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장범 KBS 사장 "881억 적자…TV수신료 통합징수에 한마음 돼 달라"

금융위기 제외하고 역대 최대 적자 기록한 KBS 국회 방송법 개정안 논의 앞두고 결속 강조 전국 18개 지역시청자위원회, 수신료 결합징수 법안 재의결 호소

2025-02-27     정민경 기자
▲박장범 KBS 사장. 사진=KBS

국회가 TV수신료 통합징수법 상정을 앞둔 가운데, 박장범 KBS 사장이 KBS 내부의 결속을 강조했다. KBS 18개 지역(총)국 시청자위원회 역시 수신료 결합징수 법안 재의결 호소문을 잇따라 발표했다. 지난해 사업 손익 적자 881억 원을 기록하면서 금융위기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의 적자 상황인 KBS가 수신료 통합징수를 위해  힘을 쏟는 모습이다. 

박장범 KBS 사장은 26일 사내에 공유한 ‘사원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에서 지난해 KBS의 사업 손익 적자가 881억 원이었으며, 모든 지표가 급격한 하락세인 상황에서 TV수신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박장범 KBS 사장은 “KBS는 현재 전방위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지난해 KBS의 사업손익 적자는 881억 원에 달했으며,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당시 기록한 935억 원 사업손익 적자를 제외하면 역대 최대 규모”라 밝혔다.

박 사장은 “올해 사업 손익도 1000억 원 넘는 적자 예산으로 편성돼 재정 악화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모든 지표가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며 “10년 전 만해도 연 5000억 원을 넘었던 광고 수입은 현재 연 1000억 원대로 추락했다. 올해 2월 광고 수입액은 월 100억 원에도 못 미칠 전망”이라 전했다.

박장범 사장은 “수신료 분리고지는 KBS에 또 다른 치명타가 되었다”며 “분리 고지 시행 이후 KBS는 수신료 수입 감소는 물론, 증가한 징수 비용 그리고 분리 고지를 위한 인력 분담까지 감당해야 했다. 그 과정에서 일어난 사내 직원 간 갈등과 퇴직 그리고 3년째 이어진 채용절벽은 우리의 미래를 갉아먹고 있다”고 밝혔다.

박장범 사장은 “지금 KBS는 단순한 경영악화가 아닌 생존을, 비용감축이 아닌 소멸을 걱정해야 할 절박한 상황에 놓여 있다”며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 수신료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고 했다. 박 사장은 “현재 국회에서 재의결을 앞둔 방송법 개정안은 수신료와 관련해 30년 만에 이뤄지는 큰 진전”이라며 “과거 수신료 통합고지는 시행령에 포함되어 있었지만, 이번 개정안은 이를 법률에 명시하여 수신료 통합고지의 근거를 법률화하는 의미 있는 변화”라고 짚었다.

이어 “이는 수신료 인상 못지않은 중요한 전환점이며 국회 본회의 재의결을 거쳐 통과된다면 여야가 함께 공영방송의 근간을 다졌다는 역사적 의미도 갖게 된다”며 “이처럼 결정적인 순간 앞에, 노사와 진영의 구분은 있을 수 없다. 모두 힘을 합쳐야 한다”고 밝혔다.

박장범 사장은 “수신료 통합고지 재의결을 위해 한마음이 되어 달라”며 “수신료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은 제작과 송출을 담당하는 KBS 직원 여러분이지만, 수신료 자체를 지키는 최종 책임은 사장의 몫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 사장은 “저는 사장으로서, 역사적인 방송법 개정안 통과를 위해 모든 힘을 쏟아붓겠다”고 했다.

▲ 서울 여의도 KBS 사옥. 사진=미디어오늘.

전국 KBS의 시청자위원회 역시 TV수신료 결합징수 법안의 국회 재의결을 요청하는 성명을 연달아 발표하고 있다. KBS 시청자위원회가 25일 TV수신료 결합징수 법안의 국회 재의결을 요청하는 성명을 발표한데 이어, 전국의 18개 지역시청자위원회도 호소문을 잇따라 발표했다.

KBS 18개 지역(총)국 시청자위원회는 지역의 여야 국회의원들에게 보내는 호소문에서 TV 수신료가 전기요금과 분리고지 된 이후, 징수 비용은 폭증하고, 납부율은 급락해 지역방송국들이 존폐 위기에 처했다고 밝혔다. 또 이는 단순히 KBS의 문제가 아니라, 국민이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 받을 권리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지역 여건상 TV수신료가 중요하다는 지젓도 잇따랐다. KBS울산 시청자위원회는 “울산은 잦은 태풍과 산불 등 재난 재해가 발생하는 지역으로 KBS가 재난방송 주관방송사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고 했다. KBS춘천 시청자위원회 역시 “강원지역 특성상 산불, 폭설 등 각종 재난 재해 발생 빈도가 높아 도민들의 안전을 위해 그 어느 때보다 KBS의 국가기간방송사로서의 공적 책무 수행이 중요하다”고 했다.

아침신문 솎아보기

미디어오늘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