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오전 서울신문 임원회의에서 장형우 전국언론노동조합 서울신문지부장은 호반건설이 포스코 그룹의 서울신문 지분 19.4%를 전량 인수했다는 통보를 받았다. 서울신문 지분은 기획재정부(30.49%), 우리사주조합(29.01%), 포스코 그룹(19.4%), KBS(8.08%) 등으로 구성돼 있었다. 경영진, 우리사주조합, 편집국 어떤 곳도 사전에 알지 못했다고 한다.

장형우 지부장은 전 조합원들에게 긴급 문자를 보냈다. 건설회사가 회사의 지분을 인수했다는 소식은 100년 전통의 역사에 ‘공공매체’로서 자부심을 갖고 있던 서울신문 구성원들에게 날벼락에 가까웠다. 한 조합원은 ‘쇼크’라고 표현했다.

서울신문은 1대 주주가 정부라는 점에서 청와대의 입김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서울신문 사장 선임 시기가 오면 낙하산 논란이 일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서울신문 입장에서 지배 구조를 바꾸는 것은 독립성 확보를 위한 최대 과제인데 포스코 그룹 지분이 호반건설로 넘어가면서 예상치 못한 ‘복병’을 만난 것이다.

서울신문 구성원은 최소한 청와대와 1대 주주인 기획재정부의 묵인 아래 포스코 그룹 지분 인수 건이 성사됐다고 본다. 포스코는 국영기업이었지만 지난 2000년 정부 지분을 팔아 민간기업이 됐다. 서울신문 구성원은 포스코가 가지고 있었던 서울신문 지분을 ‘국민주’로 생각해왔는데 호반건설이 차지한 것이다.

청와대와 기획재정부는 호반건설 지분 인수 건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는 입장이지만 외부 권력으로부터 언론 독립을 약속했던 문재인 정부의 약속과는 정반대의 일이 벌어진 것에 대해 서울신문 구성원은 분노하고 있다.

서울신문지부가 25일 성명에서 “청와대는 앞에서는 서울신문 독립을 추진하자면서 뒤로는 손쉬운 방식으로 지분을 정리하고 손을 털겠다는 의도인가. 건설사가 아무도 모르게 언론사 지분을 사들이는 게 정부가 생각하는 언론 독립인가. 진짜 몰랐다면 레임덕이 아니고 무언가”라고 비판했던 이유다.

포스코 그룹이 가지고 있었던 지분은 장부가액으로 80억원 정도 수준이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했을 때 실제 인수 비용은 200억원을 웃돌 것으로 보인다. 호반건설이 경영권을 행사할 수 없는데도 수백억원을 투입해 서울신문의 3대 주주에 이름을 올린 이유는 무엇일까.

최근 언론사 인수 흐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헤럴드경제 대주주가 된 중흥건설, 한라일보와 인천일보를 인수한 부영, 울산 UBC 지분 30%를 확보한 삼라마이다스 그룹(삼라건설로 시작)은 모두 건설사들이다. 해당 건설기업들이 공격적 인수합병 전략에 따라 몸집을 키우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언론사 지분을 인수한 건설 기업들이 호남 지역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재인 정권 실세와 연결돼 있다는 얘기도 심심치 않게 들린다.

건설사들이 언론에 관심을 보이는 것은 주주가 될 경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건설 인허가 문제로 갈등이 벌어지면 언론을 끼고 스피커를 키울 수 있다. 각종 민원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창구 역할로 언론을 활용할 수 있다. 든든한 뒷배가 생기는 것이다.

호반건설도 서울신문 3대 주주가 되면서 유무형의 이득이 예상된다. 우선 중앙언론에까지 진출한 막강한 건설사라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미 호반건설은 광주방송(KBC) 최대주주다. 호반건설 김상열 회장은 2015년 광주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선출됐고 임기를 마친 뒤 명예회장으로 추대됐다. 지역에선 김 회장이 광주방송을 끼지 않았다면 이 정도로 영향력은 크지 않았을 것이라고 본다.

