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와 한국경제가 건설업계에 대한 상반된 '기사'를 실었다. 한경은 오늘자(28일)에서 "건설업계가 건설강국의 주역"이면서 "과거에도 지금도 우리 경제의 주역"이라고 평가한 반면 석간 아시아경제는 27일 "GS 건설이 1분기만 소송이 39건으로 '소송오명'"을 쓰고 있다고 질타했다.

먼저 한국경제를 보자. 한경은 별도섹션(D1면) <땀으로 쓴 한국 건설사 … "건설강국 우리가 주역">에서 "건설은 수출과 함께 우리 경제 발전의 양대 견인차 역할을 수행해 왔고 특히 '한강의 기적'으로 불리는 1960∼1970년대 고속 경제성장을 주도했다"면서 "지금도 건설업계의 '작지만 강한' 기업들은 경부고속도로에서 고속전철까지 명장들이 쓴 드라마의 바통을 이어가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국경제 "건설은 수출과 함께 경제발전의 견인차 역할 수행"

한경은 "출혈 경쟁으로 유혈이 낭자한 시장에서 기술로 틈새를 공략하는 건설회사, 무한책임 사후관리서비스로 무장한 건설엔지니어링 기업들, 그리고 투명성과 자질을 갖춘 우량 시행기업 등이 바로 그 주인공들"이라면서 "정책과 서비스의 변화 속도를 미리 예측하고 긴 호흡으로 미래를 준비하는 건설 한국의 디자이너들은 과거에도, 지금도 우리 경제의 주역이 아닐 수 없다"고 건설업계 전반을 치켜세웠다.

   
  ▲ 한국경제 6월28일자 D1면.  
 
반면 아시아경제는 27일자 1면 <건설업계 비리 이대로 안된다-(4)GS 건설은 소송중 / 1분기만 39건 500억대 소송 '오명'>에서 "GS건설이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사고와 업계간 다툼 등으로 인해 연일 법정 소송에 휘말리며 소송소굴이라는 오명을 쓰고 있다"면서 "실제로 27일 GS건설의 실적 공시내용에 따르면 1분기 현재 이 회사가 소송에 휘말려 법정다툼을 벌이고 있는 사건은 총 39건으로 소송규모는 500억원대가 넘는다"고 지적했다.

아시아경제는 "소송 내용 중 가장 많은 사안은 아파트 하자보수로 인한 손해배상"이라면서 "시장에서는 비판적 시각이 팽배하다"고 비판했다.

아시아경제 "건설업계 비리 이대로는 안된다"

아시아경제의 27일자 기사는 지난 22일부터 연재해 오고 있는 '건설업계 비리 이대로 안된다' 시리즈 중 4번째 기획기사다. 아시아경제가 지금까지 연재한 기사 제목을 보면 (6월22일자 1면) <법망 교묘히 피해가는 건설사-솜방망이 처벌 탈법 조장>(6월25일자 1면) (6월26일자 1면) 등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건설업계 전반이 '비리'와 '소송'으로 얼룩져 있다는 내용이다.

   
  ▲ 아시아경제 6월27일자 1면.  
 
이 두 기사를 주목하는 이유는 두 가지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두 신문이 건설업계에 대한 '극단적인 평가'를 내렸다는 것이 첫 번째 이유라면 올해가 '건설 60주년'(6월20일)이라는 점은 두 번째 이유다. 올해가 '건설 60주년'이라는 점과 이 기사들의 '연관성 여부'를 따져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최근 일부 언론사가 '건설 60주년'을 맞아 건설사들을 상대로 무리한 광고 및 협찬을 요구해 물의를 빚고 있고, 건설사들은 마케팅 효과도 없는 광고·협찬 요구에 난색을 표하면서도 '보복기사'가 두려워 속만 끓이고 있다는 언론보도가 있었다. (미디어오늘 2007년 6월27일자 참조)

건설사, 광고·협찬 속앓이

A 건설사의 홍보담당자 ㄱ아무개씨는 미디어오늘과의 인터뷰에서 "'건설 60주년'이라는 이유로 종합일간지, 경제지 가릴 것 없이 광고·협찬 요구가 쏟아지고 있다"면서 "이달 10일부터 다음 달 10일까지의 분양광고 외 건설관련광고는 언론사의 협박에 의한 것이라 봐도 무방하다"고 말했다.

   
  ▲ 미디어오늘 6월27일자 1면.  
 
기사에는 이런 부분도 언급돼 있다. "소속사로 접수된 '건설 60주년 광고협조 공문'만 7개를 받았다는 ㄱ씨는 총액으로 따졌을 때 중소건설사의 경우 3억 이상, 대형건설사는 5억 이상을 요구받고 있다. 남의 생일을 축하는 못해줄망정 대목을 맞은 양 좋은 게 좋은 것 아니냐는 담당데스크나 출입기자의 전화만 빈번하다. 분양도 없는데 광고를 달라니 해도 너무 한다."

물론 한국경제와 아시아경제의 기사가 모두 이와 관련돼 있다고 볼 수는 없다. 건설업계에 대한 평가는 다르게 내릴 수 있는 데다 한국경제는 건설업계 전반을 조명한 기사고, 아시아경제는 건설업계의 재건축비리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마케팅 효과가 미미한 데도 언론사의 요구를 물리칠 수 없다"는 건설사들의 '항변'과 "최근 모 일간지의 광고요청을 들어주지 않은 D사는 큼지막한 비판기사로 협조거부의 '대가'를 치르기도 했다"는 언론보도가 나오고 있는 점을 고려했을 때 이들 언론의 보도가 '예사롭지' 않은 건 분명하다. 기사의 '진정성'을 의심하지는 않지만 '최근 상황'이 기사 자체만을 놓고 판단하고 평가하기가 상당히 어렵다고 보기 때문이다. 특히 건설업계에 대한 평가가 '극단'으로 나뉘고 있다는 점도 그렇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