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단독] GM에 한국철수 명분주는 勞…중노委에 노동쟁의신청 (매일경제)
② 한국GM 협력社 4500명 “살려주세요” 노조는 쟁의조정 신청, 파업나설 채비 (조선일보)
③ 노조, 국가에 손내밀며 파업 수순…사태해결 더 멀어지나 (헤럴드경제)
④ 노동쟁의조정 신청…한국GM 노조, 결국 파업으로 가나 (서울경제)

GM이 한국GM 철수를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지엠지부가 중앙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조정신청서를 제출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그런데 이 소식을 전하는 경제지들은 위의 제목처럼 지엠지부가 ‘파업 수순’을 밟고 있다고 밝히며 GM이 한국에서 철수할 명분을 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매일경제는 4일자 ‘GM에 한국철수 명분주는 勞’ 보도를 통해 “사측이 직원 복리후생비 등을 깎지 않으면 오는 20일 부도가 날 수 밖에 없다며 설득에 나섰지만 노조가 거꾸로 파업이라는 초강경 카드를 꺼내들며 한국GM이 파국을 향해 치닫고 있다”고 주장했다.

20180404_매일경제_GM에 한국철수 명분주는 勞_종합 01면.jpg
아울러 “노조는 (중노위) 결과가 나오는 대로 쟁의권을 확보해 파업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라며 “노조는 쟁의조정을 신청하면서 △군산공장 폐쇄 철회 △경쟁력 있는 미래차의 한국 공장 배정 △산업은행의 한국GM 실사에 노조 참여 등 종전에 사측이 난색을 보였던 안건을 모두 집어넣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노조가 파업 수순을 밟으면 한국GM의 부도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고 주장했다. 즉, 지엠지부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요구를 하고 있고 이 때문에 GM이 철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GM사태가 처음 불거질 때부터 이른바 ‘대기업 노조’의 기득권 욕심이 사태를 초래했다는 시선의 연장선이다.

언론 보도가 놓친 것 1. 중노위 조정신청이 곧 파업은 아니다.

지엠지부가 임단협 교섭을 이어가고 있는 것과 협상이 난항을 겪어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한 것은 사실이다. 또한 중앙노동위원회 조정이 결렬되면 파업권을 확보하는 것 또한 사실이다. 다만 지엠지부 측은 파업권을 확보한다고 해서 파업에 돌입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지엠지부 측 설명에 따르면 한국GM 노사는 총 6차례 교섭을 진행해왔다. 6차 교섭은 3월21일 열렸는데 이후 교섭이 열리지 않았다. 지엠지부 측은 “사측이 언론에는 협의중에 있다고 하면서도 7차 교섭을 해태하고 있다”며 “우리가 교섭을 계속 하자고 했음에도 회사에서는 교섭을 할 수 없다고 했다”고 말했다.

지엠지부 측은 “물론 나중에 상황이 더 악화 된다면 파업을 할 수도 있는 것이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우리가 회사와 임단협 교섭 중에 있는 것”이라며 “우리가 파업권을 공격적으로, 압박용으로 쓰려는게 아니라 사측이 교섭에 응하지 않는 상황에서 기본적으로 노동자들이 가지고 있어야 할 방어권의 차원”이라고 말했다.

언론 보도가 놓친 것 2. 지엠지부는 임금인상을 요구하지 않았다.

매일경제는 지엠지부가 사측이 난색을 보였던 안건을 모두 집어넣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지엠지부는 이런 요구가 GM이 한국에서 계속 공장을 가동할 것이라는 이른바 ‘미래전망’에 대한 약속을 요구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20180404_조선일보_조선일보 10면_종합 10면_397..jpg
이미 지엠지부는 지난달 15일 임단협 요구안을 사측에 전달하면서 “2018년 임금을 동결하고 2017년 성과급 지급 요구를 철회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지엠지부 측 관계자는 미디어오늘과의 통화에서도 “임금과 성과금은 회사 정상화가 이루어지고 고용생존권이 보장되면 양보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매일경제나 조선일보는 해당 기사에 이런 내용을 넣지 않음으로서 지엠지부가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비춰지게 했다. 지엠지부 측은 “미래를 같이 할 수 있는 회사를 만들어준다면 함께 고통을 나누겠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지엠지부 측 관계자는 “해당 매체들은 노조에 연락을 주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본조(금속노조)와 논의해서 언론중재위에 제소할 계획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언론이 무섭다는 것을 이번에 다시 한 번 느꼈다”며 “우리 역시 파국으로 가는걸 원하는 건 아니다. 생존권을 요구하기 위한 싸움”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