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2월 말 이후 아날로그TV로는 방송시청이 불가능해 준비가 부족할 경우 사회적 취약계층이 TV시청권을 박탈당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지만 아직까지 제대로 된 홍보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주무부처에서는 디지털전환 홍보에 가장 큰 걸림돌로 예산과 인력부족 문제를 꼽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디지털전환 홍보예산으로 얻어낸 올해 예산은 25억 원이다. 지난해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에서 사안의 중요성을 인정해 140억 원을 책정했지만 금융위기와 4대강을 비롯한 정부사업에 막대한 예산지출이 불가피해지면서 대폭 삭감됐다. 전체 홍보예산 25억 안에는 디지털전환 인지도·디지털TV 보급률 조사비용이 포함돼 있어 실제 순수 홍보예산은 14억 안팎에 불과한 상황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방통위에서도 1년에 2~3개 정도의 홍보사업 밖에는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상연 방통위 디지털방송홍보과 사무관은 “월드컵 기간에 대규모 응원이 벌어지는 곳에 집중홍보를 계획하고 있는데 여기에 들어가는 비용만 5~6억 정도가 된다”며 “홍보예산 부족으로 최소한의 비용을 들여 홍보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예산이 부족하다보니 TV광고를 집행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김재영 방송운영총괄과장은 “TV 공익광고가 가장 홍보효과가 높은데 지상파 4사에 광고를 집행하려면 연간 65억 원 정도의 예산이 필요하다”며 “전국적으로 제대로 된 홍보를 하기 위해서는 150억 원 정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방통위 요구처럼 디지털전환을 알리는데 100억 대의 홍보비용이 필요한지는 의문이지만 현재 예산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은 사실이다. 경제규모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우리보다 1년 앞서 아날로그방송을 종료하는 일본과 비교해도 1/10에 불과한 수준이다. 디지털전환 작업에 차질이 빚어질 경우 TV시청을 못하는 계층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와 국회의 초당적 정책지원이 필요한 대목이다.

인력문제 해결도 시급하다. 긴 시간을 두고 지속적인 디지털전환 홍보작업을 벌여온 다른 선진국들과 달리 우리는 2008년에서야 디지털전환 홍보작업을 시작했고, 그 탓에 홍보 효과도 아직까지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방통위 안에 이를 전담하는 디지털방송전환추진단도 올해 3월에서야 생겼다.

유대선 디지털방송정책과장은 “2012년이 다가올수록 전담조직도 총력체제로 가동돼야 하는데 현재 인력이 상당히 부족한 상황”이라며 “디지털전환 문제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정책인 만큼 예산문제와 함께 인력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의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