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불안 부추기더니, 달라진 조선일보

조선일보가 달라졌다. 그간 백신의 안전성에 적극적으로 문제를 제기해온 조선일보가 지난달 27일 1면에 “우리도 백신 맞읍시다” 기사를 내면서 백신 접종을 적극적으로 독려하고 나섰다. 이후 조선일보는 연일 ‘백신을 맞읍시다’ 시리즈 기사를 선보이고 있다.

조선일보는 1일 “한방에 끝나는 얀센 백신, 오늘부터 예약”기사를 통해 ‘얀센’ 백신에 대한 ‘QnA’를 내보냈다. 조선일보는 ‘얀센’ 백신에 대해 “화이자 백신 남아공 변이에 대한 예방 효과에 필적하는 수준”이라며 “가장 큰 장점은 다른 백신과 달리 한 번만 맞아도 된다”고 설명했다. 얀센의 부작용 가능성에 대한 언급도 있었으나 기사 제목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장점’을 부각하며 접종을 독려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 1일 조선일보 기사
▲ 1일 조선일보 기사

지난달 29일 조선일보는 “이틀간 120만 접종 국민들이 팔 걷었다”기사를 내고 “코로나 백신 접종 석달만에 1차 접종률 인구 10% 돌파”라고 밝히며 “집단 면역에 이르기 위해 앞으로 남은 변수는 국민의 접종 동참률이 얼마나 되는지에 달릴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지난달 27일 조선일보는 “전문가들도 ‘접종률을 빨리 끌어올려야 사망자를 한 명이라도 줄이고, 빠른 확산이 우려되는 변이 바이러스에도 대비할 수 있다’고 말한다”며 백신 접종을 독려했다.

하지만 백신 전반에 대한 불안감을 부추긴 건 다름 아닌 조선일보였다. “엿새간 10명 사망, 독감백신 쇼크”. 2020년 10월22일 조선일보 1면 톱기사 제목이다. 이어지는 2면에선 “고령층 무료접종 이후 사망자 속출했다” 기사를 냈고, 3면에선 전문가들이 접종을 멈춰야 한다고 밝혔다는 제목의 기사를 배치했다. 당시 질병관리청은 계절적 요인과 접종자의 연령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히며 ‘백신’과 인과관계를 단정하기 힘들다고 했지만 조선일보는 연일 ‘치명적인 부작용’ 을 강조했다. 이후 인과관계가 없다는 사실이 드러나자 조선일보는 작은 비중으로 사안을 보도했다.

▲ 지난 27일 조선일보 1면
▲ 지난 27일 조선일보 1면

코로나19 백신 접종 국면에서도 조선일보는 안전성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기했다. 지난해 12월 정부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도입을 추진하자 조선일보는 “정부마저...안전 보장 안 된 아스트라제네카 밀어붙이나” 기사를 내고 “빨리 못 맞는 것보다 안전 검증 안 된 백신이 더 두렵다”는 ‘국민’의 반응을 전했다. 이어 조선일보는 1월30일 “아스트라제네카, 안전성 물량 문제 동시에 터지나” 기사를 냈고, 2월4일에는 “유럽 7개국, 아스트라제네카 고령자 접종 제한... 우리나라는?” 기사를 통해 “우리도 고령자 접종 제한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고 전했다. 

조선일보는 얀센 백신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기사를 썼다. 지난 4월14일 조선일보는 “얀센도 혈전 논란 백신 접종 초비상” 기사를 내고 부작용 사례를 부각했다. 

조선일보가 ‘백신 불안’을 부추기는 데서 ‘적극 접종 독려’로 선회한 데는 여러 분석이 나온다. 누리꾼들 사이에선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모더나 백신 생산을 맡게 된 일을 계기로 언론이 백신 불안감을 부추기는 보도를 줄였다고 보는 시선이 있다. 대선 국면을 앞두고 집단면역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 백신에 대한 논란을 제기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유리하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조선일보는 논조 변화에 대한 별도의 설명을 하지 않고 있다.

