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검찰 간부 간 몸싸움 사태의 발단은 ‘유심’(USIM)으로 나타났다. 채널A 기자와 이른바 ‘검언유착’ 당사자로 수사 받고 있는 한동훈 검사장의 휴대전화 유심을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정진웅 부장검사)가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일이다. 통상 유심 자체는 수사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본다. ‘정진웅은 왜 몸까지 날렸나’ 검찰 안팎 이야기를 일부 신문이 전했다.

‘검언유착’ 사건을 수사 중인 정진웅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장은 29일 한동훈 검사장의 휴대전화 ‘유심’을 압수수색하려다 한 검사장과 몸싸움을 불사했다. 정 부장은 압수수색 과정에서 한 검사장과 충돌한 뒤 혈압이 오르고 근육통을 느낀다며 병원에 입원해 코로나19 검사를 받아 음성 판정을 받은 뒤 퇴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직 검찰 간 압수수색 과정에서의 몸싸움이 이례적인 데다, 그 대상이 많은 정보를 얻기에 한계가 있는 ‘유심’이란 점에서 배경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경향신문(추·윤 균열이 불러온 ‘검사 내분’)은 “(검찰 내에서) 이런 사태의 원인은 ‘권한이 없어진 검찰총장과 권한을 뺏은 법무부 장관’에게 있다고 본다”고 전했다. 경향신문은 “한 검사장과 정 부장 간 다툼은 지난 1월 대검 중간간부가 검사장에게 항명한 ‘상갓집 파동’ 이후 6개월여만에 재현됐다”며 “윤 총장 측근으로 분류된 ‘특수통’ 간부라인과 추 장관이 인선한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 중심 라인은 ‘검·언유착’ ‘한명숙 사건 감찰’ 등 사건마다 부딪쳤다”고 했다. “윤 총장이 ‘식물총장’으로 전락하면서 조직 내 기강이 무너졌다”는 것이다.

▲ 7월31일자 경향신문 기사
▲ 7월31일자 경향신문 기사

한겨레(‘검찰 육탄전’ 부른 유심 압수 왜..)는 수사팀이 ‘시간적으로 조급한 상황에 몰린 탓’이라는 분석을 전했다. 지난 17일 이동재 전 채널A 기자를 구속한 검찰이 한 검사장과 공모 여부 입증에 주력했으나 한 검사장은 혐의를 전면 부인, 휴대전화 비밀번호도 알려주지 않고, 공모 혐의 물증으로 제기된 ‘부산고검 녹취록’도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은 가운데, 24일 검찰수사심의위마저 한 검사장 불기소 및 수사중단을 권고한 상황에 압박을 느꼈을 거란 분석이다. 이 전 기사 기소 시점이 다음달 초로 다가온 만큼 수사팀이 수세에 몰린 상황이 몸싸움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을 한겨레는 제기했다.

덧붙여 한겨레는 “휴대전화 단말기는 압수수색 대상이 아니었고 유심에 담긴 정보와 휴대전화 속 정보는 별개이기 때문에 설득력이 떨어진다. 피의자와 수사팀장이 독직폭행과 무고·명예훼손 고소로 맞서는 진흙탕 싸움은 검·언 유착 의혹 수사의 동력 자체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 7월31일자 한국일보 기사
▲ 7월31일자 한국일보 기사

한국일보(한동훈 폰 ‘유심’에 뭐가 들었길래 정진웅은 몸을 날렸나)도 “수사팀이 한 검사장의 혐의를 입증할 증거를 거의 확보하지 못한 탓에 자그마한 실마리라도 잡기 위한 시도였을 것”이라는 분석이 검찰 주변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고 전했다.

조선일보(유심정보 삭제 불가능한데, 증거인멸이라며 덮친 정진웅)는 “이런 유의 수사 경험이 부족한 정 부장검사가 휴대전화 단말기 작동 원리를 제대로 모르는 상태에서 큰 사고를 친 것 같다”는 ‘복수의 검찰 관계자와 법조인’ 의견을 전했다. 당시 충돌 상황에서 한 검사장이 휴대전화로 전화를 걸기 위해 잠금장치를 풀 때 정 부장이 이를 ‘저장 기록물 초기화’로 오인해 달려들었다는 것. 조선일보는 “한 검사장이 쓰던 아이폰의 경우에는 비밀번호를 10번 잘못 눌러야 데이터가 초기화된다. 그 경우에도 사진, 연락처 등 휴대전화 데이터가 지워질 뿐 유심카드 정보가 초기화되진 않는다”며 “설사 정 부장검사가 판단한 대로 한 검사장이 휴대전화 초기화를 시도한 것이라 할지라도 이를 제지할 근거는 없다”고 질타했다.

중앙일보(한동훈폰 유심 압수수색에 수사팀서도 반대 많았다)는 검찰 내부에서 유심 압수수색 필요성에 동의하지 않은 팀원이 많았다고 보도했다. 정 부장이 직접 압수수색을 집행한 것도 선뜻 현장에 나갈 검사가 없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중앙일보는 3월10일 한 검사장과 이 전 기자가 나눈 카카오톡 보이스톡 대화 내용이 ‘열쇠’로 여겨진 상황에서 정 부장이 유심을 ‘스모킹 건’으로 인식했을 관측을 제기하면서도 “상당수 수사팀은 실효성을 낮게 본 것으로 전해졌다”고 했다.

▲ 7월31일자 조선일보 기사
▲ 7월31일자 조선일보 기사

중앙일보는 한편 독자위원회 회의 내용을 “KBS·MBC의 채널A 사건 보도 논란, 적극적인 추적취재를”이라는 제목으로 냈다. 28일 열린 독자위 회의 발언 가운데 “채널A 사건과 관련 MBC, KBS의 보도가 논란이 되고 있다. SNS에서 진중권씨 등이 계속 문제를 제기했고, 결국 녹취록이 공개되며 의혹이 커지고 있다. 이 사안은 누가 보더라도 충분히 의심이 들 만한 상황이다. 그렇다면 더욱 적극적으로 자체적인 추적 취재를 했어야 하지 않나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는 금태섭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발언을 제목으로 사용했다.

아래는 31일자 전국단위 주요 아침신문(종합일간지) 1면 머리기사 제목.

경향신문: ‘정권 비호’ 위한 다수당 독주…협치 실종, 정치 불신만 초래
국민일보: 巨與 부동산 승부수 책임도 오롯이 巨與
동아일보: “1300채 단지에 전세매물 딱 1개”
서울신문: 민심에 놀란 정부 ‘압박’ 통했나 다주택 고위직 71%가 움직였다
세계일보: 집주인·세입자 ‘옥신각신’...혼돈의 전세시장
조선일보: 상정 이틀만에 시행, 이런 법은 없었다
중앙일보: 검찰 힘은 더 빼고 경찰 힘 더 키웠다
한겨레: ‘공룡 경찰’ 견제장치가 없다
한국일보: 이 빠지는 劍..저무는 檢의 시대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