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경향 '김어준 가라사대' 민주당 정정보도 신청 기각

언론중재위 '의견 표명이라 정정보도 대상 아냐' 판단

2025-09-25     박재령 기자
▲ 지난 1일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정준희의 논'에 출연한 김어준씨.

더불어민주당 국민소통위원회(소통위)가 김어준씨 관련 주간경향 기사를 상대로 제기한 언론중재위원회 정정보도 조정신청이 기각됐다. 의견 표명에 해당하는 기사라 정정보도 대상이 아니라는 판단이다. 

미디어오늘 취재에 따르면 민주당 소통위가 지난 8일자 주간경향 <“김어준 생각이 민주당 교리”… 정당 기능마저 넘긴 집권당> 기사에 신청한 정정보도 조정신청이 최근 언중위에서 기각됐다. 전체 조정 사건에서 중재부가 기각 결정을 내리는 경우는 이례적인 편이다. 

언중위는 중재부를 열어 신청인의 주장이 이유 없다는 것이 명백할 경우 조정신청을 기각할 수 있다. 기사에서 쟁점이 된 대목이 사실적 판단이 아닌 단순 의견 표명에 해당한다는 점이 중재부 논의에서 주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통위는 지난 12일 “김어준씨는 정당의 수많은 기능 가운데 제한적인 영향을 미칠 뿐”이라며 “민주당의 고유 입법 정책 활동은 정당 본연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고 있다”며 정정보도 요구에 나섰다. 

주간경향은 해당 기사에서 민주당 보좌관, 정치평론가 등의 전문가 인터뷰를 인용해 김어준씨의 영향력이 과도해졌다는 취지로 보도했다. 주간경향은 “정당 고유의 기능이 김어준에게 실질적으로 이전된 상태라는 지적도 나온다”며 “민주당이 메시지 발신과 의제 설정을 스스로 하지 못하고 그의 플랫폼에 의존하면서, 당의 주도권이 외부로 넘어갔다는 지적”이라고 했다.

한편 최민희 민주당 의원이 지난 3일자 한겨레 <‘방통위 개편’ 입법, 속도 매몰돼 내실 놓치나> 기사를 상대로 제기한 정정보도 조정신청은 반론보도 조정신청으로 변경됐다. 당사자 논의 과정에서 반론보도로 변경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겨레는 해당 기사에서 미디어 기구 개편 과정에서 OTT, AI 등 논의해야 할 것이 많은데 민주당이 ‘속도에 매몰돼 중요한 것을 놓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전했다. 최민희 의원 측은 “방통위 구조 개편에 대해 충분한 사전 조율이 진행되고 있음에도, 한겨레는 사실확인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보도했다”고 주장했다.

[관련 기사 : “김어준에 기능 넘긴 적 없다” 민주당, 주간경향 기사에 정정·반론보도 청구]

[관련 기사 : 민주당의 한겨레·경향신문 정정보도 대응 유감]

아침신문 솎아보기

미디어오늘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