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방송사의 대선 보도의 절대량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선공정보도실천위원회가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최영재 교수팀에 의뢰해 지난 15일부터 21일까지 KBS, MBC, SBS, YTN, OBS 등 방송 5사의 대선보도를 모니터한 결과 방송사별 대선 보도 건수는 하루 평균 3건으로 나타났다. 리포트 당 분량을 1분 30초로 잡으면 평균 4분 30초 방송한 것이다.

최 교수팀은 "방송의 대선보도 부족 현상이 매우 심각해 유권자들이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면서 "이 정도로 유권자들이 선거의 내용과 후보 및 정책 공약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얻을 것으로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절대량이 부족할 뿐 아니라 보도 내용도 대부분 단순 중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95건의 보도 중 후보 유세 지역을 따라다니고 스케치를 하거나 후보 간 갈등이나 공방을 전달한 기사는 82건(86.3%)에 이르렀다.

YTN은 15건의 대선 보도 중 100%가 중계식 보도에 해당된 내용이었고 다른 4개 방송사도 중계 보도 비율이 80% 이상을 상회했다.

그나마 방송되는 정책 보도 역시 수박 겉핥기 식으로 넘어가는 수준이다.

지난 20일 KBS의 보도 사례가 대표적이다. KBS는 "박 후보는 오늘...(중략)...국토의 균형발전과 지방재정 건전성 확보 등을 약속했다", "경제신문들과 인터뷰에선 부동산 시장 활성화를 위해 양도세, 취득세 감면 혜택을 연장하겠다고 밝혔다. 밀양 여중세 성폭행 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 시사회에도 참석해 성범죄에 대한 사회안전망 구축도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최 교수팀은 "대선을 너무나 가볍고 얄팍한 선거로 여겨지게 하는 보도"라고 지적했다.

방송이 대선 보도의 절대량 부족과 중계식 보도로 일관하고 있다면 신문은 익명 취재원에 기댄 보도 행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이승선 교수팀인 지난 17일과 21일자 조선, 중앙, 동아일보와 경향신문, 한겨레신문 등 5개 신문의 대선 관련 기사를 분석한 결과 취재원 익명 처리 문제가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지난 17일자 조선일보 6면 <文·安 단일화 일정 봐주기 아니냐 비판 일어>라는 기사에 대해서는 "선관위가 투표 용지 인쇄 일정을 결정한 합리적 근거를 제시했음에도 새누리당 비난 등에 근거해 제목을 부정적으로 처리"했다고 평가했다.

17일 중앙일보 <꼼수정치-"연대 대상 아니라 불쏘시개 삼았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해당 발언은 취재원이 아니라 기자가 추정으로 밝힌 내용이고 17일 동아일보도 3면 <"어 지지율이..."安캠프 위기감>이라는 제목을 뽑았지만 기사 본문에는 정작 "어 지지율이"라는 대목을 찾을 수 없다.

이 교수팀은 전체 기사 119건 중 익명 취재원이 사용된 기사는 52건(43.7%)에 달했다며 취재원 익명 처리를 통한 불분명한 보도 행태가 기사 전반에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기사에서 익명취재원에 80% 이상 기댄 기사는 5개 신문 모두에서 하나씩 발견됐다. 익명취재원 사용 기사 비율를 보면 중앙일보 55%, 한겨레 50%, 조선 47.8%, 동아 37%, 경향 34.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21일 중앙일보 1면 <문측 "박과 경쟁 적합한 후보 묻자" 안측 "박vs문, 박vs안 두 질문을">이란 기사에서 입장을 밝힌 취재원은 '문 후보측 관계자', '안 후보측 관계자', '복수의 두 후보 관계자', '안 후보측', '문 후보측', '협상 팀원이 김기식 의원', '안 후보 측', '안 후보측 유민영 대변인' 등으로 이어진다. 이 교수팀은 "이런 관행에서 신문사와 기자의 관점이 끼어들 여지가 생긴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