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현재와 같은 속도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 접종을 진행할 경우 2.6년 뒤에나 집단면역이 형성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는 내용의 국회 자료를 인용한 보도가 나와 논란이다. 이에 국회가 블룸버그 예측을 단순 소개했을 뿐이라며 해명하고 나섰다.

중앙일보는 지난 14일 “[단독] ‘11월 집단면역’ 문(文)과 달리… 국회 ‘현 속도론 2.6년 뒤’”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다. 해당 기사는 국회 입법조사처가 윤두현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등 각국의 집단면역 도달 예상 시기’라는 제목의 자료를 토대로 쓰여졌다.

▲14일자 중앙일보 단독 보도. 이날 저녁 국회는 이 기사에 대해 입법조사처의 공식 입장이 아니라 블룸버그 내용을 소개한 내용이라고 선을 긋는 입장을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14일자 중앙일보 단독 보도. 이날 저녁 국회는 이 기사에 대해 입법조사처의 공식 입장이 아니라 블룸버그 내용을 소개한 내용이라고 선을 긋는 입장을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중앙일보는 “한국은 최근 하루 평균 7만8236회의 코로나 예방 접종이 이뤄지고 있다. 이를 토대로 앞으로도 같은 속도가 유지되면 인구의 75%가 접종하는 데 향후 2.6년(2년7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입법조사처는 예측했다”고 썼다. 입법조사처의 자료는 ‘블룸버그 자료’를 인용했다고도 밝혔다. 이어 뉴스1, 뉴시스, 한국경제, 머니투데이 등에서도 같은 내용의 기사를 보도했다.

언론들이 이 소식을 보도하며 입법조사처의 자료는 ‘불룸버그 자료’를 인용했다고 썼다.

이에 이날 국회는 곧바로 ‘입법조사처의 공식 의견이 아니다’고 선을 긋는 입장을 냈다. 국회는 14일 저녁 “국회 입법조사처는 국회의원의 요청에 따라 ‘집단면역 도달 예상 시기’와 관련해 해외사례 및 각계 의견 등을 조사해 회답했다. 그러나 우리나라 인구의 75%가 접종받는 데 향후 2.6년이 소요될 것이라는 내용은 블룸버그의 예측 내용을 단순 소개한 것으로 국회입법조사처의 공식 의견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국회는 이어 “블룸버그의 예측치는 최근 7일간의 평균 예방 접종 건수를 기준으로 산정한 것으로 백신 도입 및 접종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집단면역 형성을 예측할 수는 없다”고 설명한 뒤 “우리나라 정부는 현재 11월 집단면역 달성을 목표로 접종을 진행 중이며 백신 수급 상황에 따라 집단면역 달성 시점은 변동될 수 있다”고 했다.

처음 이 소식을 보도한 중앙일보 기자는 15일 미디어오늘에 “국회가 (14일 저녁에 낸) 보도자료의 핵심 내용은 이미 기사에 다 들어가 있는 내용”이라고 반박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