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사태 '정권 차원 방송장악 시도' 52.8%
뉴스토마토·미디어토마토 여론조사 PK에서도 절반 이상 '방송장악 시도'
국민 절반 이상이 KBS의 최근 주요 시사 프로그램 편성 제외와 진행자 교체 등에 대해 ‘정권 차원의 방송장악 시도’로 보고 있다는 여론조사가 나왔다.
뉴스토마토가 여론조사기관 미디어토마토에 의뢰해 지난 18~19일 만 18세 이상 남녀 10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21일 공개한 조사를 보면, 응답자의 52.8%가 박민 KBS 사장 취임 이후 일부 진행자 교체와 프로그램 편성 제외 과정에 대해 ‘KBS에 대한 정권 차원의 방송장악 시도’라고 답했다. ‘KBS가 공영방송 정상화 과정을 밟는 것’이라는 응답자는 29.5%로 집계됐다. ‘잘 모르겠다’는 유보층은 17.7%였다.
박 사장은 지난 12일 임명 직후 간부 대다수를 교체하는 인사를 냈고, ‘더 라이브’를 편성에서 제외했다가 폐지했고, ‘주진우 라이브’ 등도 폐지했다. 진행자와 주요 출연자들도 같이 하차했고, 메인뉴스 앵커도 교체했다. 이에 KBS 안팎에서 박 사장이 퇴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관련기사
조사 결과를 연령별로 보면, 70대 이상을 제외하고 모든 세대에서 KBS에서 벌어진 사태를 ‘방송장악 시도’라고 평가했다. 20대 ‘방송장악 시도’ 41.3%, ‘정상화 과정’ 26.4%, 30대 ‘방송장악 시도’ 58%, ‘정상화 과정’ 25.4%, 40대 ‘방송장악 시도’ 70.8%, ‘정상화 과정’ 17.6%, 50대 ‘방송장악 시도’ 63.6%, ‘정상화 과정’ 26.1%, 60대 ‘방송장악 시도’ 44.3%, ‘정상화 과정’ 41.1%였다. 반면 70대 이상에선 ‘방송장악 시도’ 33.2%, ‘정상화 과정’ 43%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대구·경북(TK)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서 절반 이상이 KBS 사태를 ‘방송장악 시도’라고 평가했다. 보수진영의 강세 지역인 부산·울산·경남(PK)에서도 ‘정권 차원의 방송장악 시도’란 응답이 절반을 넘었다. 서울 ‘방송장악 시도’ 56%, ‘정상화 과정’ 29.1%, 경기·인천 ‘방송장악 시도’ 55.2%, ‘정상화 과정’ 29.1%, 대전·충청·세종 ‘방송장악 시도’ 51.3%, ‘정상화 과정’ 30%, 광주·전라 ‘방송장악 시도’ 63.2%, ‘정상화 과정’ 15.7%, 부산·울산·경남 ‘방송장악 시도’ 51.5%, ‘정상화 과정’ 28.9%, 강원·제주 ‘방송장악 시도’ 52%, ‘정상화 과정’ 27.6%였다. 이에 반해 대구·경북에선 ‘방송장악 시도’란 응답이 32.4%로 ‘정상화 과정’(46.8%)이란 의견보다 많지 않았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안심번호)를 활용한 무선 ARS(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표본조사 완료 수는 1018명, 응답률은 6.2%로 집계됐다. 올해 10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를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산출했고 셀가중을 적용했다. 자세한 조사 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또는 서치통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아침신문 솎아보기
언론의 자유가 위협받는 시대, 더 나은 세상을 바라는 시민의 힘에 기대어 올곧은 기사로 보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