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시청자위원이 KBS의 ‘저널리즘 토크쇼 J’(이하 저널리즘 J)가 자사 ‘검언유착’ 보도에 대해 자기방어적 논리를 보였다고 지적했다. 이에 KBS 측은 “자사 비평도 다른 미디어에 대한 잣대와 다르지 않다”고 밝혔다. KBS 시청자위원회는 방송법에 의거해 시청자의 권익보호를 목적으로 설치된 기구로서 시청자를 대표해 방송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22일 공개된 KBS 9월 시청자위원회 운영실적에 따르면 9월 시청자위원회는 서면회의로 실시됐다. 이 가운데 김준현 위원(법무법인 우리로 변호사,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추천)은 ‘저널리즘 J’가 8월16일 방송분에서 지난 7월18일 KBS 뉴스9의 이른바 ‘검언유착 오보’를 다루면서 자기방어적 모습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김준현 위원은 “KBS의 해명을 좀 더 상세히 평가하고 보충했을뿐 신랄하지는 않았다”며 “일각에서 일고있는 ‘권언유착 의혹’에 대한 설득력있는 접근보다는 오보사건을 ‘권언유착 의혹’으로 물타기하지 말아야 한다는 자기방어적 논리에 충실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패널들의 평가나 본사의 입장문보다 오히려 9월2일 국회 과방위에서 양승동 사장의 발언이 더 솔직하게 들렸다”며 “KBS가 해명해야할 지점은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단정적으로 보도할 만큼 취재원이나 취재가 신뢰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검증 결과와 담당 데스크의 독단적 판단에 이르게 된 경위 및 오보 결과에 대한 조치”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2일 양 사장은 검언유착 오보에 대해 “데스크가 기사가 밋밋해서 욕심을 냈다”고 말한 적 있다.

▲KBS 저널리즘 토크쇼 J 8월16일 방송분.
▲KBS 저널리즘 토크쇼 J 8월16일 방송분.

김 위원은 “저널리즘 J는 ‘정치적 편향과 언론보도의 관계’에 대해서 한번 다뤄야 한다”며 “다른 언론 말고 KBS 자체 보도 분석부터 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위원의 지적에 KBS 시사제작국은 “저널리즘 J는 방송에서 취재원의 말만 믿고 증거인 녹취록 없이 보도한 것은 전형적인 검찰 받아쓰기 관행이라는 점을 강하게 비판했고, 게이트키핑 과정에서도 데스크가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고 비판했고 책임을 피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고 설명했다.

시사제작국 측은 “다만 방송시점에서 해당 책임자들에 대한 징계 절차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 있었기에 KBS가 어떻게 대처했는지, 그 조치가 적절한지 미흡한지 여부에 대해서는 논할 수 없었다”고 전했다.

시사제작국 측은 그동안 저널리즘 토크쇼J의 비평 대상에 KBS 자체 비평도 많았음을 강조했다. 시사제작국 측은 “저널리즘 J가 101차례 방송하는 동안 KBS 자사 비평이 9차례, 조선 중앙 동아 등 보수신문이 40차례, 언론 전반이 37차례, 인터넷 5차례, 종편과 지상파가 각각 2차례”라며 “KBS에 대한 저널리즘 J의 비평 잣대는 다른 미디어에 대한 비평 잣대와 다르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KBS를 포함한 ‘정치적 편향과 언론보도의 관계’에 대해서도 지속적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전진한 부위원장(알권리 연구소 소장,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추천)도 ‘저널리즘 J’에 대해 의견을 냈는데 8월30일 방송자에서 ‘크리티컬 저널리즘’(비아냥 저널리즘)이라는 개념을 소개한 점에 대해 칭찬했다. 해당 방송에서 문제가 터지기 전에는 방관하다가 문제가 터지면 ‘그럴 줄 알았어’라며 비아냥 대는 것을 ‘크리티컬 저널리즘’이라고 명명했다.

다만 전 위원은 해당 방송에서 전광훈씨에 대한 언론의 관심이 전 씨의 영웅심리를 부추기기 때문에 부적절하다는 비평에는 “조금 다른 시각으로 볼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전 위원은 “전광훈씨의 행태가 전 국민의 관심이 되었고 어떤 측면이든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기 때문에 그에 대한 동정 보도는 오히려 국민의 입장에서 부정적 이미지가 더 커질 수도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