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그룹, 정부 YTN 매각 조사 나서자 "헐값 매각 아냐"

7일 "매각 절차의 정당성과 투명성 명확히 입증할 것" 입장 언론노조 YTN지부 "매각 과정 특혜와 불법 투성이...분노 치솟는다"

2025-11-07     김예리 기자
▲유진그룹과 YTN. 디자인=안혜나 기자.

이재명 정부가 정부자산 매각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서겠다고 밝힌 가운데 지난해 YTN 최대주주가 된 유진그룹이 “헐값 매각이 아니었다”는 입장을 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YTN지부는 이에 대해 “내란 세력과 결탁한 자본에 YTN을 넘겨주기 위해 갖은 특혜가 제공됐다”고 반박했다.

유진그룹은 7일 임직원에 밝히는 입장문을 통해 “매각은 국가계약법에 따른 공개경쟁입찰 절차로 진행됐으며 삼일회계법인이 매각자문사로 참여해 전 과정을 관리했다. 입찰은 최고가 응찰자를 낙찰자로 선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졌고 그룹의 미디어 지주사인 유진이엔티가 가장 높은 금액을 제시해 낙찰됐다”며 “유진그룹의 YTN 인수 과정은 ‘헐값 매각’이 아니었다”고 밝혔다.

유진그룹은 “당시 YTN의 시가총액은 약 2500여억원(당시 4200만 주), 주당 6000원 수준이었다. 그룹에서는 주당 2만4610원, 매각 대상 지분 30.9%에 대해 총 3199억 원을 산정하여 입찰에 참여, 최고가로 낙찰받았다”며 “YTN의 잠재적 성장 가치와 종합 미디어 그룹으로 콘텐츠 산업 확장 의지를 반영한 전략적 판단에 따른 인수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어떠한 점검 절차에도 성실히 임할 것이며 절차의 정당성과 투명성을 명확히 입증할 것”이라며 “경영의 안정과 구성원의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YTN이 본연의 가치와 공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유진그룹 입장은 최근 정부가 지난 정부에서 이뤄진 공공자산 매각에 전수 조사를 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나왔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3일 정부의 자산 매각 절차를 전면 중단하고 재검토하도록 지시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지난 5일 “YTN 등 정부 자산 매각 즉시 전수조사”를 긴급 지시했다. 김 총리는 “재산가치 훼손과 특혜 제공 등 문제를 확인하면 검경 합동수사 등으로 법적 책임에 따라 엄중 조치하고 계약취소 등 원상회복 방안까지 지체 없이 강구하라”고 했다.

언론노조 YTN지부는 유진그룹 입장에 같은 날 성명을 내고 “내세운 근거라는 건 시가총액, 주당 가격, 최고가, 현금 확보 등 오로지 돈 문제뿐”이라며 “언론사 졸속 매각의 본질을 흐릴 수 없다”고 반박했다.

YTN지부는 “2022년 YTN 대주주였던 한전KDN과 한국마사회는 지분 유지 방침을 공식적으로 밝혔지만, 정부와 여권 인사들은 기재부, 산업부, 농림부 등 각 부처를 총동원해 전방위적인 압박을 가했고, 결국 두 공기업은 불과 한두 달 만에 입장을 번복했다. 이런 강압적 매각의 배경에는 김건희 허위경력 보도에 대한 사적 복수심이 있었다는 정황은 최근 김건희 본인의 육성을 통해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YTN지부는 “매각 과정 역시 특혜와 불법 투성이였다”며 “분리돼 있던 두 지분을 특정 자본이 가져가기 쉽도록 임의로 묶어 시장에 내놓았고, 그 장물을 차지하기 위한 탐욕스러운 로비 경쟁 과정에서 다이아 목걸이와 샤넬백까지 등장하기도 했다”고 했다.

이어 “YTN 최대주주 자격을 검증해야 할 방통위는 합의제 기구의 형식조차 갖추지 않은 2인 체제로 운영되었고, 통상 수개월 이상 진행되던 승인 심사를 단 2주 만에 졸속으로 끝냈다”고 했다. 나아가 “자문위원 다수의 부정적 의견은 묵살됐고 유진그룹 스스로 약속했던 소유 경영 분리 원칙과 공정방송 제도 존중 약속도 폐기됐다. 심사위원들이 공공성과 공적책임 실현을 위해 제시한 권고사항들도 아무런 설명 없이 삭제됐다”고 지적했다. 

YTN지부는 “갖은 특혜와 불법 과정을 거쳐 YTN을 차지한 유진그룹은 수십 년 역사 속에서 쌓아온 공정방송 제도를 한 순간에 파괴했다”며 “이제 와서 유진그룹이 YTN 구성원들에게 존중과 신뢰 회복을 언급하는 데 대해 분노가 치솟는다. 당장 YTN에서 손을 떼라”고 요구했다.

아침신문 솎아보기

미디어오늘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