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노동조합(위원장 김도년)이 사측을 향해 “중앙일보 신입 기자들의 초봉이 중견 경제지인 머니투데이, 아시아경제 등보다 낮다”며 비판을 제기했다. 노조가 언론사 15곳의 지난해 입사한 신입 기자 초봉을 비교·분석한 결과다.

지난 14일 중앙일보 노조가 발행한 ‘중앙노보’를 보면 노조는 주요 통신사·종합지·경제지 15곳의 지난해 입사한 신입 기자 초봉을 취재했다. 그 결과 중앙일보는 조사 대상 언론사 15곳 중 8번째였다. 중앙일보보다 초봉이 높은 곳은 조선일보, 연합뉴스, 매일경제, 한국경제, 서울경제, 머니투데이, 아시아경제 등(연봉 순 아님)이라고 밝혔다. 업계에서 연봉이 낮은 축에 속한다고 알려진 국민일보와 이데일리 등도 신입 초봉은 200~300만원 정도의 차이밖에 나질 않는다고도 짚었다.

▲지난 14일자 중앙노보에 실린 표.
▲지난 14일자 중앙노보에 실린 표.

노조는 ‘지난해 입사한 15곳 언론사의 신입 기자 초봉 산정 방식’에 대해 “초봉은 기본급과 매달 지급하는 직무·취재수당 등을 더한 수치다. 매년 고정적으로 월 급여의 100~200%를 성과급으로 지급하는 곳도 있었다. 그러나 비교를 위해 성과급과 법인카드·통신비·복지포인트 등은 제외했다”고 밝혔다.

노조는 중앙일보 기자들의 ‘직무 성과’를 언급했다. 노조는 “기자협회보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네이버 ‘많이 본 뉴스’ 페이지뷰 1위는 중앙일보였다. 정치·경제·사회·생활문화·세계·IT과학 등 6개 카테고리 중 5개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디지털 혁신 성과는 전 부문에 걸쳐 나타났다. 신문과 디지털 부문의 조직 분리, 현장 밀착형 리얼타임 보도, 데이터·뉴스레터·동영상·그래픽뉴스 등 새로운 디지털 혁신 시도는 타사의 추종을 불러오고 있다. 이는 경영과 노동 모두가 자축해야 할 성과”라고 했다.

그러면서 언론계가 유료화 진검승부를 앞두고 우수 인재를 수혈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전자신문이 향후 3년간 연봉 30%를 올리는 데 합의했다는 점과 한국경제신문이 올해 수당 인상으로 평기자 평균 400여만원, 차장급 평균 700여만원의 연봉 상승효과를 거두게 했다는 점을 예로 들었다. 노조는 “이들 회사는 언론계 콘텐트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한 우수 인재 수혈 필요성을 강조한다”고 했다.

▲서울 상암동에 위치한 중앙일보 사옥. 사진=중앙일보.
▲서울 상암동에 위치한 중앙일보 사옥. 사진=중앙일보.

중앙일보가 디지털 특화된 기자 양성소가 되는 것을 우려하며 최근 조선일보의 온라인 대응 자회사인 조선NS(News service)에 중앙일보 EYE팀 기자가 이직한 것에 대해서도 짚었다.

노조는 “신문업계가 인재 확보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유료 콘텐트 진검 승부를 앞두고 있어서다. 독자들은 똑같은 출입처에서 생산하는 비슷한 발생기사, 클릭 유발을 위한 어뷰징 뉴스 등에 피로감을 느끼고 있다. 향후 콘텐트 경쟁이 유료 구독 모델로 전환하면, 차별화한 양질의 콘텐트 생산이 가능한 인재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썼다.

김도년 중앙일보 노조위원장은 노보에서 “최근 조선계열의 EYE팀 기자 영입 시도로 드러났듯, 타사에선 디지털 혁신 성공 경험이 있는 중앙그룹 기자 영입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중앙그룹이 기껏 훈련한 ‘디지털 전사’를 언론계에 공급하는 양성소가 되어선 안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중앙일보·JTBC는 지난해와 올해 2년치 임금에 대한 인상을 진행 중이다. 노조는 지난달 8일자 노보에서도 유료화 전환을 이야기하며 “유료화 전환 환경에선 독자가 돈을 지불할 가치가 있는 양질의 콘텐트 생산이 절실하다”며 “양질의 콘텐트는 우수한 기자들이 모여야 나온다. 우수한 기자들은 언론계 안에서 더 높은 임금·복리후생을 보장하는 사업장으로 몰릴 수밖에 없다. 사람이 공장인 언론사에서 높은 임금은 1위 자리를 추격·수성하려는 곳엔 더 절실하다. 현재 인재를 놓쳐서도 안 될뿐더러 유능한 인력을 계속 공급받기 위한 필요조건”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관련 기사 : 중앙노조 “중앙일보 만성 빚 부담, 발목 잡아선 안돼”]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