호반건설이 실질적으로 얻을 수 있는 이득도 있을 수 있다. 호반건설이 서울신문 자산 중 하나인 프레스센터 사옥에 대한 재건축 이익을 노리고 서울신문 지분을 인수했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프레스센터는 서울신문이 52%,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가 48% 지분을 가지고 있다. 프레스센터는 1985년 개관했다. 30년이 넘는 건물이다. 재건축에 따른 개발 이익은 자산가치 대비 수배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호반건설이 서울신문 지분을 인수하면서 향후 재건축 시공사로서 지위 확보를 염두에 뒀을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호반건설은 지난 2016년 신반포7차 재건축사업 수주전에 참여하는 등 3~4차례 재건축 사업 진출을 시도했다. 광화문권에서 대지 및 건물 평가액으로 최고 상위권에 있는 프레스센터 사옥을 재건축한다면 호반건설의 대외 이미지는 급격히 상승할 수 있고 강남권 진출에 디딤돌이 될 수 있다.

▲ 서울 광화문에 위치한 한국 프레스센터. 사진=이치열 기자 truth710@
▲ 서울 광화문에 위치한 한국 프레스센터. 사진=이치열 기자 truth710@

서울신문 구성원들은 광주방송 지분율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현행 신문법과 방송법에 따르면 자산규모 10조 미만 기업은 방송사 지분을 40% 이상 초과 보유할 수 없고, 신문사 대주주가 되기 위해서 방송사 지분을 10% 미만으로 보유해야 한다. 호반건설이 가지고 있는 광주방송 지분율에 변화가 생기면 곧 서울신문 추가 지분 인수 작업이 시작되는 신호탄으로 볼 수 있다.

서울신문 구성원들의 위기 의식은 높다. 호반건설이 대주주가 되기 위해서는 기획재정부 지분 혹은 우리사주조합 지분을 인수해야 하는데 호반건설 포스코 그룹 지분 인수 소식을 몰랐다는 1대 주주 기획재정부는 앞으로 믿을 수 없는 존재가 돼버렸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가 호반건설에 지분을 넘기는 시나리오는 최악의 상황이다. 언론 독립과 역행하는 상징적인 조치로 받아들이면서 대정부 투쟁에 나설 수밖에 없다.

호반건설이 서울신문 대주주가 된다면 이익을 앞세워 돈이 되지 않은 자산을 매각할 수 있다는 우려도 많다. 독자관리부나 인쇄소를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영역으로 보고 분사를 시킬 수 있다. 이미 여러 언론이 경쟁력을 이유로 인쇄소를 분사하면서 언론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은 전례가 있다.

서울신문 구성원 사이에서 되레 전화위복이 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여론이 잠잠해지면서 독립성 확보 의지 또한 꺾여 있었는데 호반건설이 3대 주주가 되면서 구성원들을 각성시켰다는 것이다.

장형우 지부장은 “호반건설이 우리를 잘못 건드렸다.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하겠지만 저희도 대응책을 가지고 있다. 경영진 할 것 없이 구성원들의 뜻이 하나로 모여 결의가 높다”면서 “전략상 대응책을 밝힐 수 없지만 호반건설이 대주주가 되는 것을 막고 독립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어느 쪽이 장기적인 포석을 갖고 버티느냐가 관건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 조합원은 “호반건설이 우호 지분 확보를 위한 여론 작업에 나서 내부 분열을 일으킬 수 있다는 위기가 있지만 서울신문 구성원은 정체성을 중요시 생각한다. 호반건설이 대주주가 되는 것을 절대 허락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호반건설 관계자는 “지금 당장은 중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포스코 그룹 지분을 인수했다는 말 이외에 드릴 말씀이 없다”고 말했다.

호반건설은 경영권을 확보할 수 없음에도 수백억원을 투입해 서울신문 3대 주주가 된 이유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업계에선 호반건설의 현금 유동성 규모가 나쁘지 않아 서울신문 지분 인수 비용에 큰 부담이 없다는 점, 서울신문이 가지고 있는 자산을 고려했을 때 투자 가치가 높다는 점, 10대 종합지에 포함된 서울신문 위상을 고려할 때 대외 이미지를 상승시킬 수 있다는 점 등 호반건설의 서울신문 지분 인수에 대해 손해볼 게 없는 장사로 보고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