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다음 등 포털이 4~5년 전부터 아파트 매물 정보 사업에 뛰어들면서 소규모 부동산 정보 업체들이 생존 위기를 맞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달 부동산 정보사이트 방문자수는 네이버 부동산이 352만 명(46.6%), 다음 부동산이 296만 명(39.2%)를 차지하고 있다.

방문자가 포털에 편중돼 있다 보니 포털의 각종 부동산 서비스에 소규모 부동산 정보 업체들이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는 셈이다. 또 웹사이트 리모델링 후 재계약 때마다 사용료가 오르고 있어 소규모 부동산 중개업자들도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거대 사업자의 ‘횡포’ 논란, 포털의 시장지배적 사업자 규제 측면에서 주목되고 있다.

총선, 대선을 앞두고 노동계의 움직임에 재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국내 노동계 양대 산맥인 민주노총, 한국노총이 야권연대에 본격 합류함에 따라 노동 관련 공약이 봇물을 이루고 있어, 재계가 ‘정책 공세’에 긴장하고 있는 분위기다.

애플이 아이패드 3를 공개하면서 애플TV도 공개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업체들이 신제품을 출시하기 전에 애플TV가 공개돼 찬물을 끼얹을 수 있어, 국내 가전업체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에서 근무하다 백혈병으로 숨진 고 황유미씨에 대한 5주기 추모식이 열렸다. 그동안 반도체·전자산업 관련 산재 신청을 한 이들이 모두 23명이지만, 현재까지 산재 승인을 받은 사람은 한 명도 없다. 고황유미씨도 숨진 뒤 업무상 재해를 인정받았지만, 현재 근로복지공단은 이에 불복해 항소한 상황이다. 비극은 현재 진행형이지만, 경제지 등 주요 언론에서는 이 소식을 찾아볼 수 없었다.

다음은 전국단위 경제신문 머리기사다.

매일경제 <브라질, 삼성중에 조선소 위탁경영 요청>
머니투데이 <일본차 대약진 ‘미점유율 탈환’>
서울경제 <삼성 “금융도 글로벌 시장으로”>
아주경제 <‘신용카드 경제’의 딜레마>
파이낸셜뉴스 <정치와 손잡은 노조, 산업계 비상>
한국경제

매경이 1면 기사<네이버, 부동산 골목상권 점령>에서 네이버 문제를 정면으로 지적했다. 경제지를 비롯해 언론이 네이버의 문제를 거론한 것은 최근 들어 보기 힘든 보도다.

매경은 “소비자 편리성과 접근성을 무기로 시장을 장악한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가 점차 포식자의 행패를 부리면서 소위 ‘골목상권’을 침해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일례로, 네이버는 그동안 500가구 미만의 소규모 아파트에 적용해왔던 ‘1중개 업소 독점매물 등록 서비스’를 최근 2개 중개업소 경쟁체제로 변경해, 6개월에 60만 원이었던 서비스료가 최근 재계약 때 다시 뛰었다고 중개인들은 하소연했다.

4면 기사<포털 독식에 부동산정보·중개업체 고사위기>에 따르면, 사이트 리모델링 후 재계약 때마다 사용료가 오르고 있어 소규모 부동산 중개업자들도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경기 과천의 D공인 관계자는 "광고료가 너무 많이 들어 네이버에는 이제 매물을 등록하지 않고 오프라인 손님들에게만 집중하고 있다"면서 "독과점 지위를 점점 잡아가면서 사용료가 계속 올라 이제는 광고할 엄두가 안 난다"고 털어놨다.

특히 소규모 부동산 정보업체들의 ‘타격’이 큰 상황이었다. 2월 방문자 수를 기준으로 하면, 80% 이상이 네이버, 다음 부동산에 몰려 있는 상황이다. 매경은 “네이버가 2009년 정보업체를 통하지 않고 중개업소를 바로 회원으로 받는 '직접영업'을 시작하자 이를 주 수입원으로 하던 중소 부동산 정보업체들은 속절없이 무너져 갔다”고 밝혔다.

