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가 한국수력원자력이 제출한 신고리 원전 5·6호기 신규 건설을 허가했다. 신규 원전 예정 터는 110만 명 인구의 울산시 시청에서 불과 23km 거리다. 기장 신도시와는 고작 11km 떨어져있다. 부산 해운대도 원전과 20km내 반경에 포함됐다. 규정대로라면 인구밀집지역에서 최소 32~43km 떨어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원전과 가까운 경상권역 지역신문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울산저널은 신고리 5·6호기 건설 백지화를 촉구하며 29일자 1면을 백지로 발행했다. 울산저널은 1면에 신규 원전 건설에 찬성표를 던진 원안위원 7명을 공개하며 “7인의 결정, 380만의 분노”란 제목을 뽑기도 했다.

▲ 29일자 울산저널 1면.
분노는 여야의 문제가 아니다. 배덕광 새누리당 의원(부산 해운대 지역구)은 29일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질의에서 “부산에 신공항도 안주고. 다들 꺼려하는 원전 2개만 줬다. 고리원전 30km내에 380만 명이 살고 있는데 원전을 수도권에 짓는다면 동의를 하겠는가”라고 되물었다. 이에 김용환 원안위원장은 “검토해봐야 할 것 같다”고 답했다. 배 의원은 “원안위 직원은 (원전에서) 400km나 떨어진 광화문에서 일하고 380만 국민은 원전 인근에 살고 있다”고 꼬집었다.

부산일보는 지난 27일자 ‘원전 10기가 한 지역에…지구 어디에도 이런 곳 없다’란 제목의 기사에서 “부산·울산지역 일대에 원전 10기가 밀집되는 사장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며 위치 제한 규정위반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 신문은 “지금 같은 법 적용이면 수도권에도 신고리 5·6기를 지어도 된다”는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의 발언을 옮겼다.

부산일보는 이어 “수도권 언론들은 기다렸다는 듯 ‘지역경제 활성화’론을 쏟아내며 신공항 백지화로 가뜩이나 악화된 민심에 기름을 끼얹고 있다”고 비판했다.

▲ 부산·울산 지역 신고리 원전 5·6호기 신규 건설 허가에 반발하는 지역신문들의 모습.

▲ 경상권 지역신문과 달리 신고리 5·6호기 신규 원전 건설 허가에 긍정적인 전국권역 종합일간지 기사들.
예컨대 24일자 문화일보는 ‘신고리 5·6호기 울산 경제 구원투수’란 제목의 기사에서 “신고리 5·6호기 건설 및 운영으로 지역에 미치는 경제효과는 3조9000억 원에 이를 것”이라며 “조선경기 불황으로 위기에 처한 울산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보도했다.

서울신문도 같은 날 ‘조선업 침체 울산 경제 활력…원전 10개 몰려 안전 우려도’ 기사에서 “원전 건설에는 연간 최대 8만 여명의 용접사가 필요해 구조조정으로 빠져나갈 조선업계의 인력을 대거 흡수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대도시에 가깝다는 비판에 대해선 “신고리 5·6호기와 울산·양산까지 4km이상 떨어져 있어 안전성에 문제없다”는 한수원 관계자 발언을 담았다.

27일자 한국경제는 ‘원전 허가 잘했다…사용후 핵연로 문제도 매듭짓자’란 제목의 사설에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건설되는 신고리 5·6기는 보다 더 엄격해진 기술 기준을 바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안전문제는 더 이상 논란거리가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경상권역인 국제신문은 25일자 ‘신고리 5·6호, 4조 지역경제 효과는 허구’란 제목의 기사에서 “지역 건설업체들은 공사비 대부분이 투입되는 설비공사는 특수성이 있기 때문에 지역 업체가 참여할 수 없고 일용직 잡부는 지역에서 구할지 몰라도 전문 인력은 타지에서 동원될 것”이라며 고용효과나 경제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 보도했다. 부산일보의 26일자 한 기사제목은 “신공항 달랬더니 원전 주나”였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