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고위급회담에서 철도와 도로 연결의 현대화 착공식을 갖기로 합의한 것에 미국이 우려한다며 한미공조에 이상조짐이 보인다는 보도에 청와대가 강한 유감을 표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17일 정례브리핑에서 이 같은 보도를 한 언론을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라고 지목했다.

조선일보는 17일자 신문 3면 ‘美, 한국의 과속 또 우려…철도‧도로 남북합의에 “비핵화와 별도 진전 안돼”’라는 기사에서 “미국 자유아시아방송에 따르면 이날 미 국무부는 이 문제(철도 도로 착공식)에 대한 논평을 요구받고 ‘남북 간의 관계 개선은 북한의 핵 프로그램 문제 해결과 별도로 진전될 수 없다’고 밝혔다”면서 “북한의 비핵화가 답보상태인데도 철도 도로 연결만 ‘과속’해서는 안된다는 의미”라고 보도했다. 미국 국무부까지 우려 섞인 반응을 나오는데 남북관계가 앞서 나가면 비핵화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내용이다.

중앙일보도 17일자 신문 1면 ‘미국, 남북 철도 착공 합의에 “제재 이행”’이라는 기사에서 “남북 협력과 대북제재를 놓고 한미 간 엇박자가 또 노출됐다”면서 “미 국무부가 ‘남북관계 개선은 북핵 프로그램을 해결하는 것과 별개로 진전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 보도 내용은 미 국무부의 반응을 근거로 삼고 있다.

이에 김의겸 대변인은 “한미 공조에 이상이 있고 균열이 생긴 것처럼 보도를 했다”며 “되짚어 보면 불과 한 달 여 전에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때도 똑같은 내용의 기사들이 있었다”고 말했다

▲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 ⓒ 연합뉴스
▲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 ⓒ 연합뉴스
그러면서 김 대변인은 지난 8월25일자 조선일보 1면 ‘개성 남북사무소 한미공조 파열음’, 8월20일자 1면 ‘美 “개성南北사무소 유엔 미 제재 위반”’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출력한 종이를 들어보였다.

김 대변인은 “그런데 지난 9월14일 개성연락사무소가 순조롭게 성황리에 개소했다. 9월15일 다음날 기사가 실렸는데 그렇게 시끄럽던 파열음, 균열, 과속 그런 현상들이 다 어디로 간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1면 톱으로 여러차례 문제제기하고 이상이 있는 것처럼 보도를 했는데 정작 개소할 때는 그렇게 제기했던 의문점과 걱정에 대해서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던 것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남북연락사무소가 개소되기 전 미국의 반응을 근거로 한미공조에 이상이 있다고 했던 조선일보가 막상 아무런 이상 없이 연락사무소가 개소되자 과거 문제제기를 했던 보도 내용에는 아무런 해명 없이 넘어갔다는 것이다. 사실상 정치공세적 성격의 무책임한 보도라는 것이다.

이번 철도‧도로 현대화 착공식 합의를 문제 삼는 보도 역시 과거 남북연락사무소의 전례처럼 한미공조가 이상이 있는 것처럼 발목 잡는 보도라는 주장이다.

나아가 김 대변인은 17일 조선일보와 중앙일보가 근거로 든 미 국무부의 반응에도 정면 반박했다.

김 대변인은 “‘남북간의 문제는 북미 핵 프로그램과 별도로 진행할 수 없다’는 (미 국무부의) 논평을 근거로 또 마찰이라고 보도하고 있다”며 “그래서 자유아시아방송 보도를 찾아 원문을 확인했더니 As President Moon has stated, 'the improvement of rel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cannot advance separately from resolving North Korea’s nuclear program'이었다. 아마 수십 번도 더 나온 문장”이라고 꼬집었다.

김 대변인은 “한국이든 어디든 국무부에 요청하면 자동판매기처럼 튀어나오는 문장”이라며 “더군다나 이건 문재인 대통령이 한 말이다. 한미공조에 노심초사하는 우국충정은 충분히 이해하겠다. 그런데 이제 걱정 내려놓으시라. 한미간 공조는 최상의 협조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남북 간의 발전을 위한 철도‧도로 문제도 예정대로 잘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남북간 철도‧도로 연결에 한미간 이견이 전혀 없다는 뜻이냐는 질문에도 “이분법적으로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면서 “부부 사이에도 서로 생각의 차이가 있고 진학문제, 집 문제로 생각이 다를 수 있다. 그렇다고 이혼하지 않는다”고 잘라 말했다.

김 대변인이 작정을 하고 특정 언론사의 보도 내용을 조목조목 반박한 것은 실체가 없는 내용을 끌어다가 남북관계를 가로막는 언론 보도가 나오고 정치권이 다시 논란으로 재확산시키는 행태의 악순환을 끊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4·27 판문점 선언에 이어 평양 남북공동선언을 통해 남북 사이 풀어야할 과제들이 쌓여있는데 매번 한미공조 이상 조짐을 운운하는 보도를 두고 볼 수 없다는 판단도 깔린 것으로 보인다.

김 대변인은 평소 해석은 자유로울 수 있지만 팩트가 어긋날 경우 보도 내용을 바로잡겠다는 뜻을 밝혀왔고 정례브리핑을 통해서도 여러 차례 특정 언론의 보도를 지적하며 정면 대응해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