매경은 “초기 네이버를 통한 영업 확장에 목이 말라 정보를 제공하는데도 네이버에 '웃돈'을 주고 들어갔던 정보업체들은 자신의 수입원을 뺏긴 후 망연자실한 상태 얼마 남지 않은 회원들도 네이버가 외부 업체 인원 수백 명을 고용해 밑바닥 영업을 시작하면서 연회비 인하를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매경은 또 “생존 경쟁에 몰린 부동산 정보업체들은 오히려 자사 매물 정보를 네이버에 노출시키기 위해 입점료까지 내야 하는 처지”라며 “부동산 정보업체에서 돈을 들여 만드는 연구 정보 등도 네이버 내에서 공짜로 유통된다”고 밝혔다.

현재 네이버는 2008년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시장지배적 사업자로 지정됐다가 행정소송까지 불사하면서 풀려났다. 지난해에는 방송통신위원회가 네이버의 '시장지배적 사업자 선정' 이슈를 꺼냈지만 위원장 사퇴 등 조직 변화를 겪으며 물밑으로 가라앉은 상태다. NHN 관계자는 "소비자 선호에 따라 자연스럽게 수요가 이동한 것을 문제 삼는 건 옳지 않다"며 ‘시장지배적 사업자의 횡포’로 보는 입장을 반박했다.

총선·대선이 경제계에 미치는 파장을 분석한 보도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파이낸셜뉴스는 1면 기사<정치와 손잡은 노조, 산업계 비상>에서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이 야권연대에 본격 합류해 ‘공룡’ 정치세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며 “재계는 이러한 양대 노총의 움직임을 주시함녀서 노동계가 야권 정당내 지분을 확보한 뒤 반시장주의 노동법안을 쏟아낼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파이낸셜뉴스 3면 기사<근로시간 단축 등 ‘재계 목소리 빠진’ 노동법안 쏟아낼 듯>에서 한국경영자총협회 관계자는 “노조의 직접 정치참여로 재계의 이해가 반영되지 않은 채 일방적인 입법 과정이 진행될 우려도 있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이 최근 통합진보당에 제안한 10대 우선입법 과제에는 파견법 폐지, 노동시간 단축 및 일자리 창출 특별법 제정, 근로기준법 개정, 노동조합법 개정, 기간제법 개정, 최저임금법 개정, 하도급법 및 공정거래법 개정, 정치자금법 개정, 공공기관운영법 개정 등이 포함돼 있다. 그러나 파이낸셜뉴스는 그동안 현 정부에서 ‘부자 감세’ 등 재계쪽에 일방적으로 유리하게 진행돼 온 정책에 대해선 문제제기가 없었다. 

재계만 긴장하는 것이 아니었다. 매경은 1면 기사<총선·대선 리스크가 재테크 지형 바꾼다>에서 긴장하는 강남 부동산 분위기를 거론했다. 매경은 “정치 리스크는 부동산 재태크 심리를 얼어붙게 만들었다”며 “박원순 서울시장 취임 이후 정치 리스크를 경험하고 있는 서울시는 올해 1월 주택거래건수가 1310건으로 박 시장 취임 전달인 지난 해 9월(4185건)보다 69% 감소했다”고 밝혔다.

주목되는 점은 이런 상황에 불만을 느끼고 긴장하고 있는 곳이 어디인지다. 서초구 양재동에 거하는 김아무개씨는 매경에 “복지에 초점을 둔 공약이 나오면서 시장 상황이 불투명하다. 매입 타이밍을 좀 더 미루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머니투데이는 2면 기사<베일벗은 ‘애플TV' 공개 임박했나>에서 “애플이 아이패드 3를 공개하면서 애플TV도 함께 공개할 것이라는 추측도 제기되고 있다”며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TV 업체들이 올레드TV를 내놓기 전에 시제품을 선보여 찬물을 끼얹겠다는 전략”이라고 밝혔다. 애플은 초청장에서 “반도스 봐야 하고 만져봐야 할 무언가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매경은 영국 전문매체인 인폼이아TV 보도를 인용해 “애플TV가 TV콘텐츠 생태계 역시 바꿔놓을 것이라고 전망했다”며 “아이튠스가 음반시장에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냈듯이 TV콘텐츠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