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뉴스가 세계적으로 논란인 가운데 서울대가 언론과 함께 3월 중 팩트체크 서비스를 만들고 네이버를 통해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 미래뉴스센터는 ‘서울대 팩트체킹 시스템(가칭)’을 만들고 ‘팩트체크 위원회’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 프랑스 등에서는 가짜뉴스 논란이 불거지자 언론과 독립기관이 구글, 페이스북 등과 협업을 통해 신고가 들어오면 검증하는 방식의 팩트체크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윤석민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6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현재는 언론사별로 별도로 팩트체크가 이뤄져 이용자들이 한꺼번에 모아서 볼 수 없다”면서 “언론정보연구소에서 언론 간의 콜라보를 위한 기본적인 플랫폼을 제공하고 이 플랫폼을 네이버에도 내보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 디자인=이우림 기자.
▲ 디자인=이우림 기자.
네이버 관계자 역시 “제안을 받게 돼 서비스를 하기로 결정했다”면서 “네이버가 팩트체크에 관여하지는 않고, 결과물을 네이버 뉴스 대선 페이지에 게재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는 우선, 언론사가 각자 만드는 팩트체크 기사를 모으는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윤석민 교수는 “언론사를 대상으로 두 차례 설명회를 열었다”면서 “우선은 영향력이 큰 신문, 방송, 통신사와 협업을 추진하고 경과를 보면서 제휴사를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언론이 팩트체크를 한다고 해도 소재 선택 자체가 주관적일 수 있고, 같은 데이터라도 출처나 기간 등에 따라 상반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 윤석민 교수 역시 “한국에서는 팩트체크도 진영화돼 있다”면서 “이를 극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는 장기적으로 ‘팩트체크 위원회’를 만들 계획이다. 윤석민 교수는 “학계, 언론사, 언론단체가 함께 ‘팩트체크 위원회’를 만들고 서울대가 사무국 역할을 수행하면서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공동의 편집원칙을 정립하겠다”고 말했다.

언론이나 언론진흥재단이 아닌 서울대가 팩트체크를 주도하는 이유에 관해 윤석민 교수는 “한국 언론의 (정파적인) 풍토상 자체적으로 팩트체크를 위한 협업이 나오기 힘들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그렇다고 해서 국가기관이 나설 수도 없고 국가가 지원하는 언론진흥재단같은 기관이 하는 것도 논란의 소지가 있다. 따라서 정파성 우려가 없는 연구소가 주도하게 됐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