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사태', 누가 어떻게 치유할까
30일 사회갈등연구소 토론회…국책사업 갈등 관리방안 등 논의
2007-07-23 김종화 기자
지방자치단체의 독단과 중앙정부의 무책임함, 공정한 언론기능의 마비가 불러올 수 있는 문제점을 총체적으로 드러냈던 이른바 '부안사태'를 되돌아보는 토론회가 열린다.
사회갈등연구소(소장 박태순)는 오는 30일 서울 무교동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에서 '국책사업이 남긴 상처, 누가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 토론회를 연다. 성낙돈 덕성여대 교수의 사회로 박광우 인권위 사무관, 서복원 부안독립신문 편집국장, 나기용 산업자원부 방사성폐기물 팀장, 박태순 소장 등이 토론자로 나선다.
관련기사
- "전체 국민? 시민 개인도 중요하다"
- 경주 방폐장 선정 뒤 약속은 나몰라라…"예고된 갈등"
- "지역 아픔과 괴로움 달래는 게 우리 일" "'매향노'소리 들으며 올곧은 제작 고심"
- '낙후냐 번영이냐' 딜레마, 전북일간지도 빠져
- '민주적 의사결정' 때문에 '원자력 수용도' 높아졌다?
- 방폐장, 투표는 '끝' 진통은 '계속'
- 전북언론 "허탈…분노…증오…"
- 지역언론, 방폐장 유치 막판 세 몰이
- 지역언론 방폐장보도 '입맛대로'
- 군산시, 방폐장 놓고 '빨갱이' 구호까지
- 민변 "방폐장 주민투표 법적의미 없다"
- "방폐장 부대사업, 지역경제 도움 안 돼"
- '부안 사태' 잊은 '경주 방폐장 유치' 보도
- "귀 막은 정부, 따라가는 언론"
- "핵폐기장 추진, 부안주민 인권 침해"
- "주민·지방자치의 새 시대가 열렸다"
- 부안군·전북도, 방폐장 유치 위해 또 공무원 동원
- '2006년 10월 원전수거물처분시설 건설'
- "여의도에서 부안까지 넉달이 걸리다니"
- "우리는 '매향노'가 아니다"
- "5억 보상금 소문에 생업 포기"
- "부안 공동체 분열 언론책임 크다"
- "부안은 지금 파산상태…생거부안은 옛말"
- "메이저 신문들이 주민들을 폭도로 몰고 있다"
- "원자력에 대한 심층보도 부족이 아쉽다"
- "기자면 가슴에 노란 명찰 달고 다녀라"
지난 2003년 7월11일 김종규 당시 부안군수의 방사성폐기물처분장 유치선언 기자회견으로 시작된 이른바 '부안사태'는 이듬해 2월14일 주민투표로 일단락 됐다. 그러나 43명의 구속자와 380여명의 부상자(2004년 1월 조사결과) 등 방폐장 유치 논란에 휘말렸던 지역주민들은 지금도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 등 각종 후유증을 호소하고 있다.
아침신문 솎아보기
언론의 자유가 위협받는 시대, 더 나은 세상을 바라는 시민의 힘에 기대어 올곧은 기사로 보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