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 메신저 강제 사용 논란이 일었던 뉴스토마토가 직원들의 스마트폰를 검사하는 등 지나치게 과잉 대응하고 있어 내부 반발이 일고 있다.

5일 뉴스토마토 관계자들에 따르면 뉴스토마토는 지난 1일부터 이틀에 걸쳐 관계사 개발 메신저 통통의 설치 여부 및 타사 메신저 삭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기자 개인 노트북과 스마트폰을 일일이 검사한 것으로 드러났다.

뉴스토마토는 지난달 28일 전체 구성원에게 메일을 보내 타사 메신저를 삭제하고 뉴스토마토 관계사가 개발한 메신저 통통으로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일원화하라고 홍보한 후 이를 확인하기 위해 이 같은 추가 안내 후 행동을 했다. (관련기사: 뉴스토마토, 기자들에게 "우리가 만든 메신저만 써라")

▲ 뉴스토마토 홈페이지 화면 갈무리.

뉴스토마토는 개인 노트북과 스마트폰 검사를 뉴스토마토가 아니라 어플 개발사인 토마토솔루션에 개인별로 확인받도록 했으며 출입처로 출퇴근 하는 기자들에게도 회사를 방문해 PC와 스마트폰을 검사 받아야 한다고 공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뉴스토마토는 반발을 고려해 업무시간 내에는 PC와 스마트폰에 타사 어플을 삭제할 것을 강조했지만 업무시간 외 사용은 개인의 선택에 맡기겠다는 내용도 포함했다. 이 안내문대로라면 뉴스토마토 구성원은 매일 퇴근 후 스마트폰에서 카카오톡이나 라인, 행아웃, 텔레그램 등 어플을 새로 내려 받아 사용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뉴스토마토 기자들이 반발하는 부분은 개인 스마트폰에 대한 회사의 간섭이다. 대부분의 기자들은 “노트북은 회사 자산이기 때문에 관리 영역 내에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은 개인이 구입한 개인 자산이라 회사의 통제 영역 밖에 있다는 주장이다.

A기자는 “노트북은 회사 물건이니까 검열에 오케이하겠다”면서도 “내부 반말을 무시하고 스마트폰을 검사하는 건 납득하기 힘들다. 스마트폰은 엄연히 개인 물건이고 자산”이라고 말했다.

이 기자는 “회사가 메신저 사용을 압박하려고 시작했던 일이 이상한 방향으로 번졌다”고 한탄했다.

B기자는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에서 메신저 설치·삭제 여부를 검사 받으라는 것도 굉장히 웃기는 상황 아니냐”며 “그래도 노트북은 회사 자산이니까 최대한 인정할 수 있지만 스마트폰은 다른 영역”이라고 반발했다.

그는 “스마트폰은 업무용으로 제공된 것도 아니고 회사가 일일이 개인이 깔아놓은 어플 을 보겠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며 “경영진의 인권 의식이 의심스럽다”고 비판했다.

C기자는 “기자들은 어플 삭제 요구 때문에 화가 나있는데 회사는 반발하는 기자들이 조직을 와해하려고 한다는 식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어리둥절해 했다.

일부 기자들은 회사의 타사 메신저 어플 삭제 확인 요구를 거부했고 일부 부서에서는 단체로 회사 요구를 거부하겠다는 입장을 전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는 미디어오늘 첫 보도가 나간 이후 제보자 색출 및 정보 유출 경로 찾기에 나선 것으로 알려져 또 다시 구성원들의 비판을 받고 있다.

황언구 토마토미디어그룹 부회장은 이날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기자들) 스마트폰을 내가 본 적이 없다”며 회사에서 어플 삭제 등을 확인받으라고 한 사측의 공지에 대해서도 모른다는 말로 일축했다. 황 부회장은 기자들의 반발에 대해서도 “말도 안되는 소리 하지 말라”고 부인했다.


김유리 기자의 기사 잘 읽으셨나요?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