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보 젊은 기자들이 자사 기자들의 연이은 퇴사를 우려하며 올해 중 수습기자를 공개채용하라고 촉구했다.

문화일보 기자 28명은 지난달 25일 “지난 3년간 기자 16명이 문화일보를 떠났다. 회사 성장 주축인 ‘허리급’ 기자가 특히 많았다. 그중 5년차 안팎이 8명으로 절반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들에 따르면, 수습공채 기자 15기 9명 중 4명, 16기 9명 중 4명, 17기 3명 전원, 18기 4명 중 3명, 19기 6명 중 3명이 퇴사했다. 이들 대부분은 일반 기업체가 아닌 언론사로 떠났다.

기자들은 성명에서 “기자로서 미래를 문화일보에서 찾지 못했던 것”이라며 “문화일보에서 ‘미래’는 사치가 됐다. 일선은 취재와 기사 작성이라는 기본 업무만 해내기도 벅찬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기획과 특종, 단독 보도는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고 그날 지면을 막는 데만 급급하다는 비판이다.

▲ 문화일보 로고.
▲ 문화일보 로고.

문화일보 취재 인력은 타사와 비교하면 그 차이가 두드러진다. 사회부 법조팀 현장 인력은 4명에 불과하다. 정치부도 12명이다. 조선일보 법조팀 인력(8명), 중앙일보 정치부(21명)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 문화일보의 경찰 담당 기자는 시경캡 포함해 5명으로 14명의 동아일보와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현재 문화일보는 코로나19 발생 전부터 2년 연이어 공개채용을 하지 않고 있다. 성명을 낸 기자들은 “비용 때문이라면 서류전형 합격자 수를 줄여 사옥에서 필기 시험을 치르고 면접전형 강화 등 대안이 필요하다”며 “경력직 채용 또한 규모·기간을 두고 체계적으로 공개 진행해야 한다. 인력 공백이 발생하고 나서야 경력직을 물색하는 것이 현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문화일보 기자들은 “이곳의 미래 준비는 진지한가. 떠나간 동료를 보며 이 대신 잇몸이 일상이 돼 가는 현장을 마주한다”며 “이렇게 후배들 목소리가 모이고 있다는 소식에, 대화 시도 대신 ‘주도자’부터 찾던 회사 태도에 절망해 성명을 부치게 됐다”고 설명했다.

기자들은 △전 부서별 인력 실태와 필요 인원을 점검해 올해 중 수습기자를 공개채용하라 △경력직 채용 부담을 취재 현장에 떠넘기지 말고 공개채용으로 진행하라 △현 시대에 걸맞은 비전 근거와 실행계획을 밝히라고 요구하며 1일까지 국장단과 경영진의 논의를 촉구했다.

박민 문화일보 편집국장은 2일 통화에서 “성명 이후 기자들과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기자들이 취재 일선에서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의견을 조율하고 취합하고 있다”며 “이번 성명과 기자들 의견을 회사 정책에 반영하려고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박 국장은 인력 유출과 관련해 “경력기자는 지금도 채용하고 있다. 어려운 경영 상황으로 수습기자 채용은 이뤄지지 않았다”며 “기자들 생각을 확인한 만큼 앞으로 소통을 원활히 진행해 문제점을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