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전직 기자인 오아무개씨가 삼성으로 이직한 뒤에도 지속적으로 MBC 내부 게시판에 접속해 정보를 유출한 사건이 터지자 다른 언론사들도 자사의 시스템을 점검하는 등 단속에 나서는 모양새다.

다른 언론사들도 MBC처럼 노골적이고 지속적이지는 않았지만, 정보보고 내용이 증권가 ‘찌라시’에 그대로 올라가는가 하면, 특종 보도 내용이 사전에 유출되는 경우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영범 SBS 보도국장은 “취재 정보를 담당하는 내부 직원들을 대상으로 최근 스크린했는데 현재로서는 MBC와 같은 문제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SBS는 MBC와 달리 기자들이 USB에 보안카드를 가지고 다니는데, 이걸 통해 신원 인증을 받아야 내부망에 접속되는 시스템”이라고 밝혔다. SBS 기자들 사이에서는 ‘식사 등으로 자리를 비울 때 내부망 접속에 신경을 쓰자’는 얘기도 퍼졌다.

   
  ▲ 서울 여의도 MBC 방송센터 사옥.  
 
경향신문에서도 MBC 사건이 터진 뒤 내부적으로 편집국 게시판 운영 등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경향에서는 몇 년 전 한 취재기자가 모 대학교수와 단 둘이 나눈 대화를 정리해 올린 정보보고가 외부로 나가 해당 교수가 취재기자에게 항의하는 사건이 있기도 했다.

자사가 1면 머리기사로 단독 보도한 내용이 같은 날 매일경제 지면에 여러 차례 실려 해명과 사과를 요구하기도 했던 중앙일보에서는 일찍부터 정보보고 내용을 등급에 따라 공개와 비공개로 나누고 있다.

중앙의 한 기자는 “보안이 필요한 정보보고를 할 때 1등급을 선택하면 보고를 올린 기자와 해당 보고를 받는 에디터·부장만 볼 수 있고, 2등급을 선택하면 해당 부서 기자들만 볼 수 있다”며 “그 외에 대부분의 내용은 편집국 내 모든 기자들이 볼 수 있는데, 정보지원실에서 늘 시스템 점검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조선일보에서는 몇 년 전 특종으로 분류됐던 기사 내용이 외부로 흘러나가 신문이 인쇄되기도 전에 해당 기업에서 연락이 온 일도 있었다.

조선의 한 관계자는 “우리는 기자들이 보고하는 내용을 다른 부서에서도 모두 볼 수 있게 돼 있지만, 특종이나 보안이 필요한 내용은 이메일이나 메신저로 보고하고 있다”며 “퇴직한 사람의 아이디 관리는 철저히 하기 때문에 내부 시스템에 접근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이런 일을 문제삼기 시작하면 부서간 불신의 벽이 생기게 될 텐데 그러면 부서별 공조를 통한 일관성 있는 지면 제작이 불가능해진다”며 “정보 공유와 소통을 통한 시너지를 잃지 않으려면 기자들의 보안 의식, 동료간의 신뢰, 회사의 철저한 시스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