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한국일보 노동조합(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일보사지부 소년한국일보분회)이 4일 장재국 대표이사를 업무상 배임혐의 등으로 검찰에 고발했다. 장재국 대표이사는 과거 한국일보와 뉴시스에서도 부실경영과 횡령 등으로 고발당한 바 있다.

분회와 언론노조 관계자 등 10여명은 이날 오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장 대표이사는 사회의 공기라는 언론사 사주로서 무책임하고 불성실하며 비도덕적인 경영으로 소년한국일보가 파탄으로 이르게 된 주요 원인을 제공했다”고 비판했다.

분회가 지적하는 ‘주요 원인’은 장 대표이사가 회사로 하여금 20억원의 거액을 대출받도록 한 뒤 이를 가지급금 방식으로 챙긴 것을 말한다. 분회는 해당 가지급금이 회사와는 무관한 개인 용도로 사용됐다고 주장한다. 분회에 따르면 가지급금은 2006년부터 수차례 지급됐다.

▲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일보지부 소년한국일보 분회가 4일 장재국 대표이사를 업무상 배임혐의 등으로 검찰에 고발했다. 사진=언론노조 이기범 기자
분회는 “회사는 경영상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에도 장 대표이사에게 법인 카드를 제공했고 개인 차량의 임금마저 지급했다”며 “현재까지 회계 자료에는 그의 가지급금은 회수되지 못한 채, 사원들의 임금 체불액은 늘어만 가고 있다. 적지 않은 사원이 회사를 그만뒀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뉴시스와 한국일보 노동조합 관계자들도 힘을 보탰다. 장 대표이사의 무책임한 경영이 이번이 처음이 아니기 때문이다. 김훈기 언론노조 뉴시스 지부장은 “2년 전에 뉴시스 조합원들 역시 이 자리에서 장재국 고문의 횡령과 배임으로 고발한 바 있다”고 말했다.

당시 뉴시스 지부는 고발장에서 단기대여금 등을 문제 삼아 장 당시 고문의 횡령과 배임을 주장했고 장 고문이 뉴시스 주식을 채무 160억원의 담보로 제공하는 등 “뉴시스를 자신의 채무를 갚기 위한 도구로 이용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김주성 언론노조 한국일보 지부장은 “장재국 대표이사와 같은 부도적한 사람들이 언론계에 발을 붙여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장 대표이사는 과거 한국일보사 사장과 회장 등을 맡았으나 부실 경영과 해외 원장 도박 혐의 등의 책임을 물어 2002년 1월 주주총회에서 해임된 바 있다.

▲ ▲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일보지부 소년한국일보 분회가 4일 장재국 대표이사를 업무상 배임혐의 등으로 검찰에 고발했다. 사진=언론노조 이기범 기자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검찰의 조속하고 제대로 된 수사를 촉구했다. 한국일보와 뉴시스 사태 당시 제대로 해결 됐더라면 소년한국일보의 상황이 이토록 악화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현재 소년한국일보 분회 조합원들은 1960년 창사 이래 처음으로 파업을 준비 중이다.

현재 일간지인 소년한국일보는 조합원이 아닌 편집국장과 편집기자 등으로 만들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상황이 장기화 될 경우 신문의 발행도 장담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윤석빈 분회장은 “파행으로 치닫기 전에 제대로 잡으려면 조속한 검찰조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소년한국일보 경영진은 이 사태에 대해 아무런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으며 “담당자가 없다”는 식의 답변을 반복하고 있다.

이하늬 기자의 기사 잘 읽으셨나요?
후원은 더 좋은 기사에 도움이 됩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