부회장 등 총수 지분도 고평가를 받았다”고 말했다고 한겨레가 전했다. 

이미 한 차례 합병이 무산된 삼성중공업과 삼성엔지니어링 사례에 대한 반면교사도 부족했다. 김상조 한성대 교수는 한겨레와 인터뷰에서 “삼성물산이 저평가 받은 상황에서 주주들에게 주식을 계속 갖고 있으면 이익이 된다는 합병회사의 명확한 비전을 보여줘야 한다”며 “그렇지 않을 경우 삼성중공업과 삼성엔지니어링의 경우처럼 합병이 무산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한겨레는 그러나 “주가 흐름으로 볼 대 합병이 무산될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아 보인다”고 평가했다. 

세계일보는 “이번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을 두고 주주들의 찬성 동의 여부가 변수가 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며 “최근 삼성물산의 주가가 자산가치 대비 크게 저평가되면서 합병비율이 불리하게 책정됐다는 분석도 나와 주주들이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언론은 반면교사 보다는 합병된 회사의 장밋빛 미래를 펼쳐 보이는 데 중점을 뒀다.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두 회사의 합병 목적은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결합을 통한 매출과 이익 증대 등 외형성장과 신규 유망사업 발굴을 통한 초일류 기업 도약’이다. 

   
▲ 한겨레 31면.
 

 

언론은 양사 합병으로 글로벌 ‘의식주효’ 기업을 발돋움, 해외 시장 공략 유리 등으로 양사의 합병에 긍정적인 효과를 드러내는 데 집중했다. 

중앙일보는 “증권가에서는 긍정적인 평가가 나온다. 물리적·화학적인 합병효과가 크다는 것”이라고 긍정 평가했다. 

이번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에 대해 한겨레는 사설을 통해 “지배구조 개편이 착착 진행되는 데 반해 사회적 책임 강화라는 또다른 과제는 아직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며 이재용 부회장의 신주인수권부사채 헐값 인수로 인한 부당이득 획득, 삼성전자 백혈병 문제, 후진적 노사관계의 단절 등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원세훈 국정원장 시절 ‘전교조 불법화 추진’ 
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이 현직에 있던 당시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불법화 및 노동조합의 전국민조노동조합총연맹 탈퇴 등에 개입한 정황이 드러났다고 한겨레가 1면 머리기사로 전했다. 

한겨레는 2011년 2월18일치 ‘(원세훈 국정)원장님 지시·강조 말씀’ 문서를 26일 입수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겨레에 따르면 원 전 원장은 “(국정원) 지부장들이 교육감이라든가, 교육감이 좌파교육감 같으면 부교육감(교육부 공무원)을 상대해서 …(중략)… 지난번 판결로 인해 민노당(민주노동당) 가입 교사들에 대한 징계 같은 것도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협조를 하라. 우리가 전교조 자체를 불법적인 노조로 정리를 좀 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 한겨레 1면.
 

 

원 전 원장은 또 “민노총도 우리가 재작년부터 해서 많은 노동조합들이 탈퇴도 하고 그랬는데 좀 더 강하게 하고”라고 말했다고 한겨레가 전했다. 

지난 대선에 불법 개입한 혐의를 받고 있는 원 전 원장에겐 직접 전교조를 불법화하고 민주노총 조직을 와해하려 했다는 의혹까지 더해졌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부가 전교조와 민주노총 등 노동·시민사회 세력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었는데 국정원이 이들 단체를 척결해야할 ‘종북 좌파 세력’으로 간주하고 영향력을 축소하려 했던 시도가 확인됐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