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들의 반발 속에 강행된 MBC 전파료 재조정이 결국 결론을 내지 못한 채 연기됐다.  
 
MBC 지역사 사장들은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에서 전파료 재조정안을 논의하기 모였지만 이번 재조정으로 전파료가 내려간 강릉 제주 등등 몇몇 지역사의 반발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지역사 사장단은 하지만 이후 춘천 강릉 제주 광주 대전 경남 MBC를 중심으로 소위원회를 구성해 내달 1일 전까지 다수결을 통해 결정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는 김종국 MBC 사장이 참석하지 않았고, 대신 이장석 경영기획본부장이 회의를 주재했다.   
 
지난 14일 마련된 재조정안에 따르면 지역사 7군데의 전파료는 올라갔지만 춘천 강릉 삼척 제주 등 12곳은 내려갔다. 일부 지역사의 전파료 변동폭은 미미한 수준이었지만, 제주 춘천 강릉MBC의 경우 상당 부분 감소됐다. 강릉MBC의 경우 본사 재조정안이 적용될 경우 2016년에는 최대 16%까지 줄어든다. 
 
이번 재조정안으로 인해 전파료가 올라간 지역사 대부분이 광역사인 이유는 ‘가시청 인구수’를 중요 산출 근거로 삼았기 때문이다. 이안에 따르면 2014년 기준으로 창원 10.41%, 대전 8.82%, 대구 6.55% 올라갔다. 

지역 MBC의 매출 가운데 전파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50%이 넘는다는 점을 감안해볼 때, 전파료 재조정은 상당히 민감한 사안이다. 또한 한정된 파이를 지역사가 나눠가진다는 점에서, 재조정 결과에 따라 일부 지역사는 이익을 보지만 다른 이익사는 손해를 보게 돼 있는 ‘제로섬’ 구조이기도 하다. 전파료 재조정이 지난해 김재철 전 사장의 재임 당시에도 거론됐으나, 지역사들의 반발로 ‘현행안을 유지하되, 추후 조정한다’는 쪽으로 마무리된 이유다.   

전파료란 지역사가 본사의 프로그램을 방송하면 본사가 제작비를 제외한 광고 수익 일부를 지역사에 지급하는 요금을 말한다. MBC는 광고수익 가운데 제작비 70%를 제외한 24%를 전파료 명목으로 각 지역사에 지급하고 있으며, 18개 지역사는 이를 산출 근거에 따라 나눠가진다.  

 
   
▲ 18일 서울 여의도 렉싱턴 호텔 앞에서 MBC 지역사 노동조합이 모여 전파료 재조정 합의 반대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 MBC 본부 제공)
 
앞서 MBC 지역사 사장단 회의가 열리기 전, 18개 지역사 노동조합들은 전파료 재조정안 합의를 반대했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지역사 노조는 “제로섬 방식의 전파료 재조정 합의는 지역MBC 죽이기에 합의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MBC 본부의 김한광 수석부부위원장은 “김종국 사장이 내년 연임을 위해 지역사를 불모로 잡고 있다”면서 “이 문제는 우리의 생존과 직결해 있기 때문에 한 발자국도 물러설 수 없다”고 말했다.
 
이번 조정안으로 타격을 입은 강릉·삼척MBC 임무혁 겸임사장은 회의장에 들어서기 전 자사 노조위원장을 만나 이번 ‘재조정안에 서명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김한광 수석부위원장은 통화에서 “전파료가 재조정돼야한다는 것에 동의한다. 다만 지역사 생존과 맞닿아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성급한 추진보다는 단계적인 접근 등 합리적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게 우리의 의견”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