▲ 과거 코로나19 백신 문제를 다룬 조선일보 기사 갈무리
▲ 과거 코로나19 백신 문제를 다룬 조선일보 기사 갈무리
▲ 지난해 독감 백신 불안감을 키운 조선일보 기사 갈무리
▲ 지난해 독감 백신 불안감을 키운 조선일보 기사 갈무리

보릿고개 넘은 백신 접종

이날 백신 접종이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데 초점을 맞춘 기사가 많았다. 서울신문은 백신 보릿고개를 넘었다고 밝히며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 목표를 1300만명에서 140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27%까지 늘린 데는 최근 백신 수급 등 상황을 고려할 때 충분히 가능하다는 자신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얀센 백신 100만회 분이 도입되면서 백신 물량이 늘었고, 장기적으로 모더나 백신 생산에도 청신호가 커졌다. 일부 노쇼가 있긴 했지만 당일 노쇼 잔여 백신에 대한 예약 접종이 원활히 이뤄지고 있다.

정부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한 조사 결과 미접종자 중 접종을 받겠다고 응답한 비율이 69.2%로 한달 전보다 7.8%포인트 증가했다. 성인 절반은 잔여 백신을 맞을 의향이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나왔다. 한겨레와 경향신문은 정부가 제시한 백신 인센티브 정책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했다.

▲ 1일 서울신문 기사 갈무리
▲ 1일 서울신문 기사 갈무리

하지만 늘어나는 백신 접종에 비해 백신 휴가 도입은 정체 상태다. 서울신문의 “접종 땐 이틀휴가 중기는 딱 한 곳뿐” 기사를 보면 대기업들은 백신 접종 당일과 이후 이상반응 발생시 추가 휴가를 부여하는 ‘백신 휴가’를 도입한 경우가 적지 않지만 중소기업에서는 찾기 힘들었다. 경향신문은 “기업 규모, 직종에 따라 휴가 도입 유무가 나뉘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며 “신속한 백신 접종이 코로나19 종식의 분수령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기업, 중소기업을 막론하고 접종을 독려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과 여론 형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고 밝혔다. 

윤석열 국민의힘 입당?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국민의힘측과 접촉하면서 언론의 여러 전망이 나오고 있다. 윤석열 전 총장은 지난달 29일 강릉을 찾아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과 식사했다. 윤석열 전 총장과 권성동 의원은 친구 사이다. 중앙일보에 따르면 권 의원은 윤 총장에게 “대선 후보로 나와야 한다”고 했고, 윤 전 총장은 “열과 성을 다하겠다”는 취지로 답변했다. 앞서 윤 전 총장은 지난달 26일 국민의힘 정진석 의원도 만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 등이 이 회동에 대한 기사를 썼는데, 조선일보는 “윤석열, 이르면 7월 국민의힘 입당”이라며 ‘입당’을 단정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조선일보는 윤 전 총장과 가까운 야권 관계자의 발언을 통해 윤 전 총장은 국민의힘 새 당대표가 선출된 이후 당이 정비된 다음 국민의힘에 입당할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을 전했다.

▲ 윤석열 전 총장 회동을 다룬 기사들
▲ 윤석열 전 총장 회동을 다룬 기사들

이선호씨 죽음 지속적으로 조명하는 한겨레

300kg 무게의 컨테이너 날개에 깔려 숨진 일용직 노동자 이선호씨가 사고를 당한지 40일이 지났다. ‘반짝’ 주목했던 언론의 관심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한겨레는 사고 후 안전 문제를 진단하는 기사와 사설을 냈다. 

한겨레 취재에 따르면 평택항에서는 이씨가 사고를 당한 개방형 컨테이너를 제외한 다른 컨테이너를 별다른 점검조차 하지 않고 계속 사용하고 있었다. 한겨레는 사설을 통해 “이씨가 숨진 뒤에도 한 달 넘게 노동자들이 똑같은 위험에 노출돼 일을 해온 것”이라며 “최근 산재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데도 우리 사회가 전혀 교훈을 얻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 참담할 따름”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