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민주노동당 경제민주화운동본부가 전북·전남·부산·충북·서울·울산 지역에 사는 시민 13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0명 중 3명은 대부업체의 TV 광고를 캐피털사나 은행이 하는 광고로 판단하고 있었다. 또 절반 이상은 대부업체의 이자율 상한선(연 66%)을 연 30% 미만인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민주화운동본부 측은 "유명 연예인이 대부업체의 TV 광고에 나올 것이라고는 상상조차 하지 못했다는 반응이 많았다"고 밝혔다.

언급한 내용은 경향신문이 오늘자(8일) 18면에서 보도한 기사 가운데 일부다. 최근 대부업체의 고금리로 인한 문제점이 불거지면서 각종 피해사례들이 급증하는 현상의 '또 다른 면'을 이 기사는 보여주고 있다. '현실'에서 피해는 급증하고 있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대부업체와 그로 인한 고금리 피해를 잘 모르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지난 2003년부터 채무상담을 해온 민주노동당 경제민주화운동본부는 이날 "현실에서는 드라마 뺨치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고 밝히면서 각종 피해사례를 공개했는데 '피해자'들이 신체포기각서를 쓰는 것은 물론 빚을 갚기 위해 유흥업소에 취직하는 일이 '다반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 머니투데이 6월8일자 27면.  
 
경제민주화운동본부 측은 카드사·상호저축은행·캐피탈사 같은 제2금융권은 물론, 제1금융인 은행권의 고리대와 불법추심 사례도 많지만 제외했다고 밝혔다.

대다수 경제지들과 언론들이 '외면'한 대부업체 문제

하지만 민주노동당의 이 같은 피해사례 조사결과는 대다수 언론들의 외면을 받았다. 8일자 경향신문이 경제면에서 관련 내용을 보도한 것을 비롯해 머니투데이가 같은 날짜 27면 <드라마 뺨치는 '쩐의 전쟁'>에서 사채 피해사례를 언급했을 뿐이다. 나머지는 대부분 민주노동당의 피해사례와 설문조사 결과를 보도하지 않았다.

물론 민주노동당의 피해사례 조사결과를 꼭 보도해야 하는 건 아니다. 하지만 자체적인 취재를 통해 관련 내용을 보도한 곳은 조선일보 정도였다.

   
  ▲ 조선일보 6월8일자 B1면.  
 
조선은 오늘자(8일) 경제섹션(B1) <'칼만 안든' 빚 독촉>에서 "대부업체의 불법 추심(연체 빚을 받아내는 것)행위가 드라마 속 얘기만은 아니다"면서 "6일 본지가 입수한 일본계 대부업체 R사의 내부 매뉴얼 '지부장 능력 향상 과정'을 보면 합법과 불법의 경계를 교묘히 넘나드는 대부업체의 추심 수법이 적나라하게 드러나 있다"며 구체적인 '사례'를 보도했다.

조선은 "이 매뉴얼은 R사 지부장급 간부 직원 30여 명을 대상으로 한 내부 교육 자료"라고 덧붙였는데 '공포감을 갖게 하라' '난처한 시간에 찾아가라'는 항목 등이 포함돼 있다.

서민들 울리는 대부업체 피해 문제 외면 이유 뭔가

사실 일부를 제외한 많은 언론들이 이 사안 자체를 주목하지 않고 있다. 대부업체의 고금리 문제는 심상정 민주노동당 의원이 지난 5월18일 자신의 웹사이트에 '내가 드라마 <쩐의 전쟁>의 전쟁에 주목하는 이유'라는 글을 올리면서 세간을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어 민주노동당 경제민주화운동본부(본부장 이선근)가 이 드라마의 방영시점에 맞춰 '드라마 <쩐의 전쟁> 바로 알기'라는 시리즈 형식의 보도자료를 배포하면서 공론화의 물길을 텄다.

게다가 연예인들의 사채광고 출연을 둘러싼 찬반논쟁과 일부 연예인들의 계약해지 '사건'까지 불거지면서 논쟁에 더욱 불을 지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련의 사안들은 경제지들은 물론 다수 언론의 '주목'을 그다지 받지 못했다. 지난 4월5일 재정경제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고금리의 사금융 이용자는 329만 명인데 이 중 불법 대부업체 이용자 수는 181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 5월16일자 한겨레 보도에 따르면 은행 대출이 불가능한 신용등급인 7∼10등급에 드는 저신용 계층은 무려 700만5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채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상당수가 거의 '파탄적인 상황'에 직면해 있는 셈이다.

하지만 많은 언론들은 이 문제를 그다지 주목하지 않고 있다. 상황이 심각함에도 여전히 대다수 경제지들의 관심은 '동탄 신도시' 문제나 기업들의 '자잘한' 대소사에 집중·국한돼 있다. 이들의 시선이 이처럼 '높은 곳'에만 머무른다면 서민들의 '밑바닥 경제상황'은 계속 악순환만 되풀이 될 가능성이 높다. 시선을 돌리는 작업이 필요하다.

농림부 출입기자 2-3명 성매매 향응 의혹 수사…대다수 언론 '침묵'

   
  ▲ 한겨레 6월8일자 10면.  
 
농림부 공무원들과 일부 출입기자들이 함께 안마시술소에서 성매매를 한 의혹에 대해 경찰이 수사를 벌이고 있다. 경찰청 특수수사과는 7일 농림부 홍보관리관실 공무원들과 출입기자들이 지난 1월31일 저녁 회식을 한 뒤 2∼3명의 공무원과 비슷한 수의 기자들이 안마시술소로 가 성매매를 했다는 첩보를 입수해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경찰청 특수수사과는 일반적으로 청와대로부터 첩보를 넘겨받아 하명 수사를 하는 곳이다.

농림부 홍보관리관실은 지난 1월31일 출입기자 20여명과 함께 전·후임 홍보관리관의 환송 및 환영회를 열었다. 이날 회식에는 농협, 한국농촌공사, 농수산물유통공사 등 농림부 산하 6개 기관 홍보팀장들도 참석했다. 이들은 경기 과천의 한 호텔 일식집에서 저녁식사를 한 뒤 호텔 지하의 유흥주점에 갔고, 이어 맥줏집으로 자리를 옮긴 다음 4차로 안마시술소에 갔다. 경찰은 이미 농림부 공무원들과 안마시술소 주인 등을 불러 조사했고, 성매매를 한 혐의를 받고 있는 일부 기자들도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이 내용은 7일 오마이뉴스가 보도하면서 알려졌는데 8일자에서 이를 보도한 것은 동아일보와 한겨레 정도다. 다른 언론들은 일제히 '침묵'이다. 왜일까. 5개월 전 일이 지금에서야 터진(?) 것이 미덥지 않아서일까. 아니면 '동종업계' 종사자에 대한 '예우' 차원일까. 그 어떤 이유가 됐든 언론의 이 같은 '침묵'이 현재 청와대가 추진하고 있는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에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생각은 해보지 않았을까.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