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승전 '유튜브' 시대입니다. 2019년 12월 미디어오늘 독자권익위원회는 미디어오늘 콘텐츠가 올드미디어 비평·취재에 국한된 점을 지적했습니다. 변화하는 매체 환경에 맞춰 비평과 취재를 확장하겠습니다. 그 일환으로 2020년 한 해 동안 매주 주목할만한 유튜브 이슈를 다양한 시선에서 공부하고, 취재해 다루겠습니다. <편집자주>

“이것도 노란딱지가 붙었네.” 미디어오늘 유튜브 채널을 담당하는 선배 기자의 하소연입니다. 요즘 시사·정치분야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분들에게 가장 무서운 건 ‘노란 딱지’입니다. 콘텐츠로 수익을 내는 일이 핵심인 유튜브에서 수익 제한은 제작자를 허탈하게 만듭니다. 

‘노란 딱지’는 광고 수익을 제한하는 표시로 광고주 친화적이지 않은 콘텐츠에 붙습니다. 노란딱지는 보통 영상 업로드 직후에 뜹니다. 처음 인공지능이 자체 감별해 붙인 다음 항소를 하게 되면 직원이 직접 영상을 보고 판단합니다. 인공지능이 불완전해 사람이 보완하는 시스템입니다.

‘노란 딱지’는 일찌감치 유튜버들의 불만 사항이었는데 지난해부터 정치권에서 논란이 되기 시작했습니다. 보수 유튜버들이 정부를 비판하는 콘텐츠에 붙는다며 블랙리스트가 있는 것처럼 주장한 직후입니다. 이 시기에 시사·정치 분야 노란딱지 정책이 강화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국당은 국정감사 질의에 이어 토론회까지 열고 정부 차원의 탄압인 것처럼 몰아갔습니다. 

▲ '노란 딱지'가 붙은 미디어오늘 유튜브 콘텐츠.
▲ '노란 딱지'가 붙은 미디어오늘 유튜브 콘텐츠.

여전히 보수 유튜버들은 ‘노란 딱지’를 정부와 연관짓습니다. 지난달 나온 중앙일보의 “수상한 유튜브 노란딱지..‘공정 문재인’ 올렸더니 안붙더라’” 기사처럼 언론이 일방적 주장을 퍼뜨리고 있기도 합니다.

그러나 미디어오늘이 기사를 통해 다루기도 했지만 노란 딱지가 보수 유튜버들을 겨냥한다는 건 사실이 아닙니다. 진보 성향 유튜버들도 똑같이 붙었고요. 미디어오늘 유튜브 콘텐츠에도 시도 때도 없이 붙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콘텐츠에 ‘노란 딱지’가 붙을까요. 노란 딱지를 받은 미디어오늘 영상의 제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허정도 배우의 문화산업 현장의 아동·청소년 배우와 연습생을 위한 호소”
“이재학 PD 유족 단호한 진상규명 의지 ‘연루자들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할 것”“
“‘배드파더’ 찾아간 취재진에 폭행 손가락 골절까지” 
“심상정 회견 엑기스 모음, 2중대·진중권·청해부대 입장 ‘그게 왜 불협화음?’”
“SK기사님 IPTV 인터넷 설치현장 1인칭으로 찍었다”
“쏟아진 이해찬 장애인 비하 지적에 결국 당내서도 혐오 근절 대책 제안”
“김영호, 청문회서 검찰 성추행 일탈 성역 정조준 ‘총리실 감찰 부서가 나서야’”
“민경욱, ‘우한 폐렴’ 거론하며 동성애 차단 강조 ‘에이즈 약 우리 세금’” 

이 가운데 일부는 ‘노란 딱지’가 자동으로 풀렸고, 일부는 항소(이의제기) 끝에 풀렸습니다. 한 번 뿐인 항소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문제가 될 만한 대목들을 수정하기에 받아들여진 정확한 이유는 모릅니다. 

유튜브가 제시하는 기준은 있습니다. 유튜브는 제목, 썸네일, 영상 내용, 해시태그 등이 △부적절한 언어 △폭력 △성인용 콘텐츠 △유해하거나 위험한 행위 △증오성 콘텐츠 △도발, 비하 △논란의 소지가 있는 문제 및 민감한 사건 등을 다루면 규제합니다. 그러나 콘텐츠가 어느 조항을 위반했는지는 알려주지 않습니다.

할 수 있는 건 ‘추정’ 뿐입니다. ‘어린이’ ‘동성애’ ‘성범죄’ ‘빠루’와 같은 제목에는 어김없이 노란딱지가 붙었습니다. 각각 소아성애, 혐오, 선정성, 폭력 콘텐츠로 인식한 거 같습니다. 그것이 동성애 반대 의원에 대한 비판이든, 아동청소년 연기자 인권 문제든 ‘맥락’은 살피지 못하는 듯합니다. 박용진 의원의 유치원 3법 관련 영상은 올릴 때마다 노란딱지가 붙었는데 이 역시 어린이와 관련한 문제적 콘텐츠로 인식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심상정 회견 엑기스 모음’처럼 아무리 고민해봐도 왜 노란 딱지가 붙는지 모르는 영상도 있습니다. 이 경우 ‘논란의 소지가 있는 문제 및 민감한 사건’으로 분류해 노란 딱지를 붙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치 현안 자체가 논란의 소지가 있을 수밖에 없죠. 민감한 현안엔 무조건 붙이고 볼 가능성이 있는 거죠.

▲ 유튜브 노란딱지는 정치 성향 불문하고 시사 콘텐츠 전반에 나타나고 있다. 디자인=이우림 기자.
▲ 유튜브 노란딱지는 정치 성향 불문하고 시사 콘텐츠 전반에 나타나고 있다. 디자인=이우림 기자.

‘노란 딱지’는 진보, 보수의 문제가 아닙니다. 예상치 못한 영상에 무분별하게 붙고 있고 그 이유를 제대로 알 수 없는 게 진짜 문제입니다. 구글은 노란 딱지를 붙이거나 떼면서 결과를 통보할 뿐 어떤 이유로 결정했는지 일절 밝히지 않습니다. 

존리 구글코리아 대표는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노란 딱지는 콘텐츠 삭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했습니다.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진 않는다는 겁니다. 그러나 유튜브가 수익성을 어필하며 크리에이터들을 끌어모았다는 점에서 제작자들이 배신감을 느끼는 것도 사실입니다. 세세한 키워드까지 밝히면 오남용 우려가 있겠으나 당사자에게 어떤 종류의 가이드라인을 위반했는지 알려주는 일은 어렵지 않아 보입니다. 이 정도 투명성을 요구하는 게 과도한 건가요.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