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민운동 단체와 시민사회 원로들이 지난 2009년 정리해고 뒤 22명의 죽음을 추모하는 범국민추모위원회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쌍용차에 대해 해고자들의 즉각 복직을 요구하고, 정치권에 정리해고법을 없앨 것을 요구하며 21일 경기도 평택 쌍용자동차 공장 앞에서 범국민추모대회를 열 계획이다.
 
김세균 서울대 교수와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 등 시민사회 원로들은 13일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22명의 노동자가 더 이상의 생존의 길을 찾지 못한 채 유명을 달리했다”며 “(해고노동자와 가족들의) 죽음은 엄연히 ‘사회적 타살’이며 그 책임은 정부와 회사측에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회견문에서 쌍용자 노동자들이 △잔인한 진압의 상처와 트라우마, 생계고통에 시달리고 있고 △쌍용자동차 노동자라는 낙인이 찍혀 취업이 안 되는 현실 등 극단적인 상황에 처해 있다며 “노동자들이 스스로 삶의 끈을 끊는 것으로 마지막 저항을 하거나 그 후유증으로 인한 병의 악화로 유명을 달리하고 있다”고 개탄했다.
 
이들은 쌍용차와 정부를 가해자로 지목하며 “죽음에 사과하고 정리해고제를 없애고, 해고자를 전원 복직하라”고 요구했다.

대규모 해고자를 낳은 쌍용차 사태는 아직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으며, 22명의 자살이라는 끔찍한 사회문제로까지 확산됐다. 쌍용차는 노동자 65명에게 임금과 퇴직금 가압류 조치를, 금속노조에 대해서는 100억 원 손해배상을 청구했고, 정부는 경찰치료비 등을 명목으로 76명의 임금과 퇴직금, 22명의 부동산 등 20억 원 가압류하는 등 해고자들의 인생을 철저히 무너뜨렸다. 특히 가압류 사태는 잇단 자살사건으로 이어졌다.
 
이창근 금속노조 쌍용차지부 기획실장은 13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22번째 죽음을 두고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절박감이 있다”며 “사회의 공감대를 넓혀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상황이 이 지경까지 됐으면 사측이 대책을 내놔야 하는데 전혀 없다”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해 시민들은 열흘째 서울 대한문 앞에 쌍용차 노동자 애도 분향소를 설치해 매일 저녁 7시 촛불 문화제를 열고 있다. 평택 쌍용차 공장 앞에도 분향소가 설치됐으나 12일 사측이 철거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