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축구팬들에게 6~7월은 ‘잔인한 세월’이다. 시즌이 한창일 때는 매주 주말마다 경기를 지켜보느라 밤과 낮을 바꾸어 살았던 국내 축구팬들도 다르지 않다. 한 시즌이 끝나는 5월말부터 새로운 시즌이 시작되는 8월까지 그저 ‘경기가 없다’는 사실 만으로도 공허한 주말 밤이 이어진다. 축구팬들의 공허함을 달래주기 위해서일까. 이적설 보도가 홍수를 이룬다.
태초에 언론이 ‘이적설’을 창조하시니!
한국축구의 ‘신성’으로 떠오른 손흥민 선수가 맨체스터유나이티드로 이적한다는 말이 있었다. 올해 초의 일이다. 지난 시즌 독일 분데리스가 함부르크에서 리그 33경기에 출전, 12골을 기록하는 맹활약을 펼친 덕분에 자연스레 관심이 집중되던 시기였다. 맨유에 이어 첼시, 리버풀, 토트넘, 인터밀란 등이 손흥민 선수를 영입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는 보도가 쏟아졌다.
뉴스는 비교적 구체적이었다.
그러나 모두가 아는 것처럼, 결론은 달랐다. 손흥민은 겨울 이적시장에서 맨유도, 첼시도, 기사에 언급됐던 그 어떤 팀으로도 가지 않았다. 그 대신 지난 6월13일, 손흥민은 분데스리가 바이어04 레버쿠젠으로 팀을 옮겼다. 이로써 손흥민 선수를 둘러싼 수많은 이적설도 종지부를 찍었다. ‘왜 이적설에 신빙성이 있는지’를 열심히 전파하던 수많은 언론보도가 무색해졌다.
하루가 멀다 하고 소문이 쏟아진다. 허공에 떠도는 수많은 ‘~카더라’는 말들이 활자가 되어 기사로 태어난다. 최근에는 호날두, 수아레즈, 루니, 카바니, 이과인, 요베티치, 베일 등 내로라하는 선수들이 수백억원의 가격표를 달고 소문의 주인공으로 떠오르고 있다. 축구팬들은 기다림과 실망, 기대와 좌절을 반복한다. 이적시장이 마무리되는 8월31일까지 반복될 풍경이다.
왜 이런 일이 반복될까. 우선 대부분의 국내 언론들은 해외축구 기자를 ‘앉아서’ 쓴다. 직접 현장에서 취재해서 기사를 쓰는 경우는 손에 꼽을 정도다. 그러다보니 외신보도가 사실상 거의 유일한 취재원이 된다. 적지 않은 기사의 끝에는 기사를 쓴 기자의 이름 대신 ‘외신팀’이라는 바이라인이 달린다. 직접 취재하지 않고, 사실 확인도 거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아무도 안 믿는 이적설, 기자도 안 믿는다?
외신들은 어떨까. 한국 언론들이 즐겨 인용하는 영국의 <더선>지나 <데일리미러>, <뉴스오브더월드>, <더피플> 등은 이적설 루머의 대표적 ‘진원지’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